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검색
검색
최초평가! 웃통을 벗어젖힌 일당백 사내들의 기백!
300 | 2007년 2월 26일 월요일 | 민용준 기자 이메일


페르시아의 백만 대군을 막아낸 스파르타 삼백 전사들에 대한 전설은 헤로도토스의 ‘역사’에 기록된 토대를 통해 역사라 인정된다.

역사 같은 전설은 프랭크 밀러에 의해 그래픽 노블이 되었다. 활자와 그림을 통해 구체화된 전설은 잭 스나이더라는 지휘관을 만나 스크린까지 진군했다. “역사는 항상 새롭게 다시 쓰이며, 따라서 모든 역사는 현재의 역사이다.”라고 한 미국의 철학자 ‘칼 베커(Carl Becker)‘의 말처럼 기록이든, 구전이든 인간의 손과 입을 통해 전승되는 역사의 기록은 시대 위를 표류하는 과정에서 상상력을 자극해 부풀려지기도 한다. 테르모필레 전투 역시 백만 대 삼백이라는 머릿수 차이를 극복한 영웅담으로 미화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허나 규모의 과장 혐의가 짙을지언정 협곡의 지형을 이용한 소수정예 스파르타 전사들의 전략적 명쾌함은 현대 사관학교에서도 자료로 활용될 만큼 유용하다. <300>은 박력 있는 스파르타 전사의 이미지를 그 위에 한 층 더 쌓아올리며 역사적 사실을 극적 쾌감으로 승화시킨다.

프랭크 밀러의 원작이 영화화되었다는 점에서 <300>은 <씬시티>를 연상시킨다. 실제로 풍광에서 뿜어내는 기운은 엇비슷하다. 잿빛 셀로판지를 덧씌운 듯 톤다운된 색감의 배경자체가 그렇다. 그러나 흑백의 대비가 강렬했던 <씬시티>와 달리 <300>은 채도를 낮춘 컬러 톤으로 원시적 비장감을 부각시킨다. 웃통을 벗어젖힌 스파르타 전사들의 근육 사이 굴곡마다 내려앉은 그림자는 날것의 마초성을 뚜렷하게 각인시킨다.

무엇보다도 <300>의 전투씬은 이전 어떤 영화와 비교하더라도 특수성을 인정받을 만하다. 특히 전투씬 초반, 페르시아 병사를 차례로 상대하며 전진하는 스파르타 전사를 적당한 거리감을 유지한 카메라에 담아 낸 장면은 꽤나 인상적이다. 전진하는 인물을 샷의 중앙에 두고 고속촬영을 통해 디테일한 몸놀림의 완급을 조절한 이 장면은 역동적이며 스타일리쉬함 자체이다. 스파르타 전사의 전투력 수치를 말로 설명할 필요도 없이 간단명료하게 보여주는 대목이라 할 수 있다. 탄탄한 근육질로 다져진 300명의 사내들이 달려오는 적을 응시하며 전투태세를 갖추는 모습에서 숫자의 우위비교에서 오는 비장감보단 전장의 공포마저 집어삼키는 전사들의 강건함을 먼저 발견한다.

백만과 삼백의 대결 재현에 역사적 신빙성을 부여하는 건 협곡의 지형조건이지만 영화적 흥미를 불어넣는 건 스파르타라는 긍지로 가득 찬 사내들이다. 늑대를 사냥하는 어린 디오니소스의 모습은 일당백인 스파르타 전사들이 존재할 근거가 어디에서 출발했는가의 답변이 된다. 전사가 되기 위한 완전한 사육. 하지만 그것이 야만적 폭력의 계승으로 읽혀지지 않는 것은 살육을 위한 전쟁이 아닌 명예를 위한 전쟁이라는 신념의 자각이 명백한 덕분이다. 게다가 그 명예가 지향하는 것은 가족과 조국의 안위이다. 레오니다스(제라드 버틀러)는 최후를 맞이하는 순간 아내를 찾는다. 결국 근육질의 마초가 어려서부터 죽을 고비를 넘기며 전사로 단련된 이유는 지켜내야 하는 것들을 위해서였다는 소박한 결론에 이르는 셈이다. 스파르타 전사들이 벌이는 전장의 살육은 전투본능이 아닌 생을 위한 보호본능에서 비롯된 것임을 느끼게 하고 영화의 숭고한 정서로 환원된다.

여러모로 이 영화는 매력적이다. 다만 아드레날린이 분출되는 듯한 육박전과 더불어 전개되는 정치적 암투의 과정이 지루해보이기도 하는데 그건 육박전이 너무 강렬하게 묘사되고 인식된 탓이다. 또한 전투의 리얼한 묘사, 즉 칼과 창으로 인한 인체훼손현상이 적나라하게 묘사되는 것은 영화의 질적 수준과 무관한 취향적 관람가를 나누게 될 법하다. 각설하고, 이 영화는 일단 대단하다. 전장의 공포를 뛰어넘은 근육질 사내들의 강인한 근성은 관객의 마음을 흥분시키기에 충분하다.-빗발치는 화살 속에서도 농담을 나누는 사내들이라니!-다만 스파르타와 페르시아가 서양과 동양이라는 이분법적 논리까지 뻗는다면 <300>은 씁쓸한 영화가 될지도 모른다. 동양의 야만적 정복 문화가 마치 서양의 이성적 자립 의지에 무릎을 꿇는 형세니까. 물론 이는 영화의 질적 가치와 무관한 시각이다. 터질 듯한 근육과도 같은 생동감이 살아있는 사내들의 기백이 장악한 전장을 지켜보는 것 자체로도 <300>은 꽤나 매력적인 작품임이 틀림없다.

2007년 2월 26일 월요일 | 글: 민용준 기자




-‘역사’라는 단어 그 자체에 심히 땡기는 분.
-몸짱 사내들의 탱탱한 근육질을 만끽하고 싶다면.
-전투라는 단어가 줄 수 있는 카타르시스의 극한을 체험하고 싶다면!
-프랭크 밀러의 원작을 보았다면.
-다구리 원칙에 맞서는 소수 의지를 보고 싶다면.
-‘신체발부 수지부모’라 무자비한 신체 훼손 현상 앞에 참을 수 없는 분.
-‘전쟁 따윈 필요 없어’라는 반전주의자
-<씬시티>따윈 질색이야!라고 했다면 절대!
44 )
gaeddorai
디스이즈스퐈르톼!!!
이 활용도 높은 대사만으로도 충분하다   
2009-02-15 19:22
callyoungsin
멋진영상과 뛰어난 연기 정말 볼만한 영화였네요   
2008-05-13 14:20
kyikyiyi
잘만들었다 근데 여자관객들에겐 많은 호응을 얻기는 힘든...   
2008-05-08 15:30
qsay11tem
 포스터가 왠지   
2007-07-06 08:04
leadpow
즐거웠어 +ㅁ+   
2007-06-18 12:04
kpop20
숫자는 중요하지 않다는걸 보여준 작품   
2007-05-27 12:28
H31614
몸짱들의 모임..   
2007-05-14 19:45
lyk1414
음.. 그닥   
2007-05-05 17:02
1 | 2 | 3 | 4 | 5다음으로 다음으로

 

1 | 2 | 3

 

1일동안 이 창을 열지 않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