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롤로그
금자가 출소하던 날에 찬송가를 연주하던 사람들이 입는 산타복장은 그녀의 여름 원피스와 극명한 대조를 이룬다. 또한, 두부를 내미는 손을 거부하며 던지는 말은 우리가 대장금에서 대했던 그 배우가 맞는지 조차 의심스럽게 한다. 영화는 여러 가지 변신을 한꺼번에 보여주면서 복수의 완성을 향해서 간다. 그것이 복수 3부작의 완결에 대한 것임은 당연한 사실이다. ‘복수는 나의 것’ 에서는 복수의 과정을, ‘올드보이’ 에서는 복수의 원인을 따졌다면, 이영화는 복수의 결과, 완성에 대해 초점을 맞춘다. 이 영화가 이전의 복수 영화와는 다른 느낌을 주는 것은 주체가 여성임에도 한몫하는 듯 하다. (이른바 변신이다. 이전의 한국영화 복수극에서 볼 수 없는.)
광기의 시작
복수의 시작은 13년 전이다. 유괴 및 살해를 저지르고 나서 세간의 떠들썩거림과 함께 큰 집안으로 들어간 이후 그녀는 다시 태어난 것이었다. 그녀가 아기를 낳게 된 것도, 그녀가 왜 죄를 짓게 되었는가도 과거에 대한 실수의 부분이었지만, 그것은 ‘백선생’(최민식)을 더욱 성장하게 되는 계기로 변질되었고, 그것은 절대악의 성장으로 그려진다. 하지만, 그것이 너무 갑작스러운(원래부터의 캐릭터가 그런 것이기 때문에) 주입이다. 최민식의 캐릭터는 그를 집어 삼킨 듯 하다.
“너나 잘하세요”
라는 말은 금자씨가 이전까지의 유순함을 버리는, 진정한 면모를 드러내는 신호탄으로 대표된다. 기존의 이미지에 대한 변신의 시작이다.
기묘한 과정
복수의 과정은 이전의 과정보다 쉬운 듯 하다. 그녀가 베푼 친절로 인해 은혜를 입은 여 죄수들이 그녀를 도와준다. 반면 이 영화에서 나오는 남자들의 역할은 금자에 대한 선입견을 가지는 역할이다. 그들의 선입견은 ‘예쁘다’와 ‘변했다’로 나뉘고 있는 것이 그 증거다. 이것은 영화 주체로의 여성상을 크게 확대시키는 것과 남성상을 깨는 효과를 가진다. 금자에게 반한 아르바이트생이 금자가 하자는 대로 따르겠다며 침대에 눕는(!)것은 상당한 충격이다. 백선생이 보낸 킬러들을 총으로 해치우는 장면에서는 섬뜩함마저 느껴졌다.(카메오로 나오는 송강호, 신하균이 역할을 맡았는데, 바로 전날 ‘남극일기’를 봤던 터라 송강호가 좀 무섭게 나올 것 같았다. 하지만 ‘금자씨’가 더 무서웠다.) 최민식이 연기한 백선생의 캐릭은 절대악에 가까운, 그런 인물이었으며 복수의 완성을 위해 치닫는 과정에서 밝혀지는 악은 상상을 초월한다. 그런 백선생을 죽일 기회가 온 금자씨, 이제 결단의 순간이다.
완성의 결과
금자는 복수의 완성을 향하여 간다. 하지만, 그것이 인간의 완성으로까지는 이어지지 않는다. 인간의 완성이라고 거창하게 말 붙이는 것 같은데, 이런 대유적 표현으로도 그것은 설명되지 않는 그 공허함이 있기 때문이다. 범행을 저지르고 나서, 감옥에 수용되고 나서, 복수를 시작하고 나서부터 없어진 삶의 목적(또는 생의 목적)은 되돌아오지 않는 것이다. 금자가 마지막에 복수를 마치고 먹는 케이크는 초콜렛에 싸여진(잘은 모르겠지만...) 외관을 가지고 있다. 그것을 먹고 나서는 금자에겐 또 하나의 케이크가 있는데, 그것은 먼저의 케이크와 상반된 이미지다. 이미지적 요소에 대한 비교는 무의미하다고 할 수 있지만, 적어도 복수라는 존재(행위)를 밝히는 것과, 그 복수의 완성(속죄)을 밝히는 존재로 볼 수 있는 것이다.
나아가서
영화 말미에 금자는 환영을 본다. 원모를 보게 되는 것이다.(금자가 죽인 아이로 나오는...)
원모에게 다가서는 금자는 한순간 말문이 막힌다. 원모는 일어서서 금자를 쳐다보고 나가고, 금자는 그 자리에 굳는다.(사실 원모의 성장을 연기한 배우가 유지태인데, 올드보이에서의 피해자적 요소를 가졌던, 그래서 오대수에게 복수를 했던 우진인데, 이번엔 직접적인 피해자적 요소를 가지고 나오고, 금자를 용서한다는-그런식으로 밖에 생각할 수 없지만...-눈빛을 가지는 것은 아이러니하다.)
영화는 덧붙여서 불완전한 사람의 완성을 말하고자 한다. 그것이 금자씨의 복수의 완성에 드러나는 식으로 전재되지만, 제대로 구현해 내지 못하고 있다. 복수에 대한 원초적 본성(파괴적, 투쟁적 의식)과 그것이 현실속의 자신과(또는 자신과의 생활과)맞춰보려는 시도를 보여주려 하지만 끝내 그것이 직접적으로 다가오는 것은 아니다.
영화속에서 천사의 이미지가 등장하지만(천사의 존재를 말하는 사람들이 있지만) 그것으로 구원을 얻으려는 시도는 없다. 따라서 애초에 선택할 수 있는 것은 자신에게 달려 있으며, 금자씨의 복수 역시 선택의 대상으로밖에 치부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그것이 구원을 주는 자가 아니라는 것을 복수의 실행자들 역시 알기 때문이 아닐까 싶다.
Final
금자씨의 변신은 복수의 완성으로 멈췄다. 그것이 완성에서 오는 공허함이 아니라 자신에 대한 용서를 일찍 하지 못한 것 때문이라고 생각해도 과언은 아닐 것이다. ‘올드보이’의 ‘오대수’가 인지하지 못했던 사소한 잘못이나 ‘복수는 나의 것’에서 인물들이 멈추지 않은 잔혹성을 가지는 것 등은 (그것이 인지하는 대상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서로서로가 비슷한 관계로 주인공과 관객들을 소통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 같다. 금자씨에서 나온 그 변신(복수의 완성을 위한)은 멈췄지만, 그 목적을 대신할 삶의 목적을 위한 변신은 계속되어야 하는 것이 나의 바램이다.
그 삶의 목적을 가져야 하는 것은 금자씨 뿐만이 아닌, 호주로 입양되었다가 생모를 보고 한국에 오고 싶어했던(결국 온) 금자씨의 딸 제니 역시 마찬가지다. 금자씨를 용서를 주는 자가 아닌 용서를 받아야만 하는 존재로 살아가야 하는 것으로 바뀌게 하는 것은 그녀의 역할이다. 아니, 제니가 극중에서 존재해야만 하는 이유인지도 모르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