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과 선생의 관계를 정립하고 현대사회에서 신뢰를 잃어버린 관계를
짚고 넘어간다는 것이 이 영화의 핵심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 호러를
충실하게 보여주려고 한 것도 아니고, 그렇다고 미스테리적 구성으로
혼선을 빚게 하려고 한 영화는 더더욱 아니다. 그리고 한가지 추가
하자면 완벽한 한국적인 영화라는 점이다. 동양적인 정서가 물씬
풍기는 '恨' 이 그 재료로 버무려 있는 것이다. 정년퇴직한 병들고
늙은 박여옥 선생(오미희)의 수발을 들고 있는 미자(서영희)가
16년만에 박여옥 선생의 제자들을 부른다. 총 일곱명의 제자들이
선생과 함께 모인다. 가난을 이유로 선생님에게 손가락질 받게 되었던
반장 세호(여현수)와 부반장 은영(유설아), 뚱뚱하다고 놀림받았던
순희(이지현), 운동을 잘했으나 한번의 실수로 인한 체벌로 장애인이
되버린 달봉(박효준), 그리고 선생님의 부담스러운 총애와 터치로
노이로제와 악몽에 시달리는 명호(이동규), 소심이로 왕따 비슷한
처지에 놓여있던 정원(장성원)이 그들이다. 혼수상태의 박여옥선생과
혼자 살아남게된 미자, 사건현장의 정황을 알기위해 마형사(김응수)
는 미자를 통해 이야기를 듣는다. 액자식 구성으로 전개되는 이야기는
16년만에 인생의 실패자들로 모이게 된 제자들과 스승에 대한 원망을
마음속에 품어온 그들의 비뚤어진 모습, 그리고 박여옥 선생의 아들이자
장애인이었던 아이의 에피소드와 박선생의 남편의 자살등의 사건등이
일목요연하게 전개가 된다. 그리고 시작되는 피의 향연처럼 자행되는
모인 제자들의 죽음...한명, 한명 살해되기 시작하고 결론적으로 미자와
박여옥선생이 살아남게 되는 액자식 구성의 이야기가 미자를 통해
마형사에게 전달된다. 이것은 반전을 위한 하나의 요소이다. 인생의
루저(loser) 들이 되어 돌아왔던 그들의 이야기는 사실상 인생의
성공자들이었고, 박여옥선생을 수발들어온 미자는 신분은 가짜였던
것이다. 미자의 이야기에서 나온 모든 컴플렉스는 미자 자신에게
자행되었던 선생의 이야기였고, 결국 자신의 어머니조차 죽음으로
몰아넣었던 선생과 왕따같은 취급을 당한 아이들에 대한 복수심과
'恨' 이 영화의 메인을 구성하게 된 것이다. 아이들은 그렇다 해도
선생으로서 아이의 편에서지 못하고 반 아이들을 선동하듯 왕따의
처지로 몰아넣었던 그 시절의 '恨' 이 박여옥 선생이 죽지도 못하는
고통속에 평생을 살기를 바랬던 미자의 광기어린 복수심이 하소연되듯
메아리친다. 다른 여섯명을 모두 죽이고 마지막까지 살려 놓은 박여옥
선생앞에서 저주를 뿌리고 사라지는 미자의 모습...물론 교훈적인
요소도 호러적이고 미스테리한 요소도 뿌리는 것은 좋은 듯 하지만
무엇하나 확실하게 마침표를 찍지 못하는 애매모호한 결말로 이끌어
버린 반전의 약함은 충분한 공감을 얻기엔 상당히 부족한듯 하다.
직쏘퍼즐을 맞추듯 끼워맞추던 것이 어느순간 퍼즐조각의 부족으로
인해 미완성되거나 어긋나 버린 느낌이라고 하면 적절할 듯 하다.
새로운 한국적 영상미와 색다른 전개방식이 이채롭긴 했지만
무언가 남기기에는 상당히 빈약한 결말로 이끌어 버린 아쉬움이
크기도 하다. 하지만 임대웅이란 색다른 감독을 알게 된
나름대로 신선하고 볼만한 요소를 갖춘 그런 영화로 기억될 듯
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