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검색
검색
최초평가! 인간을 구원하는 건 오직 인간이다.
밀양 | 2007년 5월 2일 수요일 | 민용준 기자 이메일

“다 똑같아예. 뜻보고 사는 사람 있습니꺼? 그냥 살지예.” 종찬(송강호)의 대사처럼 밀양은 우리가 아는 그 곳들과 마찬가지로 결코 특별하지 않은 공간이다. 다만 그 안에 머무는 사람들까지 평범한 건 아니다. 단지 그것이 평범하게 느껴지는 건 우리에게 무관심으로 익숙해진 덕분이다. 그리고 밀양이란 공간의 거대한 수면에 잠식된 개인은 공간이라는 전체 개념으로 인식된다. <밀양>은 평범하지 않은 군상들 안에 내재된 특별한 삶을 휘젓는 작업이다.

밀양이라는 평탄했던 수면은 신애(전도연)로 인해 출렁인다. 마치 철 모르고 날아든 철새처럼 서울에서 밀양으로 서식지를 옮겨온 신애는 밀양이란 평범한 공간에 상주하는 이들의 주목을 받고 이는 곧, <밀양>의 화두를 낳는 구심점으로 발화된다. 사별한 남편이 살아생전 원했던 생의 공간이 밀양이었기에 그를 쫓아 내려왔다고 말하는 신애는 서울 출신이란 품위에 걸맞는 재력을 과시하지만 아이의 유괴라는 밀양의 대접을 통해 그것이 죄다 허세였음을 스스로 구차하게 뱉어낸다. 결국 <밀양>은 신애의 자승자박을 통해 삶이란 궤적을 살피는 작업이다. 신애를 찾아온 남동생을 통해 신애의 남편이 죽게 된 사연을 엿듣게 되는 순간, 이미 그런 사실은 선명해졌다. 결국 남편의 공백을 아들로 메우려 하지만 그녀의 허세는 그마저 상실케 하고, 결국 그 상실은 그녀를 믿음에 귀속시킨다. 하지만 스스로를 강압하던 신앙으로의 도피는 유괴범을 용서하겠다는 결의로 이어지지만, 신으로부터 용서를 얻었다는 유괴범의 평온한 인상에서 다시 자신의 선택이 능욕당했음을 깨닫는다. 결국 새로운 삶을 시작하고자 찾은 밀양에 대한 배신감에서 신앙으로 도피했던 신애는 그만큼의 배신감을 다시 덧씌우게 된다.

<밀양>은 종찬과 신애의 관계만을 살피자면 굽이돌아 안착하려는 로맨스로 이해할 수도 있고, 신애의 뚜렷한 행적을 쫓으면 삶의 허기를 채우고자 방황하는 식탐가 기질의 인간적 욕망으로 읽힐 수도 있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믿음은 과연 인간에게 구원의 답변으로 소통될 수 있는가에 대한 진지한 성찰에 가깝다. 그리고 그 성찰에 박동을 가하고 호흡을 꾀하는 건 전도연, 송강호의 불세출 연기다. 전도연의 처절한 연기가 극의 무게감을 가중시킨다면, 송강호의 허허실실 연기는 피로감을 덜어주는 자양강장제처럼 활력을 덧붙인다. 또한 이름이 드러나지 않는 단역배우들의 예사롭지 않은 범인(凡人)스런 연기는 <밀양>이 지닌 리얼리티 그 자체다.

4년 만에 스크린에 복귀한 이창동 감독의 <밀양>은 전작들에 비해 심오하면서도 노골적인 사유를 드러낸다. 종교적 묘사로 인한 논란의 여지는 <밀양>의 본질과 무관하다. 특정 종교에 대한 혐오라기보단 인간이란 미약한 존재가 절대자의 의지를 읽고 궤적을 쫓는 과정을 되짚는 물음이다. 또한 기독교가 묘사의 대상이 된 건 밀양이란 도시가 이 영화에서 이야기되는 것처럼 별반 뜻이 없다. 단지 대한민국에서 기독교라는 종교가 차지하는 점유율이 보편성의 이미지를 부여하는 덕분이다. 마치 밀양이란 도시의 이름이 <밀양(密陽)>이라는 단어와 중의적으로 혼용이 가능했다는 까닭에 제목으로 지정된 것처럼.

