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가 여기저기를 달궜던 시기를 한참이나 지난 후에 보게 되었네요...
(약간 스포일러성, 기독교문제 관련해서 개인적인 생각을 몇자 적었습니다.)
많은 생각을 하게 되는 영화
어렵기도 하고.... 당황스럽기도 하고...
슬프기도....미소를 자아내기도 한 영화....
전도연의 열연으로 한 여인의 절규하는 가슴의 상처가 바로 와 닿는듯 했고...
눈치 없이 마구 끼어들어 호되게 당하는 송강호의 겸연쩍어 하는 모습이
순수함으로 다가왔네요...
특히 반기독교 영화라는 소리에 조금은 주의 깊게 영화속 종교의 모습을 바라보게 되었는데...
물론 기독교의 교리나 사상이 영화의 주된 주제는 아니지만
영화 전반에 걸쳐 신애를 통해 하나님에 대한 믿음과 기쁨과 용서와 결국에는 원망과 저주로 이어지며
기독교의 모습이 대중에게 전해진 것은 하나님을 믿는 많은 사람들에게는
기독교의 모순처럼 다가와 조금은 당황스럽고 쉽게 받아들이기가 어려운 것은 사실인 것 같습니다.
하나님께 대한 믿음으로 아들을 죽인 살인자를 용서하기 위해 찾아갔지만 벌써 그는 예수님을 구주로 받아들이고
이미 용서함을 받아버린, 이젠 기쁨으로 살아간다는 그 사람 앞에서 신애는 무엇을 용서해야 할지를 잊어버리고
결국 하나님께 대한 배신감으로 신애는 하나님께 복수(?)까지 감행합니다.
하지만 영화속 기독교의 모습은 반기독교 사상은 아닌 것 같습니다.
영화속에서 비쳐지는 기독교인들의 모습이 정말 리얼하게 그려지고 정말 그 상황 속에서 순간 순간 최선을 다해
믿음을 찾아가는 모습을 그대로 보여준 것 같습니다.
하나님을 믿는 사람들이라 할지라도 완전하지는 않습니다. 더 높은 목표를 향해, 더 거룩한 목표를 향해 걸어가고
있는 과정의 한 사람일 뿐이기 때문이라 생각합니다.
그리고 영화는 마지막 직전까지 (미용실에서 살인자의 딸을 만난 후 미용실을 뛰쳐 나온 후)
종찬에게 "그런데 왜 하필 이 집이냐구요. 왜 하필 오늘 하필 이 집이냐구요" 원망스런 말을 하고는
하늘을 쳐다보며 눈을 흘기는 모습을 보여주며 신애의 마음속에 하나님이 무언가를 개입하고 있지는
않을까 조심스럽게 혼자 생각도 해보왔습니다.
그런데 영화속에서 나타난 기독교의 사상중에 [용서]라는 부분을 깊게 생각 해 보았는데
하나님께 진정으로 죄를 자복하고 눈물로 회개하며 용서를 구하며 결국 생애의 변화에 이르기까지 그 모습이
변한다면 그는 분명 하나님의 구원을 얻은 자이고 용서를 받은 자입니다.
마찬가지로 원수를 사랑하고자 하나님께 마음의 평정을 바라고 십자가에 자기를 죽인 사람들까지 용서하신
예수님의 마음을 얻어 용서를 결심하는 자도 분명 하나님의 구원을 얻은 자 일것이고 진정 용서할 수 있는
사람일 것입니다.
하지만 여기서 한가지 중요한 것은 우리가 친구나 이웃에게 잘못했으면 우리는 그 잘못을 인정하고 용서를
구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그 다음에 우리는 하나님께 진정한 용서를 구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옥중에서 그가 신애에게 용서를 구할 방법은 없었기에 하나님께 용서를 구하고 결국 믿음으로 구원에 까지
이르렀다고 확신하며 평온의 삶을 다시 시작했겠지만 신애를 만났을 땐 먼저 그녀에게 다시금 용서를 구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것이 참된 용서를 얻는 법인것 같습니다.
참된 고백은 진정한 용서로 이어집니다. 그리고 참된 고백은 무엇을 했다는 것을 정확하게 말하는 것입니다.
어떤 사람은 하나님께만 고백할 필요가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어떤 사람은 그가 손해를 입힌 사람에게 잘못했다고 말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래야만이 하나님의 진정한 용서가 있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그가 범함 죄의 결과는 어떠한 경우에도 그 값은 치루어져야 합니다.
그 값이 물리적이든 금전적이든 심적이든.......예수님의 보혈이든....
두서없는 긴 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