프랭크 다라본트는 그의 영화 인생 초기에 [나이트메어3], [외계생명체 블롭], [플라이2] 등의 각본가로 장르에 업적을 남겼다.
그래서 호러에 대한 다라본트의 스토리텔링 능력에 의문을 품지 않는 것은 당연하다. (원작을 읽어보지 못했지만 영화에 국한된 말많은 엔딩 역시 탁월하다고 생각한다) 그런데 다라본트와 장르를 연관시키는데 있어 누구도 [생매장]을 언급하지 않는다는 것은 조금 유감이다. (아마도 보지 못했기 때문일 것이라 생각한다) [생매장]은 TV물이기는 하지만 다라본트가 애당초 호러물의 연출에도 재능을 가지고 있었음을 보이는데는 모자람이 없는 작품이었다고 믿기 때문이다.
개인적으로 [쇼생크탈출] - 사실 [쇼생크탈출]을 빛나게 하는 것도 스릴러장르에서나 보일법한 연출감각이 아닐까 - 에 이어 가장 좋아하는 다라본트의 작품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생매장]이었고, 그렇기에 늘 그가 극장용 공포영화를 한 편 찍는다면 상당히 훌륭하지 않을까라고 생각해왔다. 그리고 오늘에서야 나는 이같은 믿음이 틀리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미스트]는 '무엇이 인간을 두렵게 만드는가'에 대한 영화라기보다는 '두려움이 인간을 어떻게 만드는가'에 대한 영화다. (물론 때로 후자는 전자로 이어질 수도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미스트]는 안개가 무엇이며 그 안에서 나온 괴물들이 무엇인지를 밝히는 것에는 별반 관심을 가지고 있지 않다. 영화를 통해 '화살촉 프로젝트'니 차원의 틈으로 이세계의 것이 침입했다는 등의 막연한 원인을 제공하고 있기는 하지만 그러한 원인들이 딱히 어떤 의미를 가지는 것은 아니다. (툭 던져준 납득할 수 없는 몇 마디만으로 군대나빠요, 혹은 과학발전은 위험해요라고 이야기하는 것만큼 무의미한 일도 없으리라) 그리고 그런 이유가 아니라고 해도 영화는 전혀 달라지지 않는다.
그 이유는 [미스트]가 납득할 수 없는 상황 - 이유를 모름이 문제가 아니라 납득할 수 없음이 문제이다. 이유를 모름이란 우리가 흔히 만나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 이 발생했을 때 인간이 어떻게 반응하는지를 보여주는 것에 더욱 주력하고 있기 때문이다. 로메로의 [살아난 시체들의 밤]이 그러했듯 이러한 상황은 구성원들의 대립과 가치들의 붕괴를 만들어낸다. 그러나 마트에 고립된 인간의 수가 로메로의 저예산영화보다 훨씬 많기에 이러한 대립은 훨씬 규모가 커지는데, 그에 따라 우리 사회의 모습들을 좀 더 구체적으로 끌어낸다. 구성원들의 갈등은 떼거리 싸움인 정치로 이어지고, 불확실성 하에서 하나의 대처방식으로 종교까지 확장된다. 주어진 정보가 지나치게 적은 상황에서 인간의 이성은 점차 힘을 잃고, 광기가 집단을 점령해나갈 것이라는 예측은 상당히 신빙성 있어 보인다. 사실 현실에서 적잖은 증거도 찾아볼 수 있다.
이러한 구체적인 모습의 표현은 관객이 영화를 감상함에 있어 현실에서 떨어져 있는 것을 허락하지 않는다. 다른 차원의, 괴물이 튀어나옴에도 불구하고! 그래서 영화를 보는 내내 관객은 어떤 거북함을 경험할 수 밖에 없다. 특히 자신들이 할 수 있는 일을 모두 했음에도 현실을 바꿀 수 없다는 절망감에 놓인 인간이 택할 수 밖에 없었던 안타까운 엔딩은 관객을 더욱 괴롭고 허무하게 만든다. 총알이 네 발 남았다고 이야기할 때 결말이 대충 예견되어 입에서는 탄식이 나왔고, 괴물의 실체가 밝혀질 때쯤에는 아버지의 마음에 동화되어 눈물을 훔쳐 내었다. (그런데 바로 그 순간 주위에서 소란스러운 헛웃음이 튀어나왔다. 영화를 보고 나오면서 난 내가 잘못된건지에 대해 심각하게 고민했다) 엔딩크레딧이 올라오면서 계속 들리는 군부대의 이동소리는 이 영화가 보여준 이후에도 많은 일들이 벌어질 것임을 짐작케 한다. 고난은 과연 앞으로의 삶을 어떻게 바꿀 것인가. 소리밖에 들리지 않는 화면만큼이나 상상하기가 쉽지 않다. 특히 주인공의 앞날을 생각하니 쉽게 감정이 추스려지지가 않는다.
덧붙임 하나. 아마도 이 영화에서 가장 무섭고 섬찟한 인물은 카모디이리라. 영화에서 가장 재미있었던 장면 중 하나가 어떤 이유에서인지 괴물이 죽음을 받아들인 카모디를 그냥 지나쳐가는 장면 - 일종의 성스러운 체험 - 이었다. 사실 카모디의 급격한 변화도 그녀의 입장에서 생각하기에는 확신을 가질만도 하다. 단 그녀의 연기에 비해 다른 캐릭터들의 연기력은 떨어지는 느낌이다. 참, 마샤 게이 하든은 [데드걸] - 이 영화도 그렇고 - 을 보면서 니콜 키드만과 르네 젤위거를 섞어놓은 이의 10년 후 모습이 아닐까란 생각이 들었다(혹시 동감하시는 분 없겠지). 또 주인공의 편에 섰던 콧수염난 남자는 존카펜터과 비슷하게 생긴 사람의 의도적 캐스팅이 아닐까라는 생각이 들었다.
덧붙임 둘. 안개를 소재로 한다는 것에서 [미스트]는 존카펜터의 [안개]를 연상케 한다. 하지만 존카펜터의 안개가 가려진 과거를 상징한 것과 비교할 때 [미스트]의 그것은 현재를 배경으로 하고 있어 더욱 섬뜩함을 자아낸다. 더 보여주는 것 이외에도. 사실 이 작품의 괴물들은 나쁘지 않았지만 아주 훌륭한 느낌은 아니었다.
덧붙임 셋. 다수가 즐겨보는 영화와 내가 즐기는 영화 사이에 조금은 갭이 있지 않은가라고 생각해오기는 했지만, 어째서 이 영화가 평이 갈리는지를 이해하지 못하는걸 보면 그 갭은 의외로 큰게 아닐까라는 생각이 든다. 그럼에도 이 정도의 공포영화를 극장에서 만날 기회는 일년에 몇 번 안될 것이다라고 감히 말해본다.
글_김시광(네오이마주 필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