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볼프강 보르헤르트, <문 밖에서> 중에서
영등포에 처음 간 날을 잊을 수 없다. 현대적인 복합 쇼핑몰의 정문으로 들어갔다가 뒷문으로 나왔을 때, 눈앞에 펼쳐진 풍경은 같은 동네라기에는 너무나 이질적이고 현실 같지 않았다. 그 당혹스럽고 기묘한 기분 때문에 한참을 서 있었다. 그곳은 피부로 체감되는 공기 자체가 달랐다. 그것은 세련된 모노톤 사진 속에 존재하는 서울이 아니었다. 끈적끈적하게 달라붙는 공기가 모든 감각의 촉수를 자극하는 진짜 도시였다. 아니러니하게도 나는 그 순간 ‘살아 숨 쉬는 세상’이라는 걸 강하게 실감했다. 한편으로는 다시는 오고 싶지 않다고도 생각했지만. 김기덕의 영화를 볼 때면 그날의 기억이 되살아나곤 한다.
며칠 전 라디오 인터뷰에서 김기덕은 “차기작은 내가 늘 이야기했던 것처럼 삶의 균형에 대한 영화가 될 것”이라고 했다. 그런 영화라면 로맨틱 코미디라도 만들 수 있다고 했다.(물론 그의 로맨틱 코미디를 상상하는 것 자체가 힘들지만.) 몇 해 전 아르헨티나의 평론가 마르타 쿠를랏과의 인터뷰에서 그는 “검은 색과 흰 색은 같은 것이다”고 말했다. 선문답 같은 이 말은 그의 작품들을 관통하는 화두다. 세계는 대칭으로 이루어져 있고, 흰 색을 설명하려면 결국 검은 색을 이야기하게 된다. 그것은 자연스럽게 둘 사이의 경계, 균열, 모순, 균형의 이야기로 넘어간다. 그러니 그의 작품을 다수가 불편해하는 건 당연하다. 누구나 다 알면서도 마주치고 싶지 않은 진실을 먼발치에서 보는 건 쉽다. 문제는 그게 느닷없이 자신의 면전에 들이닥쳤을 때다. 비록 그게 ‘살아있는’ 것이라 해도, 영등포 뒷골목에 발을 들였을 때처럼, 사실은 관여하고 싶지 않다는 게 누구나의 본심이냐고 묻는다면, 아니라고는 못하겠다. 보르헤르트의 희곡 <문 밖에서>의 한 대목이 머리를 스친 건 <피에타>를 본 직후였는데, 이처럼 김기덕의 영화들과 정확하게 매치되는 표현이 또 있을까 싶다. 인간을 뿌리까지 이해하고 싶다면 비위와 담력부터 길러야 한다.
김기덕은 사람들이 뚝뚝 떨어지는 핏물을 보고 놀랄지언정 언제나 싱싱한 횟감을 잡아 내놓는다. 비유가 어울리는지는 모르겠지만, ‘리트윗’으로 우회하지 않고 거칠더라도 자신이 직접 쓰는 식이다. 한 가지 궁금해진다. 만약 <피에타>가 기록적으로 흥행한다면 어떻게 될 것인지. 그를 둘러싼 상황과 여건이 모두 바뀐다면 그의 표현에도 변화가 생길 것인지. 확신은 못하지만 당분간은 그렇게 될 것 같지 않다. ‘검은 색과 흰 색’의 비유가 유효한 이상은 그럴 것이다. 그 자신의 말대로 김기덕의 영화들은 모두 ‘내 삶의 모순에서 시작된’ 것이기 때문이다. 그 모순을 초월하는 경지에 이르고 싶다는 그의 목표가 이루어진다면, 흰 색과 검은 색이 똑같아진다면, 그때는 또 모르겠다. 그렇게 된다면 영화를 만들 이유가 아예 없어질 수도 있고.
2012년 9월 13일 목요일 | 글_최승우 월간 PAPER 기자(무비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