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제작을 시도한 2008년부터 2012년까지 4년 동안 몇 차례에 걸쳐 제작시도를 하였지만 번번히
무산되었다. 영원히 제작되지 못할 것이라는 우려가 있었지만, 많은 관객들의 간절한 열망에 힘
입어 ‘제작두레’를 도입해 개봉까지 이르게 되었다. 제작두레는 회원가입을 통해 제작비를 약정
하는 새로운 제작방식으로 우리 고유의 “두레”를 본받아 관객들이 직접 참여해 십시일반으로 제
작비를 모아 영화를 만드는 새로운 제작방법이다. 대기업의 자본 없이 영화를 만들 수 없는 한국
영화 산업구조의 변화를 꾀하기 위한 돌파구이자 두레를 통해 모두가 함께 영화를 만든다는 의
미를 되새겨 참여의 의의를 전했다는 영화 <26년> 곁으로 다가가 본다.
1980년 5월.. 그리고 26년 후 학살의 주범 ‘그 사람’을 단죄하라!
광주 수호파 중간보스 곽진배,
![](http://imgmovie.naver.net/mdi/mi/0473/47384_S36_104728.jpg)
국가대표 사격선수 심미진,
![](http://imgmovie.naver.net/mdi/mi/0473/47384_S37_104729.jpg)
서대문소속 경찰 권정혁,
![](http://imgmovie.naver.net/mdi/mi/0473/47384_S19_121446.jpg)
5. 18 민주화운동 희생자 2세라는 공통 분모를 가진 세 사람이 한 자리에 모였다. 그들을 불러 모
은 보안업체 대기업 회장 김갑세와 그의 비서 김주안의 제안은 바로 ‘그 사람’을 타겟으로 한 극
비 프로젝트!
![](http://imgmovie.naver.net/mdi/mi/0473/47384_S19_111436.jpg)
Stage 1. 1차 탐색 시작! 진배는 무력도발로 연희동을 자극시킨다. 그러나 김갑세가 광주 시민들을 제압하
던 계엄군이었고 그의 총검에 아버지가 죽었다는 사실을 알게 되면서 팀은 균열이 생긴다.
![](http://imgmovie.naver.net/mdi/mi/0473/47384_S43_104734.jpg)
Stage 2. 미진의 단독 행동! 미진은 홀로 서대문 사거리에서 ‘그 사람’의 차량에 뛰어들어 사격을 가한다.
마지막 한발, 성공의 순간 터져버린 총 때문에 부상당한 미진은 뒤늦게 달려온 진배의 도움으로
탈출하지만, 정혁은 충격을 받고 사라진다.
![](http://imgmovie.naver.net/mdi/mi/0473/47384_S137_135508.jpg)
Stage 3. 시작된 작전! 일련의 사건으로 연희동의 사설 경호인력이 보강되고, 주안은 ‘그 사람’의 비서실장
인 탁실장을 대상으로 한 로비에 성공, ‘그 사람’과의 단독 면담 날짜를 잡는다.
![](http://imgmovie.naver.net/mdi/mi/0473/47384_S40_104731.jpg)
D-day 2006. 05. 18. 드디어 그날! 저격 위치를 확보한 미진, 경찰 병력을 저지할 진배 일행, 그리고 김갑세와 주안은
탁실장을 이용하여 검문을 통과하고 드디어 연희동 저택 안으로 들어간다.
![](http://imgmovie.naver.net/mdi/mi/0473/47384_S41_104732.jpg)
한편, 서대문경찰서 최계장의 집요한 추적으로 암살 작전의 실체가 밝혀지고 경호실장인 마상렬
의 명령으로 연희동 안팎은 빠르게 진압된다. 미진에게까지 포위망은 좁혀지고 사라졌던 정혁이
나타나 작전을 저지하는데...
![](http://imgmovie.naver.net/mdi/mi/0473/47384_S138_135509.jpg)
일촉즉발의 상황, 그들의 거사는 과연 성공할 수 있을까?
