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검색
검색
“행복했다” <외계+인> 2부 김태리 배우
2024년 1월 25일 목요일 | 박은영 기자 이메일

[무비스트=박은영 기자]

영화와 드라마, 오컬트와 힐링물까지 매체와 장르를 자유자재로 넘나들며 팔색조의 얼굴을 선보인 김태리. 30대 대표주자로 손꼽는 데 이견이 없을 만큼 훌륭한 연기력과 뛰어난 선구안을 지닌 배우다. 드라마 <악귀>로 시청자를 오싹하게 만들어 연기 대상을 거머쥔 지난해에 이어, <외계+인> 2부로 새해 포문을 연 김태리를 만났다. 향후 그리워할 영화의 순간이 있다면 <외계+인>일 것 같다고 각별한 애정을 드러낸다. 그만큼 행복했다고 털어놓는다.

SBS 연기대상을 받은 드라마 <악귀>에 이어 <외계+인> 2부에서도 반전 캐릭터를 연기한다. 시기상으로 <외계+인>의 ‘이안’이 먼저라 <악귀>의 ‘산영’을 연기하는데 도움됐을 것 같다.
두 작품은 약간 비슷한 결이 있다. 무슨 말이냐면, 기존에는 글(대본)을 받아 (내가) 그 내용을 어떻게 하면 훌륭하게 해낼까가 주였다면 <악귀>와 <외계+인>은 감독님 이하 배우 모두가 함께 만들어 가는 느낌이었다. 다 같이 의견을 나누고, 서로의 (작품에 대한) 이해도가 섞이면서 작품을 가꾸어 나간다고 할지, 이런 식의 작업이 가능하다는 걸 배웠었다. <악귀>의 산영은 아무래도 최근작이라, 경험이 쌓이면서 오는 상대적인 수월함이 있었던 것 같다. 사실 ‘이안’은 내 그릇보다 큰 인물이라 초반에는 어려웠었다. (웃음)

두 작품 모두 반전 연기가 일품인데 노하우가 있나. (웃음)
보통은 앞뒤 씬과 상황, 그리고 관계에 집중하는 편이다. <외계+인>이나 <악귀>나 내가 실제로 보지도 경험하지도 않은 상상이 필요한 판타지 세계다 보니 어떻게 표현할지 좀 고민했었다. 결국에는 해보는 수밖에 없는 것 같다. 그냥 하는 거다, 정답은 없는 거니 말이다.

<아가씨> <1987> <리틀 포레스트>의 흥행 성공에 비해 <외계+인> 1부는 상대적으로 부진한 성적을 받았다. 이런 경우는 처음이라 한편으로는 좋은 경험이 되었지 않나 싶다. 어떤 마음이었나.
작품이 잘 되고 안 되고는 의지의 문제가 아니라는 생각을 늘 갖고 있다. 타이밍을 비롯해 흥행에는 복합적인 요소가 작용하는 것 같다. 아쉬운 마음이 들었지만, 감독님이 쏟은 각고의 노력과 현장에서 즐거웠던 시간, 또 우리에겐 2부가 있다는 마음으로 응원했다. (웃음)

2부에서 ‘이안’의 변화가 있다면.
2부에서는 ‘외로움’이라는 감정을 표현하고자 노력했다. 이안은 어린시절부터 굉장히 높은 신체능력과 지적수준을 가진 인물이고, 1부에서는 이런 면이 부각되어 멋있고 담대한 인물로 비쳐진다. 하지만 그 역시 약한 면이 있고, 외롭고 힘듦을 느끼는 평범한 인물이라 이를 어떻게 표현할지 고민했었다. 혼자 있을 때의 고독, 무륵과 재회하는 순간의 기쁨, 다시 이별할 때의 안타까움 등 다양한 감정을 드러내고 한층 인간적인 면모를 보이는 게 변화라면 변화겠다.

작품을 하면 할수록 인물(캐릭터) 해석을 관계 위주로 해석하게 되더라. 이 사람을 대할 때의 모습 저 사람을 대할 때의 또 다른 모습같이 관계에 초점을 맞추면 캐릭터가 더 잘 보이게 된다. 최동훈 감독님의 영화야말로 모든 인물의 관계성이 잘 어우러져 있다고 생각하고 덕분에 상황을 잘 따라가기만 하면 돼서 감정 표현에 큰 어려움은 없었다.

