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검색
검색
[진단] 거미줄에 한국 영화계가 걸려들다?
2007년 5월 15일 화요일 | 민용준 기자 이메일


대한민국 관객들이 대거 거미줄에 걸려들었다. 하지만 걸려든 건 관객들만이 아니다. 거미줄에 걸려든 건 위기감이 팽배한 한국 영화계라는 월척이다.

개봉 주말 기준, <스파이더맨3>은 무려 250만 명을 넘어섰고, 2주째를 맞은 현재까지 400만을 극장으로 불러들인 상태다. 개봉관은 816관에서 745관으로 줄어들긴 했지만 여전히 전국 상영관의 과반수에 가까운 수치다. 스크린 독점 논란여지가 충분한 상황이다. 사실 <스파이더맨3>의 스크린 독점 현상은 관객과 극장 주의 기대가 맞물린 결과다. 관객의 입맛을 만족시킬만한 작품이 부재했던 올 해, 극장가엔 관객의 발길이 그만큼 줄었고 극장의 수익이 예년 대비 많이 하락했다. 한국 박스오피스 통계에 따르면 <스파이더맨3>가 개봉한 지난 일요일(5월 6일)까지를 기준으로 올 해 관객 수는 작년에 비해 천만 명이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스파이더맨3>가 가뭄에 단비가 될지는 미지수다. 현재 <스파이더맨3>가 불러들인 관객의 수가 올해 관객동원의 계기로 확산되기보단 시장을 잠식하는 부작용으로 돌변할 수 있고, 이미 그러한 우려가 현실화되고 있는 중이다. <아들>과 <이대근, 이댁은> 등, <스파이더맨3>와 동일 개봉작들의 관객 동원이 미비했고, 선 개봉작들의 스코어가 곤두박질쳤음은 그런 사안을 민감하게 한다.

이에 따라 민노당 천영세 의원이 주장했던 스크린 독과점 규제 정책이 다시 수면으로 떠오르고 있다. 작년, <괴물>의 620개 상영관 확보로 설득력을 얻었던 이 주장은 한국영화 사상 최고 관객 동원이란 자축 분위기에 가라앉았던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스파이더맨3>가 <괴물>보다도 200여관이 확대된 816개 관을 독식함으로써 다시 한 번 이 주장이 탄력을 얻고 있다.

하지만 이런 배경엔 한국 영화계의 자기 방어적 논리가 담겨있다. 작년 <괴물>의 흥행 당시만 해도 정책의 필요성은 인정했지만 큰 목소리를 내지 못했던 건 한국영화의 흥행이라는 축제 분위기에 찬 물을 끼얹을 수 없다는 심리가 작용했던 것. 또한 스크린 쿼터 폐지의 대안용으로만 스크린 독과점 규제를 생각한다면 오산이다. 스크린 쿼터가 일종의 한국 영화 산업의 보루 역할이었다면, 스크린 독과점 규제는 영화 산업 전반의 형평성 맞추기가 과녁지점이다. 그런데 정책의 목적이 스크린 쿼터 폐지의 공백 메우기가 된다면 정책의 진정성이 훼손되고, 반대의 목소리에 힘을 실을 수 있다. 한 영화가 시장 절반을 잠식하는 상황에서 정책의 필요성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 다만 오용되어선 안 된다. 스크린 쿼터가 외세의 시장 개방 압력에 의해 무너졌듯, 스크린 독과점 규제 역시 자유 시장 논리에 의해 무산될 수 있다.

지금 한국 영화계가 위기를 맞이한 근본 원인은 스크린 쿼터가 동강났기 때문만은 아니다. 작년 한해, 제작된 영화는 총 108편. 이는 득보단 실이 많았다. 과도한 제작 편수 증가로 투자가 과열되고, 그로 인해 국내 영화간의 홍보 경쟁이 치열해졌다. 그 결과, 순 제작비와 무관한 비용이 발생하여 제작비 부담이 증가했고, 작품마다 손익 분기점이 치솟았다. 그로 인해 손실을 본 영화들이 속출했고, 이는 전체적인 영화계의 빈곤 현상으로 확산됐다. 영화진흥위원회의 조사에 의하면, 작년 한국 영화의 평균 마케팅 비용은 14억 4천만 원 선으로 이는 전체 제작비의 35%를 넘는 액수다. 또한 작년 개봉된 한국영화 108편 중, 손익분기점을 넘은 영화는 20% 수준에 그쳤다. 천만 관객을 넘은 영화 두 편이 나왔지만 실질적으론 침체의 상황이었던 것. 결국 부메랑은 날아왔다. 손익분기점을 넘지 못한 영화들은 고스란히 투자자들에게 손실을 안겼고, 올 해 영화 투자 자본은 급격히 감소했다. 작년 108편의 영화가 제작됐으나 올해 제작되는 영화는 불과 60여 편에 지나지 않는다.