종교란 인간이 가둔 신의 그릇에 불과하지 않을까? 신의 뜻을 인간이 헤아리고 따른다는 것이 가당한 건가? <밀양>은 인간의 세속적 믿음이 신의 뜻이라는 명명으로 도피되는 상황을 묘사한다. 신에게 스스로 은총을 간청하는 인간의 천박한 욕망은 메아리를 듣지 못하고 현실의 비극으로 인해 스스로 내동댕이쳐질 뿐이다. 밀양을 찾아가는 신애의 자가용 위에 펼쳐진 하늘이나, 믿음에 대한 배신감을 느낀 신애가 간통을 전도하는 순간 신을 조롱하며 바라보는 하늘은 언제나 그 자리에서 푸르기만 하다. 결국 ‘신은 언제나 우리 곁에 있다’고 말하는 신도들의 믿음과 무관하게 절대자는 존재하는 것만 같다. 다만 구원도 은총도 아닌 존재만으로. 신애가 어제의 비극 안에서 결국 구원을 꾀하고 홀로 배신감을 느끼는 것과 상관없이. 신애가 머리카락을 자르며 종찬이 든 거울을 바라보는 현실과 무관하게 은총 같은 햇살이 마당을 비출 따름이다. 신은 결국 밀양이라는 공간에 내리쬐는 볕으로 인간에게 은총을 내리고 있는 것은 아닐까? 다만 우리가 그 이상을 요구하며 기도를 남발할 뿐. 결국 허기진 삶을 채우기 위해 헛걸음하던 신애를 끝까지 배웅하는 건 종찬이다. 인간을 구원하는 건 결국 신이라기 보단 오직 인간 본인일지도 모른다.

가늠하기 힘든 신의 뜻처럼 <밀양>은 깊게 내리쬔다. 다만 신앙으로 받아들이는가의 문제를 인간이 결정하듯 <밀양>의 온기가 담은 고민을 품을 수 있는가도 관객의 문제일 것이다. 결국 <밀양>은 신보다는 인간에 대한 고찰이며 종교적이라기 보단 철학적 고민이다. 그리고 141분의 러닝 타임은 그 믿음을 시험하는 가시밭길이 될 것이다.

2007년 5월 2일 수요일 | 글: 민용준 기자




-4년만에 돌아온 이창동 감독의 전작이 그대의 향수를 자극한다면!
-전도연, 송강호의 연기는 단연 극찬감이다!
-걸작이다. 믿으라. 그럼 만족받으리!
-블록버스터가 넘치는 5월, 진지함 따윈 필요없다면.
-이창동의 전작이 그대에게 일말의 감흥을 주지 못했다면. (<밀양>을 위해서.)
-종교적 관점에서 모든 것을 해석하는 독실한 신도라면 오해를 부를 여지가 농후하다.
57 )
navy1807
오늘 관람할려고 예매해 놓았는데 기대됩니다.   
2007-05-26 12:51
szin68
진짜 그런 영화였으면...   
2007-05-24 00:39
dlsgud22
음 ~`   
2007-05-23 17:56
kpop20
예고편 봤어요 ^^   
2007-05-23 17:19
kiki12312
칸 영화제에서 좋은 소식 있었으면 좋겠어요 ^^   
2007-05-23 14:22
ldk209
이제 개봉했네....   
2007-05-23 14:08
jy9983
별로일 것 같은데 좋았으면 한다.   
2007-05-23 10:06
egg2
아무튼 말이 많은 영화네요   
2007-05-23 02:54
1 | 2 | 3 | 4 | 5다음으로 다음으로

 

1 | 2 | 3

 

1일동안 이 창을 열지 않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