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至尊] 조폭마누라는 조진규 감독의 영화였다 |
|
어깨동무 |
|
|
|
|
2001년 추석에 개봉해 전국 520만 관객을 동원한 <조폭 마누라>는 특이하게도 감독인 조진규의 이름이 거론되는 대신에, 제작자인 서세원에 대한 기사만 모든 언론을 도배하다시피 했다. 심지어는 서세원이 감독이라고 하는 사람들도 있었다.
<조폭 마누라> 이후 서세원이 제작자와 편집과정까지 관여한 <네 발가락>, <긴급조치 19호>와 같은 영화들이 수준 이하의 완성도로 망해나가고, 조진규 감독과 상관없이 <가문의 영광>의 정흥순 감독이 만든 <조폭 마누라 2 : 돌아온 전설> 역시 '재미없다' 라는 반응을 이끌어내며, 흥행에서 재미를 보지 못했다.
조진규 감독의 새 영화 <어깨동무>는 2년 6개월전 제대로 알리지 못했던 사실을 관객에게 알려준다. 바로 <조폭 마누라>의 감독이 서세원이 아니라 조진규 였음을 말이다. <어깨동무>에서 조진규는 <조폭 마누라>의 흔적들을 상당부분 빌려온다. 이 말은 그가 영화를 잘 만든다는 찬사가 아니다. 최소한 서세원이나 정흥순 감독에 비해 조진규 감독은 관객을 웃기는 코드만큼은 제대로 알고 영화를 만든다는 것이다.
사실 <어깨동무>를 참신한 코미디 영화라고 부르거나, 감동적인 영화라고 부르기는 애매하다. 욕설과 폭력에 의해 웃음을 유발하는 영화는 조폭 코미디의 유행이 지나간 지금, 더 이상 먹히지 않기 때문이다. <어깨동무>는 그 지점에서 가해자인 김태식(유동근)과 피해자라고 할 수 있는 나동무(이성진) 사이에서 벌어지는 우정으로 눈길을 돌린다. 상황은 조금 다르지만, 인질범과 인질 사이의 교감인 스톨홀름 신드롬이 영화속에 작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런 교감의 과정이 영화속에서 제대로 표현되지 않으니 답답할 뿐이다.
주인공들은 비밀이 담긴 비디오 테이프를 찾기 위해, 좌충우돌하지만, 중간중간에 끼어드는 사건은 너무나 희화화되어있고, 우연성이 강하다. 이러한 우연의 남발과 스토리의 비일관성은 영화를 보는 흐름을 툭툭 끊어놓는다.
그러다보니 <어깨동무>는 끝까지 대사와 배우로 웃음의 승부수를 띄운다. 중간중간 등장하는 차태현, 배기성과 같은 까메오와 김무생, 배중식과 같은 조연들이 뜻밖의 웃음을 선사하고, 진지한 상황에서 튀어나오는 '분위기 깨는 대사'는 웃음을 참기 힘들다. 하지만, 이런 웃음은 오래갈 수 없다. 대표적인 것이 꼴통(이문식)이다. 이문식은 비슷한 캐릭터로 자신을 너무나 많이 팔았기에 참신함도 떨어지고, 이렇게 상투적인 캐릭터는 단발적인 웃음은 주겠지만, 그다지 개운치못한 뒷맛을 남긴다. 그래서 <어깨동무>의 웃음도 그 순간 뿐이고, 영화가 끝나면 헛헛함을 안겨줄 뿐이다.
그래도 <어깨동무>에서 발견한 것이라면, 가수에서 연기에 도전하는 NRG 소속의 이성진이라고 할 수 있다. 2003년 <동갑내기 과외하기>에서 수완(김하늘)이 짝사랑하는 선배 시경역으로 연기를 시작한 이성진은, 모바일 영화 <건달과 달걀>을 거쳐, <어깨동무>로 정식 연기를 선보인다. 그러나 방송에서의 과장된 이미지를 끌고오지 않고, 차분하게 소심한 나동무역을 연기한 이성진에게 가수에서 배우로의 성공적인 변신을 기대하게 만든다.
조진규 감독은 영화속에서 관객을 웃기는 재능이 있는 감독이다. 그러나 이렇게 단발적인 개그에만 몰두한다면, 윤제균 감독처럼 매너리즘에 빠져 허우적거리게 될 것이다. <어깨동무>는 그런 면에서 조진규의 가능성과 한계를 동시에 보여주는 영화이다.
至尊군의 Movie Box http://blog.naver.com/cinexpress
|
|
|
1
|
|
|
|
|
1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