현재 한국 영화계의 위기는 치명적인 시스템 오류가 발견되었으나 이를 수정하지 않고 실행했기 때문에 결국 과부하 현상을 낳은 것이다. 그리고 설상가상으로 스크린 쿼터까지 반토막나는 상황이 붙여넣기된 것이다. 그런 상황에서 스크린 독과점 폐지를 위기의 탈출구로 삼는다는 관점은 우려스럽다. 물론 <스파이더맨3>가 조만간 개봉할 헐리웃 블록버스터들의 스크린 독점의 신호탄이 될 수 있기에 이에 대한 발 빠른 대처의 실효를 거둘 순 있다. 허나 일시적인 진통제 효과를 누릴지 몰라도 장기적인 소생으로 연결될 순 없다. 또한 시장성을 먼저 생각하는 극장 주들의 입장을 무시한 처사라는 반발과의 합의점을 찾지 못한다면 급속하게 정책을 실행하는 것도 쉽지 않다.

결국 <스파이더맨3>를 향한 관객들과 극장 주들의 갈망이 어디서 비롯되었는가를 고민해야 한다. 이는 한국 영화가 헐리웃 블록버스터를 견제할만한 상품성을 지니지 못했기 때문이란 자성이 이뤄져야 한다. 한편으론 <괴물> 흥행 당시, 박수만 치지 말고 독과점 규제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이뤄졌다면 <스파이더맨3>로 인한 시장 잠식 상황이 발발되진 않았을 것이고, 스스로의 자성에서 비롯된 정책 마련이란 전시 효과도 거둘 수 있었을 것이다. 결국 <스파이더맨3>를 통한 논란은 한국 영화계가 처한 위기 국면이 어디서부터 발생했는가를 여실히 드러낸다.

독과점 규제 정책을 모색하되 한국 영화의 방어적 대안으로만 삼아서는 안 된다. 정책이 지니고 있는 본질, 즉 다양한 영화를 접할 수 있는 관객의 권리를 위한 정책 기조가 우선 고려되어야 한다. 또한 그와 함께 한국 영화 위기에 대한 의견 교환이 선행돼야 한다. 극장 수입이 중심이 되는 수익 구조의 다양한 루트를 마련하는 것도 시급하다. 극장에서 흥행이 실패할 경우, 제작비의 손실은 고스란히 투자자에게 돌아간다. 이는 투자 저하로 이어지고 결국 영화계의 손실로 남는다. 외국의 경우는 극장 수입도 중요하지만 부가 판권과 DVD 시장 등의 개봉 후 수익 구조를 통해서도 손실을 만회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해외 시장의 활로를 모색해야 한다. 최근 한국 영화의 해외 수출이 급격히 감소한 까닭은 몇몇 한류(韓流) 스타의 인기를 등에 업은 일본 시장에 의존했기 때문이다. 결국 일본 시장에서 연이은 흥행 실패가 수출 감소로 이어졌고, 이는 전체적인 한국 영화의 수출 실적 저하로 연결됐다. 결국 다양한 해외 시장 루트를 개척하고, 실적의 상승으로 이어나가야 한다. 더불어 작품 자체에 대한 고민이 이뤄져야 한다. 다양한 소재 개발과 참신한 기획으로 작품 자체를 통해 관객과 소통할 수 있어야 한다. 관객들을 극장으로 불러들일 수 있는 영화를 만들어야 한다는 것.

단순히 거미줄만 쳐내자는 근시안적 가위질 정책보단 장기적인 안목으로 전반적인 리모델링을 고민해야 한다. 집안에 빗물이 샌다고 떨어지는 빗방울 피해만 있을 수는 없는 노릇이다. 비를 맞더라도 나가서 지붕을 막아야 한다. 결국 위기 상황을 제 자식 감싸기만으로 피할 수만은 없는 노릇인 것이다. 영화인들의 지혜로운 선구안과 책임을 통감할 줄 아는 연대적 자성이 절실한 시기다.

2007년 5월 15일 화요일 | 글_민용준 기자

30 )
kpop20
포스터 정말 잘 만들었어요   
2007-05-16 00:20
hassi0727
우리가 너무 성급하게 생각한건가.. 왜 우리나란 아직 저런 영화를 못 만들지? 화려한 CG가 돗보이면 스토리가 영 아니고,, 스토리가 좋으면 스펙터클한 부분이 모자라고..   
2007-05-15 22:01
ldk209
솔직히 한국영화의 위기는 영화계가 자초한 측면이 크다...   
2007-05-15 21:49
justjpk
한국영화의 위기.. 빨리 극복 되어야 할텐데..
앞으로 더욱 많은 해외 영화들이 올테고.   
2007-05-15 20:14
kgbagency
500안으로 끝나라~~   
2007-05-15 18:18
bjmaximus
음.. 암튼 한국 영화계가 위기는 위기인가보네.   
2007-05-15 18:16
1 | 2 | 3 | 4

 

1 | 2

 

1일동안 이 창을 열지 않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