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시 두기봉은 스타일이다..... ★★★☆
결론적으로 말하면 <매드 디텍티브>는 관객과 두뇌싸움을 겨루는 스릴러 영화가 아니다. 그건 이 영화가 내건 미션이 너무 쉽거나 또는 너무 어렵기 때문이 아니라, 이 영화의 핵심은 현실과 환상의 경계를 넘나드는 그 스타일에 있기 때문이다.
번 형사(유청운)는 영화에 등장하자마자 돼지를 걸어 놓고 칼로 찌르고, 작은 가방에 들어가 계단으로 굴러 떨어지더니 특정인물을 범인으로 지목한다. 그리고는 고참 형사의 퇴임식에 선물이라며 자신의 귀를 잘라 선물한다. 한마디로 ‘미친 형사’. 그리고는 시간을 훌쩍 뛰어 젊은 호 형사(안지걸)가 기이한 행동으로 경찰직을 그만 둔 번 형사에게 사건 해결을 부탁하는 이야기로 넘어간다. 호 형사는 번 형사의 기묘한 능력을 활용해 사건을 해결하려 한다. 무슨 사건이냐면 절도 용의자를 추적하던 왕 형사는 실종되고 동료 치와이 형사(임가동) 혼자 무사히 복귀한 이후 실종된 왕 형사의 권총에서 발사된 탄환인 것으로 추정되는 살인 사건이 연이어 발생한 사건이다. 번 형사는 기묘한 능력으로 사건의 핵심에 점차 다가서는데, 사건을 부탁한 호 형사는 번 형사의 기묘함으로 인해 점차 두려움에 빠져든다.
번 형사의 능력은 두 가지다. 하나는 타인의 다중인격을 실제화시켜 본다는 것이다. 번 형사는 무리지어 길을 걷는 7명의 사람들을 미행한다. 그런데 이 장면을 보는 호 형사의 눈에는 7명이 아니라 치와이 형사 혼자이다. 즉, 치와이 형사의 인격이 7개 인 것이다. 그런데 이 영화에서 다루어지는 다중인격은 우리가 다른 영화에서 봐왔던 것처럼 정신병의 일종이라기보다는 누구나가 가지고 있는 내면의 다양한 모습들을 형상화한 것이다. 호 형사의 다중인격으로 표현되는 어린 아이는 겉모습과는 다른 호 형사의 겁 많고 유치한 내면을 표현한 것이고, 번 형사가 같이 살고 있다고 믿는 아내는 자신을 버린 아내의 모습 중 자신이 좋아하는 아내의 모습만 남겨둔 것이다.
그런데 영화를 보다보면 좀 궁금해지긴 한다. 번 형사는 항상 타인의 다중 인격을 보는 것일까? 아니면 자신이 원하는 경우에만 다중 인격을 보는 것일까? 자신의 모습을 거울로 봤을 때는 어떤 모습으로 보일까? 만약 항상 다중인격을 보는 것이라면 그는 대체 타인을 어떤 식으로 구분할 수 있을까? 또는 타인의 실제 얼굴을 알기나 한 걸까? 영화에서 이에 대해 구체적인 답을 하지는 않는다.
번 형사의 또 다른 능력은 자신을 피해자나 가해자로 동일시하게 되면 사건 당시의 정황을 세밀하게 재현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가 경찰 재직 시절, 무수히 많은 사건을 해결한 것도 바로 이런 능력 때문이었다. 그래서 그는 가방에 들어가 굴러 떨어지기도 한 것이며, 은행 강도처럼 도로를 달리며 총을 쏘기도 하고, 편의점에 들어가 강도 행각 흉내를 내기도 한다. 심지어 왕 형사가 묻힌 곳에 흙을 덮고 들어가기도 한다. 그리고 용의자가 먹은 음식을 수차례 반복해 먹기도 한다. 즉, 그의 수사 방식은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수사가 아니라 주관적이고 비과학적이다. 귀를 자르는 그의 행위는 어쩌면 타인의 말을 듣는 것 - 즉 객관화 내지는 과학화 - 에 대한 거부일지도 모른다.
이 영화에서 우리는 계속 번갈아가며 등장하는 두 개의 다른 세계를 보게 된다. 하나는 번 형사가 보는 다중인격의 세계이고, 또 하는 평범한 세계이다. 물론 두 세계를 구분하는 건 그다지 어려운 건 아니다. 그런데 이 두 세계는 점차 서로의 경계를 넘나들기 시작한다. 빠른 편집과 교차되는 화면은 내가 지금 보는 화면이 번 형사가 보는 다중인격의 세계인지, 아니면 평범한 보통 세계인지 모호하게 만든다. 그리고 그 모호함은 계속 상승해 ‘거울 방에서의 총격신’ 장면에선 극단적으로 겹쳐진다. 영화에서 가장 인상적인 이 장면은 직접적으로는 이소룡의 <용쟁호투>를 연상시키는데, 더 거슬러 올라가 1947년 오손 웰즈의 <상하이에서 온 여인>의 오마주라고 한다. 거울로 둘러싸인 방에 있는 네 명의 남자. 그러나 거울에 비친 건 네 명이 아니라 각자의 다중인격이 환상적으로 반영된다. 총을 든 다중인격들이 서로에게 총을 발사하고 용감해 보이는 현실의 모습 바로 옆에 겁에 질려 울고 있는 내면이 거울에 비치는 등 이 장면은 영화가 말하고자 하는 바를 함축적으로 표현한다. 이 장면 하나 만으로도 이 영화는 충분히 볼 가치가 있다. 역시 두기봉은 스타일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