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13년, 독일의 작은 마을을 배경으로 하는 <하얀 리본>은 어느 누군가가 믿었던, 혹은 여전히 믿고 있는 어떤 순수한 신념으로부터 야기된 거대한 사건의 징후와 전조를 살피는 영화다. ‘우리 마을에서 일어났던 이상한 사건’을 소개하는 내레이션은 곧 그 사건이 ‘이 나라에서 일어났던 일’에 대한 부연이 될 것임을 첨언한다. 그 이상한 사건의 시작은 마을 의사의 낙마다. 여느 날과 같이 자신의 말을 타고 집으로 들어서던 의사는 무언가에 걸려 넘어진 말에서 떨어져 쇄골이 부러지는 중상을 입게 된다. 그리고 그것이 우연이 아닌 필연적인 의도에서 기인된 결과임이 밝혀진다. 그리고 그 이후로 계속되는 방화와 실종, 그리고 처참한 테러까지 마을 사람들을 동요시킬 만한 사건이 이어진다.
평화롭게만 보이던 마을에는 의심과 경계가 개개인의 심리 밑바닥에서 들불처럼 번져나가기 시작한다. 그러나 이는 사건에서 시작된 것이 아닌, 사건을 통해 발견된 것에 가깝다. 마을에서 벌어지는 일련의 사건들은 우발적이라기 보단 점층적이다. 이는 사건의 연속적인 형태가 아닌 사건을 둘러싼 사람들의 팽배한 심리적 긴장을 통해 감지되는 것이다. 사건의 흐름은 인물들의 심리적 기저를 살피기 위한 일종의 지표와 같다. 계층적인 갈등과 세대 간의 소통 부재가 팽배한 마을은 마을 사람들에게 밀폐된 섬에 가둬버린 듯한 극악한 고립감을 제공한다. 좀처럼 자신의 처지에서 벗어날 길을 찾지 못하고 결과적으로 포기해버린 하층민의 분노나 기성세대의 강압적인 훈육 앞에서 논리적 항변을 허락받지 못한 어린 세대들의 불만은 직접적인 언어를 통해 고백되기 전에 간접적인 관찰을 통해 목격된다.
1인칭 시점으로 진전되는 후일담 형식의 내레이션은 화자의 구도를 통해 이 모든 사건들을 관객에게 객관적으로 중계한다. 마을을 구성하는 일원으로서 마을 내에서 벌어지는 사건들을 목격하거나 전해듣는 교사(크리스티안 프리에델)는 그 사연들로부터 적당히 분리된 인물이다. 그리고 그는 끝내 그 사건에 직접적으로 개입함으로서 끝내 그 모든 사건의 근본적인 발원지로 관객을 끌어당긴다. <하얀 리본>은 ‘누가’라는 의문을 증폭시키는 후더닛 구조의 영화처럼 보이지만 그 의문은 끝내 그 모든 현상의 근본에 자리한 사회병리학적 증상들을 포괄함으로서 거대한 질문 앞으로 감상을 집결시킨다. 강압과 폭력을 통해 순수를 훈육당하는 어린 아이들의 팔에 채워진 하얀 리본은 순결주의의 훈장이자 차별주의의 완장이 되어 배타와 응징으로 집단적인 심리를 작동시킨다.
제1차 세계대전 직전 독일의 한 마을을 비추는 <하얀 리본>은 거대한 광풍이 어디에서 불어왔는가를 살핀다. 모든 것은 지독한 믿음에서 비롯됐다. 개인에 대한 믿음은 그 믿음의 차이를 증상으로 간주하며 차별을 양성하고 끝내 폭력적인 강요와 관철로서 상대를 유린한다. 그 모든 증후의 소산은 결국 믿음에서 비롯된다. 개인의 평화를 가져다 주는 독실한 신앙이 곧잘 거대한 전쟁의 원흉이 되는 것처럼 믿음이란 때로 폐쇄적이기에 그만큼 아득하고 위험한 광기를 잉태한다. 그리고 순수한 믿음은 때로 그 모든 광풍의 핵이다. 순수한 믿음에는 방향이 없다. 단지 강력하고 막강한 것이다. 선에 대한 믿음도, 악에 대한 믿음도, 순수에서 비롯될 수 있다. 그 믿음은 오래전부터 지금까지도 우리 주변 곳곳에서 누군가와 이 세계의 삶을 유린해 왔던 것이다. <하얀 리본>은 바로 그 순수한 믿음으로 강요한 훈육의 결과가 세계를 어떤 지경으로 몰아넣었는가에 대한 후일담이다.
끔찍하고 참혹한 기억을 새겨넣는 영화의 영상은 되레 정갈하고 결벽하다. 이 엄격한 흑백영상은 추악한 내면을 가린 그 세계의 위장된 평화처럼 안온하고 담담하기에 더욱 위태롭고 잔인하다. 스크린과 객석의 경계를 실험하듯 관객에게 특수한 체험적인 가학을 주저하지 않던 미하엘 하네케는 <하얀 리본>을 통해 체험보다는 목격과 증언으로서 지난 과오의 역사를 잉태한 근본적 뿌리를 인지시킨다. <하얀 리본>은 깨어 있는 눈과 차가운 머리로 우리에게 매여진 <하얀 리본>을 직시하고 가리키며 경고한다. 악마적인 순수의 전조는 여전히 이 세계를 위협하고 있다. 우린 그 시대로부터 멀어져왔지만 여전히 그 세상에서 살고 있는 것이다. 우리의 믿음은 얼마나 위대한가. 악마는 우리 주변도 아닌, 바로 우리 자신에게 있다. 바로 그 믿음을 먹고 자란다.
2010년 7월 2일 금요일 | 글_민용준 beyond 기자(무비스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