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어디에서도 본 적 없는 오컬트 미스터리 <파묘>
# 100년 넘은 무덤의 이장을 지켜본 기억에서 시작된 기획 # 오컬트 장르의 정수를 보여줄 소재 ‘파묘’와 미스터리한 존재 ‘험한 것’ # 베테랑 풍수사, 장의사, 무속인들의 강렬한 팀플레이
거액의 돈을 받고 수상한 묘를 이장한 풍수사와 장의사, 무속인들에게 벌어지는 기이한 사건을 담은 오컬트 미스터리 영화 <파묘>가 신선한 소재와 스토리로 관심을 끌며 2024년 극장가 최고의 기대작으로 주목받고 있다.
영화 <파묘>는 어렸을 적 100년이 넘은 무덤의 이장을 지켜본 장재현 감독의 기억으로부터 시작됐다. 장재현 감독은 “그때 오래된 나무관에서 느꼈던 두려움, 궁금함, 호기심 이런 복합적인 감정들을 언젠가 작품에 담고 싶었다”고 기획의 계기를 밝혔다. 그는 파묘라는 신선한 소재에 동양 무속 신앙을 가미해 지금껏 본 적 없는 새로운 오컬트 미스터리를 완성했다.
독특한 소재에 이어 흥미로운 스토리 역시 관객들의 호기심을 끌어올린다. 미국 LA에서 거액의 의뢰를 받은 무당 ‘화림’(김고은)과 ‘봉길’(이도현)은 기이한 병이 대물림되는 집안의 장손을 만난다. 조상의 묫자리가 화근임을 알아챈 ‘화림’은 이장을 권하고, 돈 냄새를 맡은 최고의 풍수사 ’상덕’(최민식)과 장의사 ‘영근’(유해진)이 합류하며 긴장감을 더한다. ‘묫바람’이 미국에 있는 이들에게까지 영향을 끼친다는 설정은 기존의 관념을 뛰어넘는 발상으로 호기심을 높인다. 절대 사람이 묻힐 수 없는 악지에서 시작된 파묘, 그리고 그곳에서 나온 ‘험한 것’의 등장은 신선한 충격을 전하며 오컬트 장르의 정수를 보여줄 예정이다.
더불어 <파묘>에 등장하는 최고의 풍수사, 장의사, 무속인들의 협업은 과학과 미신 사이의 미묘한 줄타기를 보여주며 재미를 더한다. 장재현 감독은 “<파묘>는 깊이 있는 서사를 가진 <사바하>와 캐릭터 위주의 영화 <검은 사제들> 사이에서 균형을 맞춘 영화”라고 소개하며 서사에 녹아 든 매력적인 캐릭터들의 활약을 강조했다. 땅을 찾는 풍수사, 원혼을 달래는 무당, 예를 갖추는 장의사, 경문을 외는 무당까지, 과학과 미신의 경계에 서 있는 이들의 팀플레이는 손에 땀을 쥐게 하는 긴장감을 전달하며 장르적 재미를 끌어올린다. 각각의 직업들은 묘를 이장할 때 맡은 역할로 나뉜다. 풍수사는 토지를 생물학적으로 분석하며 땅의 오행을 판단하고 장의사는 이장할 무덤의 유골을 수습하며 예를 갖춘다. 무속인 역시 원혼을 달래는 무당과 경문을 외는 무당으로 나뉘어 굿을 하는 등 전문적인 모습을 선보인다. 익숙한 듯하지만 어딘가 새롭고 낯선 이들의 이야기는 보는 이로 하여금 소용돌이치는 파묘의 현장에 함께 있는 듯한 강렬한 체험을 선사할 것이다. 대배우와 대세배우, 그리고 오컬트 장인의 만남
# 장례지도사 자격증에 도전하며 실제 이장에 참여한 장재현 감독 # 오컬트 장르에 첫 발을 디딘 최민식-김고은-유해진-이도현
<파묘>는 오컬트 장르의 한 획을 그은 장재현 감독의 탁월한 연출력과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배우 최민식, 김고은, 유해진, 이도현의 열연으로 압도적 몰입감을 선사할 예정이다.