감정 연기뿐만 아니라 검, 총, 무술 등 다양한 액션을 선보이는데 힘들지 않았나.
원래 몸 쓰는 걸 좋아해서 재미있었다. 이번에는 기차 안에서 몸이 돌아가는 장면이 있는데, 특히 기억에 남는다. 극 중 짧게 지나가는 장면이라 관객은 아마도 기억하지 못하실 수도 있겠다. 선배님들은 와이어 타야 한다고 하면 장난처럼 또 탄다고 툴툴대기도 하셨는데 사실 나는 별로 탈 일이 없어서 아쉬웠었다. 또 완성된 영화를 보면서는 언제 어디서 와이어를 타고 있는지 (나는) 아니까, 그걸 찾아보는 재미가 쏠쏠하더라. 나 혼자만의 관람 포인트라고 할까.

참여한 배우들이 이구동성으로 너무나 좋은 현장이었다고 하더라. 특별했던 이유가 뭘까.
음… 일단 출연 배우가 많아서 다양한 의견을 나눌 수 있어서 좋았고, 특히 많은 선배가 계셔서 그렇게 의지가 될 수 없었다. 내가 막내라는 정말 흔치 않은 경험을 한 현장이었다. (웃음) (나이를 먹음에 따라) 앞으로는 더더욱 힘든 경험 아닌가! 또 정아 언니를 보며 코믹한 연기를 배우려고 노력했는데 못 배운 것 같다. 나 같으면 연기하기 위해 어떤 이유가 있어야 하고 하여튼 잡다한 무언가가 필요한데, 언니는 ‘음.. 오케이’ 하고 그냥 하는데 엄청나게 잘해서 너무 멋있더라.

곁에서 지켜본 최동훈 감독님은 어떤 분이던가.
<외계+인> 이전부터 시나리오를 보지 않고도 같이 하고 싶을 정도로 너무 좋아하는 감독님이었다. 현장에서 감독님은 끊임없는 디벨롭, 그러니까 즉흥적으로 발생하는 그 어떤 것도 놓치지 않고 작품에 다 녹여내려 하는 아주 적극적이고 전투적인 분이셨다. 감독님의 색채를 원래 좋아했지만, 함께 작업하면서 그 고뇌와 해법을 곁에서 지켜보니 사랑에 빠졌다고 할까. (웃음) 두 번 세 번 또 하고 싶은 마음이다.

데뷔작 <아가씨>부터 필모가 좋기로 손꼽히는 30대 대표 주자다. 작품 선구안도 좋은데 선택 기준이 있다면.
특별히 도전한다는 느낌은 아니지만, 일단은 해보지 않은 작품과 캐릭터에 끌리고 선택하게 되는 것 같다. 새로운 걸 하는 즐거움과 그 안에서 새롭게 배우는 즐거움이 있고, 하나의 인물에 갇히지 않고 다양한 캐릭터를 만나고 싶은 욕심도 있다.

연기 혹은 배우로서 재미를 느끼는 순간은 언제인가.
배우 일의 재미는 ‘이런 식으로도 할 수 있구나’ 하고 느낄 때다. 연기 스타일이나 캐릭터 분석 혹은 소통하는 과정에서 새로운 걸 배우는 순간의 쾌감이 크다. 지금 작업에서 알게 된 것들을 다음 작업에 반영하고 그러면서 또 다른 새로운 걸 만나게 되는 것 같다.

개인적으로 ‘이것만은 꼭 지킨다’ 하는 원칙이 있을까. 또 추구하는 연기 방향이 있는지.
원칙이라고 하기에는 너무 거창하고, 작품 하면서 옳다고 생각하는 걸 계속 주장하는 것과 안 되는 걸 인정하고 포기하는 것 사이에서 고민이 많다. 내가 생각한 정답이 누군가에겐 오답일 수 있고, 또 내가 오답이라고 생각했던 것이 어느 순간에는 정답일 수 있어서 그 경계를 찾아가는 과정인 것 같다. 평소 어떤 길을 추구한다고 해서 그 길로 갈 수 있는 건 아니라고 생각해서 뚜렷하게 그리고 있는 방향은 없다. 지금까지 한 것처럼 앞으로도 하면 되지 않을까 한다. 무엇보다 스스로가 만족할 길을 가고 싶은 마음이다.

가볍게 묻자면 김태리에게 류준열이란.
찐친이다. 만나면 서로 놀리기에 바쁘지만, 현장에서 누구보다 의지가 되는 동료다. 특히 <외계+인>을 하면서 많이 도움받았다.

마지막 질문이다. <외계+인>은 당신에게 어떤 의미로 남을 것 같나.
앞으로 영화라는 분야가 어떻게 변화할지 모르겠지만, 내가 그리워하는 영화의 순간이 있다면 그게 <외계+인> 일 것 같다. 그만큼 행복했다.


사진제공. CJ ENM

2024년 1월 25일 목요일 | 글_박은영 기자 (eunyoung.park@movist.com 무비스트)
무비스트 페이스북(www.facebook.com/imovist)

0 )
1

 

1 | 2

 

1일동안 이 창을 열지 않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