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비스트=박꽃 기자]
|
윤성현 감독의 <사냥의 시간> 줄거리는 꽤 간단하다. 폐허가 된 도시를 살아가는 희망 없는 청년들이 의문의 추격자와 맞닥뜨린다. 주인공들 앞에 “사연 없는 악당이 등장해 ‘캣앤마우스’(Cat And Mouse) 장르처럼 서로 쫓고 쫓기는” 작품이라는 게 감독의 설명이다. 자연스럽게 서사의 힘은 최대한 빼고 젊은 세대의 혼탁한 지옥도 안에서 서스펜스를 끌어내려 했다. 방대한 대사를 무기 삼아 인물의 심연을 들여다본 감독의 전작 <파수꾼>(2011)과는 전혀 다른 접근법이 필요했고, 장르 영화 특성을 제대로 살리기 위해 영상, 미술, 음악, 음향에 집중했다. 그 과정이 종종 “계란으로 바위 치기”처럼 느껴질 때도 있었다고 말하는 윤성현 감독의 이야기를 조금 더 들어본다.
*코로나19 국면의 ‘사회적 거리두기’ 캠페인에 맞춰 화상 인터뷰를 진행했습니다.
<사냥의 시간>은 폐허가 된 도시가 배경이다. 근미래를 다룬 작품을 연상시킨다.
남미, 미국의 디트로이트 등 슬럼화된 많은 도시를 참고했다. 남미에서는 음료수 하나를 사려고 해도 돈다발을 건네야 할 정도로 화폐가 무가치해 놀랐던 기억이 있다. 프랑스 빈민가 청년들 이야기를 다룬 <증오>(1997)의 느낌에 영향을 받은 부분도 있다. 그런 것들을 참고삼아 세계관을 만들되 현실적인 영역을 다루고 싶었다. <마이너리티 리포트>(2002)나 <블레이드 러너>(1982)만큼의 미래를 담거나 ‘사이언스’가 들어가는 SF영화는 아니다. 우화적인 공간이라고 하는 게 맞을 것이다.
주인공은 4명의 청년들(박정민, 안재홍, 이제훈, 최우식)과 의문의 추격자(박해수)다. 그들이 머무는 곳은 어떤 우화적인 공간인가.
한국 사회를 생존하기 어려운 지옥에 빗대 표현하는 청년 세대의 이야기를 장르적으로 풀었다. 내 주변에 현실에서 벗어나 낙원으로 도망가고 싶은 심정인 친구들이 많다. 이들의 지옥도를 어떤 형식으로 풀어나갈까 고민이 많았고 범죄, 서스펜스, 엔딩에 가서는 서부극까지 한가지 장르에 국한되지 않고 여러 장르를 차용해 표현했다.
전작 <파수꾼> 이후 9년 만의 신작이다. 짧지 않은 시간이 흘렀는데.
<파수꾼> 이후 굉장히 규모가 큰 드라마 장르의 시나리오를 썼다. <사냥의 시간> 순제작비가 90억 수준인데 그 두 배 정도 되는 작품이었다. 그게 잘 안되면서 2011년부터 2016년까지 4~5년 정도의 세월을 보냈다. 좀 더 여우같이 대비를 해야 했는데 너무 정직하게 한 작품에만 집중했다. 변화에 대응하는 움직임이 빠르지 못했다. 좀 더 여러 작품을 준비해야 2~3년에 한 편씩 연출할 수 있구나 싶다.
| ||
| ||
|
<파수꾼> <사냥의 시간> 모두 직접 시나리오를 썼다. 시나리오 작가와 함께하는 작업도 염두에 두고 있는가. 작가가 좋은 시나리오 집필에 힘써주면 감독으로서는 연출에 집중할 수 있는 여지를 확보하고 신작을 내놓는 시간이 더 빨라질 수 있을 것 같은데.
지금도 소통하는 작가님들이 있다. 감독이 꼭 글을 써야 한다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그게 감독의 의무도 아니다. 내가 존경하는 감독인 스티븐 스필버그, 구로사와 아키라처럼 직접 쓰지 않은 시나리오도 연출할 수 있다. 감독의 능력은 어떤 구성, 연기, 음악, 효과로 장면과 영화를 보여줄 수 있는지 고민하는 것이다. 나도 내 에너지를 축적해서 거기에만 쏟아붓고 싶은 마음이다. 무엇보다 감독에게는 다음 작품을 만드는 게 가장 행복한 순간이다. 그런 순간을 많이 맞이하려면 더 영민해져야겠다는 생각이다.
<파수꾼>과 달리 <사냥의 시간>은 보다 장르적인 측면에 집중했다는 인상이다.
청년 세대의 고민을 다룬다는 점은 공통적이지만 두 작품은 본질적으로 다르다. <파수꾼>은 대사 위주의 드라마다. 영화 전반에 대사밖에 없고 그래서 비주얼을 보여줄 영역도 없었다. 대신 그만큼 깊이 있게 인물을 들여다볼 수 있었다. 반면 <사냥의 시간>은 결이 다르다. 대사가 많지 않다. 이야기도 단순하고 직선적이다. 배우의 표정, 분위기, 장면 등 이미지와 사운드의 힘으로만 영화를 끌고 나가고 싶다는 욕심이 있었다. 시행착오가 많았다.
예컨대.
독립영화보다 제작비가 많이 투입되니 무언가를 표현하는 게 더 쉬울 거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인물에 초점을 맞추고 다른 영역에는 크게 집중할 필요가 없는 <파수꾼>이 더 편했던 거더라. 우리나라 (영화계)는 드라마 중심적이고 나 역시 드라마에 특화돼 있다. 그런데 드라마를 배제하고 미술과 CG 작업에 신경 쓰려니 어려움이 컸다. 전문가의 도움을 많이 받았지만 계란으로 바위 치기라는 생각도 들었다. 그만큼 많이 배웠다.
|
베를린영화제에 초청받은 기쁨이 그만큼 컸겠다.
1,600명의 관객 앞에서 영화를 처음 선보이다 보니 부담이 굉장히 컸다. 하지만 롤러코스터처럼 내려갔다, 올라갔다 하는 호흡을 함께 가져가는 관객과 같이 관람하니 영화가 더 특별하게 다가오더라. 잊지 못할 순간이다. 서스펜스를 잘 전달했다는 점에서 영화제에서 좋은 이야기를 많이 들었고, 장르를 완벽하게 이해하고 영화를 만드는 감독이라는 평을 들었을 때 일차적인 목표를 이뤘다고 생각했다.
영화는 극장 개봉을 예정했던 것과 달리 넷플릭스로 공개됐는데.
어려운 상황에서도 넷플릭스를 통해 190개국에서 동시 개봉할 수 있어서 너무 영광이다. 많은 사람이 볼 거라고 생각하니 설레고 겁도 난다. 아무래도 영상과 사운드에 집중한 영화인 만큼 핸드폰보다는 조금 큰 TV 화면이나 사운드를 크게 들을 수 있는 스피커를 이용해 관람해주십사, 부탁드리고 싶은 마음은 있다. 그러면 영화의 재미를 더 느낄 수 있지 않을까.
사진_ 넷플릭스
2020년 4월 24일 금요일 | 글_박꽃 기자(got.park@movist.com 무비스트)
무비스트 페이스북 (www.facebook.com/imovis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