<사바하>, <검은 사제들>에서 견고한 세계관을 완성하며 관객들을 사로잡은 장재현 감독이 <파묘>로 더욱 강력하게 돌아왔다. 장재현 감독은 장례지도사 자격증에 도전하여 10여 차례 넘는 이장에 참여하고, 풍수사, 장의사, 무속인의 고증을 거쳐 작품의 완성도를 끌어올렸다. 여기에 영화적인 상상력을 더해 독특한 캐릭터 설정과 전사를 비롯해 <파묘>의 세계관을 경험할 수 있는 장면들을 완성했다.
또한, <파묘>는 최민식, 김고은, 유해진, 이도현의 첫 오컬트 미스터리 영화로 이목을 집중시킨다. 먼저, 최민식은 데뷔 35년 만에 첫 오컬트 장르에 도전, 땅을 찾는 풍수사 ‘상덕’으로 스크린을 압도할 예정이다. 드라마 [카지노]를 비롯해 영화 <명량>, <신세계>, <범죄와의 전쟁 : 나쁜놈들 전성시대>, <악마를 보았다> 등 굵직한 작품에서 한 인물의 인생이 묻어나오는 연기를 펼친 그의 또 다른 변신에 이목이 집중된다.
영화 <영웅>, 드라마 [작은 아씨들], [유미의 세포들] 시리즈, [도깨비] 등 스펙트럼 넓은 연기로 사랑받아 온 김고은은 원혼을 달래는 무당 ‘화림’ 역을 맡았다. 김고은은 “한 순간도 어설픔이 티 나지 않게 하기 위해 노력했다. 무속인 선생님의 개인 번호를 받아서 수시로 연락하고 집에도 찾아갔다. 굿 장면을 위해서는 영상을 찾아보고 수차례 리허설을 하며 디테일을 완성했다”고 전문성 있는 캐릭터를 완성하기 위한 노력을 전했다.
영화 <달짝지근해: 7510>부터 <올빼미>, <공조2: 인터내셔날>, <택시운전사>까지 매 작품 새로운 장르와 캐릭터에 도전하는 유해진은 예를 갖추는 장의사 ‘영근’ 캐릭터로 분한다. 이장의 시작과 끝을 책임지는 베테랑 장의사를 그려내기 위해 그는 “전문적인 손 동작을 표현해내는 것은 물론 직접 현장에서 유골을 수습하는 법을 배웠다”고 밝혔다.
드라마 [슬기로운 감빵생활]을 시작으로 [스위트홈], [오월의 청춘], [더 글로리], [나쁜엄마]까지 또래 배우 중 독보적인 연기력을 선보여 온 이도현이 <파묘>로 스크린에 데뷔한다. ‘화림’과 함께 다니는 신예 무속인이자 경문을 외는 ‘봉길’ 역을 맡은 그는 문신을 몸에 새긴 비주얼과 경문을 읽는 모습으로 지금까지 본 적 없는 파격적인 매력을 보여줄 예정이다.
피부에 와 닿는 체험을 전할 생생한 프로덕션
장재현 감독은 실감 나는 프로덕션을 통해 관객들을 휘몰아치는 사건 한 가운데에 초대한다. <파묘>를 “가장 현실감 있고 직관적인 영화”라고 소개한 그는 팬데믹 시기 시나리오를 작성하며 오직 극장에서만 느낄 수 있는, 피부에 와 닿는 체험적인 영화를 만들기 위해 작전을 세웠다. 산꼭대기 악지의 스산한 분위기부터 파묘를 시작한 풍수사, 장의사, 무속인들 사이의 극적인 긴장감, 그리고 ‘험한 것’의 오싹하고도 불길한 기운까지 생생하게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한 프로덕션은 관객들에게 모든 사건을 감각하는 듯한 몰입도 높은 경험을 선사할 예정이다.