2007년도에 상영한 5.18 광주 민주 항쟁을 실화 같이 스크린에 담은 영화 <화려한 휴가>를 감상
하고 '공수부대원들이 작전 명령을 받고 광주로 투입,무고한 선량한 광주 시민들이 무자비하
게 공수부대원들의 군화에짓밟힌다..여기에 힘없이 맞서다가 죽어 가는 광주 시민.여기에 나오
는 배우들이 연기자가 아니라 5,18 광주 민주 항쟁 당시를 대변하는 광주 시민 그 자체 였다.'는
감상평을 남긴 기억이 잊혀지기도 전에 5.18광주 항쟁을 모티브로 삼은 영화 <26년>이 본인 앞
에 다가왔다. 영화를 감상하기에 앞서 영화의 시놉과 제작과정에 대해서 알아보니 원작은 '강풀'
작가의 만화이고 제작은 '제작두레'란 회원가입을 통해 제작비를 약정하는 새로운 제작방식으
로 한 영화라는 것을 안 순간, 문득 만화인 원작을 실사로 꾸밀려면 스토리도 치밀해야되지만 캐
릭터의 이미지도 살려가면서 원작이 갖는 상상의 이미지를 스토리 전개에 연결시켜 관객에게 다
가가야만이 원작의 이미지도 살리고 실사로 살린 영화 자체도 흥행 성공이란 단어에 봉착된다는
생각과 '제작두레'란 제작방식으론 5.18 광주 민주 항쟁과 같이 인원도 많이 투입되고 소품이 대
량 투입되는 영화의 제작은 힘들 것이라는 생각이 들은 상태로 영화 <26년> 곁으로 다가가 본
결과, 본인의 생각을 예측이라도 한듯이 영화는 원작의 이미지와 캐릭터를 두가지 동시에 살리
려고 하나 원작에서 보여주는 이미지에서는 한발 후퇴하고 만다. 그 이유는 캐릭터를 중점적으
로 부각시킬려다 보니 초반에 내세웠던 이미지를 상상이 펼쳐지지 않는 그냥 보여주는 실사에
머물고 말아 이음새가 매끄럽지 못하게 다가오고, 제작비의 한계에 부딪힌 영화라는 것을 여실
히 증명하는 영화라고 본인에겐 비쳐진다. 그러나 어려운 여건속에서도 다소 매끄럽지 못한 점
이 있지만 원작의 이미지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내에서 캐릭터들의 개성을 살려 스토리 전개에
연결하려는 공들인 흔적이 스크린 여기저기서 눈에 띄고 시선을 안주하게 만든 이 영화의 제작
팀에게 박수라는 찬사를 보내고 싶어진다. 그리고 이 영화를 감상하기전에 이 영화에 대한 감상
평들을 읽어보니 우리나라가 자신의 표현을 자유롭게 형용할 수 있는 나라라는 것을 새삼스레
깨달았다. 왜냐하면 정부가 다년간의 검증을 걸쳐 국민 동의하에 5.18 민주화 운동을 국기념일
(1997)로 제정, 역사교과서에 정식명칭 사용한지가 20여년이 넘었는데도 아직도 5,18 폭동사건
이라고 하는 사람들 글 때문이다. 사람들은 가해자인 그사람을 향해 면목이 서지 않는 짓을 하고
도 전혀 부끄러워하지 않는 사람을 두고는 철면피(鐵面皮) 또는 후안무치(厚顔無恥)라고 욕을
한다. 철면피는 얼굴에 철판을 깔았다는 뜻이고, 후안무치란 낯[顔]이 두꺼워[厚] 부끄러움[恥]
을 모른다[無]는 말이다. 5.18 민주화 운동을 폭동사건이라고 한 사람들은 표현의 자유가 있을지
모르겠지만 후안무치란 지적은 면하기 어렵다는 생각이 다시금 5.18 민주화운동의 의미를 되새
기게 하는 영화 <26년>이다.
여러분 좋은 영화 많이 감상하세요.
![](http://imgmovie.naver.net/mdi/mi/0473/47384_P44_114913.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