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건 영화 보기전에 쓴글....
꿈을 향해 비상하다.... 다른분이 쓰신 이 글의 원본 제목입니다. 같은 내용의 글을 정반대의 시선으로 바라본 글입니다. 스포일러가 있습니다.
==================================
박경원은 왜 일제의 만주침략을 찬양하기 위한 명제를 걸고 있는 "일만친선연락비행"을 감행하는가? 애인의 죽음은 비행에 대한 더 강한 욕망을 표현함으로써, 그녀를 행위를 지지하는 또 하나의 디딤돌일뿐, 그보다는 간단한 이유입니다.
영화에서는 비행에 대한 그녀의 소망과 열정으로 그녀의 행동을 정당화시키고 있습니다. 사랑하는 사람의 청혼도 거절하고 조선 사람들에게 매국노라고 불릴것을 알면서도 그녀는 일제의 선동적 비행인 장거리 비행에 일장기를 흔들며 비행기에 올라탑니다.
박경원을 비롯한 영화속 등장인물은 자신이 조선인인지 일본인인지에 대한 정체성의 자각도 없고, 부모의 부에 호위호식하며, 자신의 미래와 앞가림에 더 관심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묘사합니다.
그런데도 왜 관객은 이런 인물들이 등장하는 영화에 감동을 받을수 있는것일까요? 그것은 박경원이 꾸는 "꿈"에대한 열정과 독립군으로 오인받아 잔인한 고문을 당하는 한지혁에 대한 동정이 밑바탕으로 깔려있기는 하지만, 진정한 이유는 아이러니하게도 이 영화가 일제 강점기라는 시대를 한보 뒤에서 관망하듯 바라보는 등장인물들의 모습때문입니다.
박경원이 조국을 배반하면서까지 꿈을 쫓는 모습은 직접적 피해를 입는 민초를 등장시켜 주인공의 행위에 대한 공감대를 무너뜨리는 대신, 현재와 다를바 없이 살아가고 있는, 그러한 가치관을 가진 유산계급의 등장인물을 통해 그들의 모습이 당시에 살아간 젊은이들의 일반적 모습인양 보여주고 있기에, 아니 적어도 그녀의 주위 인물들 속에서는 조국에 대한 혼란보다는 이상이 더 가치있는것이기에 관객은 타당성을 부여하며 볼 수 있게 됩니다.
박경원의 마지막 비행이 "일만친선연락"이라는 일제의 만주정벌을 위한 선동적 정책적 비행이라는 설명은 이 영화에서 수많은 대사를 통해서 등장합니다. 박경원이 비행기를 타기전에 일장기를 흔드는 장면과 수많은 군중들이 일장기를 흔들면서 박경원을 연호하는 장면 역시도 여과없이 그대로 화면상으로 묘사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관객은 말합니다. 영화는 미화되지 않고 모든걸 드러냈다고.....
하지만 청연의 가장 무서운 미화는 바로 저 부분입니다. 차라리 그녀의 비행이 조국을 위해 선택한 또다른 수단의 하나로, 혹은 일제의 강압에 대한 어쩔수 없는 굴복이였다면, 문제는 오히려 간단했을 겁니다. 왜냐면 이것은 모두가 미화를 미화로 보는 영화가 되었겠지만, 청연은 미화처럼 보이지 않는 미화로 사람들을 속이고 있는 것이죠.
게다가 그녀는 꿈과 이상을 위해 자신의 소중한 나머지 가치들을 포기하는것처럼 교묘히 포장되기까지 합니다.
===============================
모래시계의 최민수를 기억하십니까? 청부 폭력에 살인까지 저지르는 인물이었지만 우리는 아무도 모래시계의 최민수를 흉악범으로 생각하지 않습니다. 대신 한 생을 치열하게 살다간 한 인물로만 기억하죠.
왜 사람들은 모래시계를 보며 그들의 미화에는 분개하지 않았을까요? 그건 오직 한가지 이유밖에 없습니다. 픽션과 현실은 구별할줄 알기 때문이죠. 하지만 현실이 있는 픽션은 픽션이 아님을 모르는 사람들이 너무 많다는걸 청연을 통해 깨달았습니다.
감독은 박경원의 꿈은 보았지만 욕망은 그려내지 않았습니다.
청연을 보는 두 시선, 욕망과 꿈이라는 단어의 차이처럼 같지만, 너무 어긋나 있는것 같습니다. 사실 저는 영화를 보지 않았지만 모두 볼수 있었습니다. 감독의 의도에 동화되 흐려진 그들의 눈을 통해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