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트릭스 레볼루션> - 새로운 시대의 도래를 미리 준비하자는 암묵의 메시지를 던져준다. 그 메시지는 어렵거나 난해하지 않은 아주 일상적인 것이었다.
하나의 신화를 원했던 영화 매트릭스. 신화를 완성하기 위해 전 세계 동시개봉이라는 영화사 최초의 사건을 만들며 거침없이 출발을 했다. 이러한 영화를 가지고 이야기를 한다는 것 자체가 매우 조심스럽고 위험한 일이다. 그래서 본격적으로 이야기를 하기에 앞서 몇 가지를 알리고자 한다. 먼저 매트릭스는 보는 사람에 따라서 아주 다양하고 색다르게 해석될 수 있음을 전제로 하고 보기를 바란다. 또한 영화를 보고 수많은 것을 이야기 할 수 있지만 필자는 매트릭스가 던져주는 메시지만을 놓고 생각을 해 보려 한다. 그것도 개인적으로 생각하는, 그리고 개인적으로 매트릭스에서 얻었던 것을 가지고 시작을 하기에 분명 동등한 생각을 아닌 사람들이 많을거라 생각한다.
필자는 매트릭스를 이렇게 정의했다. 앞으로 닥칠, 앞으로 다가올 미래에 과연 우리는 무엇을 준비하며, 어떻게 대비를 해야할지 생각을 하도록 유도하는 영화다라고 말이다. 매트릭스 1편은 현실에서 가상, 즉 매트릭스의 세상으로 들어간다. 그리고 3편은 그 가상에서 다시 현실로 다가온다. 이러한 특징이 이러한 생각을 가지도록 만들었다. 그럼 매트릭스가 던져주는 것은 무엇일까? 광대하고, 엄청난 시작에 당시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놀라움을 금치 못하게 만들었다. 다만 마지막은 너무나도 평범하고 일상적인 것을 던짐으로 시작에 비해 조금은 아쉽게 되었지만 말이다.
아마도 감독인 워쇼스키 형제는 매트릭스가 전달하는 메시지를 창출해 내기 위해 수 없이 고민을 했을 것이다. 비록 새로운 시대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만들기란 역부족이었지만 말이다. 이는 어쩔 수 없는 귀결로 보여진다. 새로운 시대가 진정 어떤 사회인지 경험이 없는 상태에서 새로운 패러다임을 미리 생산하라는 것은 아무래도 어불성설인 것 같다. 결국 3편에서는 그래서 인지 보여짐에 많이 치중을 했다. 네오(키아누 리브스)와 주변사람들이 나누었던 대담은 많이 보이지 않았다. 그리고 엉뚱하게도 네오는 3편에서 “LOVE" 와 ”WHY?"를 유난히도 많이 외친다. 이는 조금 평이하게 이끌었던 메시지를 가능케 하기 위한 연결의 도구로 사용이 된다. 그럼 이젠 네오가 던진 “LOVE" 와 ”WHY?" 이 두단어를 가지고 이야기를 해보자.
조심스럽게 한 마디를 던지고 싶다. “자아의 정체성 확립과 인간 본성의 회복” 이 한 마디가 매트릭스가 던져주는 메시지라고 생각한다. 메시지만을 생각한다면 어딘지 모르게 영화 <이퀼리브리엄>과 유사하다는 생각을 잠시동안 해본다. 전편에서는 나오지 않았던, 그리고 거의 언급이 되지 않았던 “LOVE". 3편에서는 영화에 보이는 많은 인물들이 서로 사랑을 하고 사랑을 이야기한다. 또한 네오와 대립을 이루는 스미스(휴고 위빙)는 그런 생각들을 모두 쓸데없는 것으로 간주를 한다. 그리고 막대한 힘을 지닌 스미스는 모든 이들을 어떠한 생각도 자의식도 없게 만들고 모습 또한 자신의 형상으로 복제를 한다. 스미스가 영화 속에서 말하는 새로운 시대의 패러다임이다. 이러한 면모가 바로 영화 <이퀼리브리엄>과 유사하다고 생각하는 부분이다. ”LOVE"를 이야기하는 네오, 그리고 반대인 스미스. 이들의 대립은, 그리고 대립의 결과는 워쇼스키 형제가 말하려 했던 새로운 시대에 가져야 할 패러다임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한다.
센티넬과의 대적에서 혼수상태가 되어버린 네오. 자유의지와 선택권을 부여받은 네오. 3편에서 네오는 자신의 근원과 존재를 탐구한다. 유독 “WHY?"란 말을 많이 한다. 자기 자신에게는 물론 그 어떤 것에도 말이다. 결국 이러한 네오의 노력은 기계와 평화를 이끌어내는 구세주로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네오가 어떠한 행동과 어떠한 생각을 하더라도 모든 인물들이 그에게 믿음을 부여하는 것은 어떤 이유에서일까? 이 이유 역시 매트릭스가 던져주는 큰 메시지 중의 하나라고 생각한다. 이는 네오가 가진 인간 본성적인 것과 자아의 정체성에 대한 확신이라 말하고 싶다. 영화 속에 보이는 인물들과는 조금 다른, 스스로 생각하는 자유의지가 있는 네오에 대한 확신. 결국 네오는 자신의 정체성과 자신의 존재성을 인식하기에 그런 모습들이 다른 사람들의 확신을 이끌어 내었다고 본다. 영화를 이끌어 가는 네오는 워쇼스키가 생각했던 새로운 시대에 필요한 인간상의 모습처럼 보인다.
매트릭스는 거대한 이데올로기로 시작을 하였다. 그리고 현실과는 다른 세상에서 삶의 모습을 보여준다. 또한 그에 필요한 사상이나 생각, 그 외의 모든 것을 보여주고자 한다. 하지만 결국 그러한 세상에서도 필요한 것은 다른 어떤 것도 아닌 인간이 존재하는 근원적인 것이다. 적어도 필자가 바라보는 입장에서는 매트릭스가 던져주고 싶었던 메시지는 인간 본성에 대해 제대로 확립해 보자는 것이 아닐까 생각한다.
매트릭스는 정말로 다양한 눈으로 여러가지를 볼 수 있는 영화이다. 아마도 영화를 보고 나서 자기와 똑같은 생각을 가진 이를 찾는 것은 상당히 어려울 것이다. 하지만 어느 누구의 생각도 옳다거나 그르다고 판단할 수는 없다. 그만큼 매트릭스란 영화는 누구에게나 다양하게 생각할 수 있는 여지를 충분히 만들어 주었기 때문이다. 물론 이러한 여지조차 자유의지로 생각을 유도하는 영화 속의 메시지와 동등하다고 할 수 있다. 감독이 이것까지 생각했는지도 모를 일이다. 하여간 신화로서 불리기를 도전한 영화 매트릭스는 우선 그만큼의 가치는 충분히 발산을 하였다고 생각한다. 모두들 자신의 눈으로 자신의 자유스러운 생각을 가지고 매트릭스 세상속으로 들어가 보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