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 지방 특유의 사투리가 존재하는 현재.. 아주 먼 옛날에도 사투리는 존재했을 것이다. 고로 역사책 속의 인물들도 그 지방 특유의 사투리를 구사했을 것이다."
어찌보면 너무나 당연한 이 짧은 생각이 따분하고 지루하게만 느껴지던 역사를 색다르게 바꾸어 놓은 영화 "황산벌"은 이렇게 시작되었다.
영화 "황산벌"에는 웃음과 감동이 있다.
코미디의 한 요소로 많이 사용되어온 사투리.. 언제 들어도 구수한 사투리의 감질나는 맛이 관객들의 웃음을 자아낸다.
반면, 중후반으로 갈수록 웃음보다는 전쟁의 참혹함을 부각시키면서 전쟁에 대해 한번쯤 다시 생각하게 만든다.
개인적으로 계백이 칼을 맞고 쓰러지는 부분에서.. 괜시리 눈시울이 붉어짐을 느꼈다.
정말 내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한국인 정서에 걸맞는 영화인 것 같다.
다만, 아쉬운 점이 있다면 지나친 욕설과 폭력성.. 조금은 자제되어야 할 것이다.
아직은 미성숙한 청소년들을 위해서..
어쨌든 참신한 아이디어에 점수를 마구 주고 싶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