# 전국 팔도를 누빈 로케이션과 1,200평에 달하는 오픈 세트로 구현한 묘 터
장재현 감독은 가을이라는 계절이 주는 축축하고 스산한 분위기를 담기 위해 전국을 탐색하는 노력을 쏟았다. 묘가 위치한 산은 하나의 공간으로 그려지지만 실제 로케이션은 그렇지 않았다. 제작진은 보국사에서 묘 입구로 가는 첩첩산중의 뱀길, 굳게 잠긴 산의 출입구, 산을 올라가는 비탈길, 주목이 있는 산까지의 여정을 사실적으로 구현하기 위해 심혈을 기울였다. 서울부터 경기도 파주, 강원도 고성, 춘천, 원주, 충청도 충주, 당진, 전라도 무주, 경상도 부산까지 전국 각지의 다른 공간을 나누어 촬영한 후 한 공간인 듯 연결시키는 놀라운 실력을 발휘했다. 또한, 장재현 감독은 묘 터를 영화의 또 다른 주인공으로 생각했다. 기묘한 분위기의 묘를 찾아 전국 방방곡곡을 다니며 오히려 비범한 분위기를 풍기는 장소의 지극히 평범한 묘에 주목했다. ‘이 무덤은 왜 여기 있지?’라는 궁금증을 유발하는 산꼭대기의 평범한 곳을 묫자리로 설정하고, 평범함 속에서 나오는 불편함을 표현해 내며 디테일을 발전시켰다. 제작진은 약 1,200평에 달하는 세트장 부지에 2m 넘게 흙을 쌓아 올리고 50그루의 나무를 추가로 옮겨 심는 등 노력을 기울여 실제 사람의 발길이 닿지 않은 듯한 음산한 기운의 묘 터를 구현하였다.
# CG를 최소화한 실사 촬영과 4대의 카메라로 완성한 ‘대살굿’ 장면
제작진은 장르적인 특색을 잃지 않으면서도 리얼리티를 살리기 위해 심혈을 기울였다. 이모개 촬영감독은 사전 준비 단계부터 장재현 감독과 끊임없이 논의하며 방향성을 설정해 나갔다. 장재현 감독은 실제처럼 보이기 위해 CG는 최소화하고 실사 촬영을 원칙으로 했다. 포커스가 살짝 맞지 않고 투박하더라도 화면에 있는 그대로를 담아 기운과 기세가 느껴지는 결과를 완성했다. 특히나 이모개 감독이 가장 강렬한 에너지를 느낄 수 있었다는 ‘대살굿’ 장면에서는 모든 배우들이 홀려있는 듯한 분위기를 깨지 않기 위해 4대의 카메라를 동원하는 등 세심한 주의를 기울였다. 또한, 그는 “’상덕’은 직관적으로 꿰뚫어 보는 능력을 가진 인물로 보이길 원해 직시하는 눈빛이 느껴지는 이미지를, ‘화림’은 보통 사람은 느낄 수 없는 세계를 넘나드는 인물로 직감적인 이미지를 놓치지 않으려고 했다”며 각 캐릭터의 특성까지 놓치지 않은 촬영 과정에 대해 설명했다.
# 음양을 표현하기 위해 흙의 색감까지 설정한 미술, 파묘 모티프를 음악화하기 위해 관의 삐걱임까지 활용한 음악
미술팀과 음악팀 역시 사실감을 극대화하기 위한 노력을 이어갔다. 서성경 미술감독은 “<파묘>는 우리가 사는 세상을 빛이 있는 밝은 세상과 빛이 닿지 않는 어두운 세상으로 양분하는 세계관을 보여준다”며 “강렬한 햇빛이 드는 LA에는 생기 있는 야자수를, 음지의 묫자리에는 잎사귀가 붉게 변환 죽은 소나무와 검은빛을 띠는 흙 등을 디테일하게 세팅했다”고 전했다. 또한, 민간신앙, 음양오행 등 영화 저변에 녹아 있는 이미지를 작품 속에 투영했다. 여기에 미스터리한 분위기를 극대화하는 음악은 작품을 더욱 풍성하게 만들었다. 장재현 감독은 “영화의 컨셉과 모티프와 관련된 소리들을 음악화하는 작업을 했다”며 “관이 삐걱거리는 소리를 음악처럼 들리게 만드는 등 소품이나 기이한 소리를 활용하여 미스터리한 분위기를 증폭했다”고 전했다.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