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혼이 기어 나오면서 말로 형언할 수 없는 소리를 낸다. 시미즈 다카시의 <주온>은 그 괴이한 소리 때문에 두 번 다시 보고 싶지 않은 공포영화였다.
그런데 샘 레이미 감독은 원작 리메이크도 부족해 시미즈 다카시 감독마저 고스란히 기용해 미국판 <주온>인 <그루지>를 제대로 재창조한다. <주온>의 팬이거나 공포영화 매니아라면 구미당기는 소식이지만 영화를 본 뒤로 샤워할 때마다 거울 앞에서 두 눈 부릅뜨고 서서 머리 감는 필자 같은 이들에게는 “왜 그런 걸 또 만들어?”하는 역반응도 심심찮게 나올 것이다.
하여튼 넓디넓은 태평양을 특유의 기는 동작으로 건너간 <주온>의 ‘원혼’은 입을 헤~ 벌린 채 계단 빠르게 기어오르기(원작에서는 계단 기어 내려오기만 있다), 머리체로 천정에 사람 목 고정시키기, 이불 속에서 순간 사람 사람지게 하기 등, 가공할만한 그 기술들에 섬세함까지 더해 보는 이의 온 구멍을 쥐락펴락한다. 원혼의 아들네미 ‘토시오’도 엄마의 한풀이를 위해 원한의 전령사로 ‘효자’ 노릇 톡톡히 하고 있다. 시미지 다카시의 극장판 <주온>시리즈의 엑기스만 보아 만든 <그루지>는 말 그대로 ‘리메이크’로써의 책임을 완수한다.
느끼한 빠다 냄새 나는 할리우드 <주온>-<그루지>-는 개운하게 쏟아내지 못해 고통스러운 변비처럼 강력한 공포의 잔영을 남긴 원작보다, 관장약 두통을 거시기에 내리부어 억지로 쾌변의 단맛을 느낀 과거의 그때처럼 뒤끝이 ‘개운’하기만 하다. 원작과 리메이크작의 소소한 차이라고 대수롭지 않게 치부할 수도 있다. 그러나 영화 관람 당시보다 보고 난후 일상생활에서 영화의 후유증을 적잖게 받은 원작의 드센 공포를 생각한다면 심각한 결함이 아닐 수 없다. <그루지>는 제작과 주연만 미국인이 했지 나머지는 원작 그대로다. 공포의 ‘난이도’가 다른 이유는 여기에 있다.
시미즈 다카시 감독이 메가폰을 잡고 만든 <그루지>라도, 내재한 시선은 동양의 공포를 신기하게 여기는 타자의 것이다. 마치, TV프로 <체험!삶의현장>처럼 안 해도 되는 일을 굳이 찾아가 억지로 경험하는 것과 같은 논리다. 한국, 일본을 필두로 한 맺힌 여자 귀신을 공포의 대상으로 내세운 동양의 정서가 서양보다 더 낫다는 소리가 아니다. 단지, 진짜 무서운 걸 보여주는 게 애초의 의도라면 ‘어드벤쳐’식 구성으로 주온의 원혼을 불러들이지 말아야 했다. 피터(빌 풀먼)교수의 자살을 원혼의 과거로 설정해, 미스터리 구성으로 짜깁기한 것은 다분히 할리우드적인 내러티브의 인과율 밖에는 안 된다.
버스 창에 비친 원혼의 얼굴, 턱 빠진 첫 번째 희생자 요키 귀신 등, 무차별적으로 등장하는 공포 코드-샘 레이미 감독의 장기인 점프스케어(Jump Scare)효과-는, 집중력을 요하는 분위기로 공포의 강도를 조절한 원작 또는 아시아 공포영화보다, 영화 자체를 되레 가볍게 만든다. 공포영화 공식이 뒤로 갈수록 공포의 난이도가 높아지는 법이라고 해도 어설프게 인과율을 적용해 우후죽순으로 등장한 원혼은 매력 없다.
그래도 주인공 카렌으로 분한 ‘사라 미셀 켈러’의 겁에 질린 표정만큼은 주온이 인종 안 가리고 저주 내림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사실, 원작이라는 비교대상만 없다면 <그루지>는 동양의 공포를 흉내 내는 할리우드 영화들 중, 가장 웰-메이드한 작품이다. 그걸 부정하지는 않겠다. 그나저나 <주온>의 저주가 하루빨리 끝나야, 서서 머리 감지 않아도 될 날이 돌아올 텐데 걱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