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검색
검색
현장취재! 1980년 5월, 그 누구도 화려한 휴가를 보내지 못했다.
2006년 11월 23일 목요일 | 최경희 기자 이메일


1980년 5월에 우린 뭐하고 있었을까? 시간은 항상 흘렀고 그 시간은 과거와의 고리가 되어 현재를 만든다. 때문에 누군가의 기억에서 삭제되거나 잊혔다고 해도 5.18 광주민주항쟁은 당도하지 않은 미래의 시간에도 우리가 안고 가야할 기억이자 상처다. 더는 그 일로 아파하는 이가 없더라도 오늘을 살아가는 이들이라면 숙명처럼 지고 가야할 생채기 같은 ‘역사’

지난 11월 20일, 취재에서 만큼은 환상의 속궁합을 자랑하는 딱 벌어진 어깨의 소유자 권모씨와 오늘도 지각생 최모 기자는 평소와 다름없이 무기력한 모습으로 용산역에서 만났다. 매일 보는 얼굴이지만 이별과 만남이 공존하는 묘한 공간 기차역에서 보니 역시나 지겨웠더랬다. 영화 <화려한 휴가>를 광주까지 취재하러 가는 길이 고단하게 다가오는 순간이다. 그 때 커피 앤 도넛으로 짧은 여행의 시작을 알려주는 <화려한 휴가>(제작: 기획시대, 배급: CJ엔터테인먼트) 홍보 마케터의 센스가 없었다면 겉궁합만큼은 빵점을 향해 달리는 권모군과 최모양은 아무 것도 아닌 일로 분명 으르렁거렸을 거다.

“당신을 보내세요” KTX 광고카피처럼 1980년 광주로 가기 위해 일행은 기차에 몸을 실었다. 부모의 뿌리가 전라남도 광주와 벌교인 한 사람으로서 그 곳은 어렵게 서울살이를 시작한 세월만큼이나 가슴 저림이 있는 낯선 고향이다. 결코 타인일 수 없는 사이처럼 말이다.

광주에 도착해 택시를 타고 <화려한 휴가>의 세트촬영장으로 이동했다. 창 밖에 보이는 초겨울의 스산한 풍경은 중심지를 벗어날수록 공허한 도시의 윤곽을 드러낸다. 26년 전 이곳에서 누군가는 아비를 찾아, 누군가는 차디차게 식은 연인의 몸뚱이를 안고, 누군가는 잃어버린 자식의 이름을 외치며, 통곡했으리라라는 생각에 미치자, 개발과 발전의 청사진을 약속하는 오후의 도시 그림자가 눈에 보이지 않는 무덤 쪽으로 기울어져 있음을 그제야 눈치 챈다.

<화려한 휴가>의 금남로 세트 촬영지는 광주 북구 첨단 과학산업단지의 1만 5천여 평의 부지에 세워졌다. 1980년 광주 금남로 거리를 완벽 재현한 여기서 배우 안성기 김상경, 이요원, 이준기, 박원상, 박철민은 하필 광주가 삶의 터전이라서, 단지 그 시간 거기에 있었다는 이유로, 2만 5천여 명의 공수무장 병력에 어쩔 수 없이 맞선 시민군으로 변해 있었다.

“우리는 폭도가 아니다”라는 한 마디 대사 때문에 출연을 결심한 김상경은 그 때의 아픔을 뼈에 새긴 강민우가 되어 취재팀을 맞이한다. 엄청난 크기의 세트장에 압도된 상태에서 이름 모를 시민군으로 변해 버린 배우들을 만나니 대체 여기가 세트장인지 실제 1980년 금남로인지 도통 구분이 안 갈 정도다. 공들인 영화촬영장에서 곧잘 느끼는 시간의 블랙홀이 광주 과학산업단지 영화세트장을 26년 전으로 데리고 간 게 분명하다.

해가 뉘엿뉘엿 지는 금남로에는 소품이긴 하지만 탱크와 탄피, 흩뿌려진 핏자국들이 5.18민주항쟁을 생생히 재현하고 있다. <목포는 항구다>로 충무로에 데뷔한 김지훈 감독은 “그 당시 10살 이었다. 경상도 출신이라 전라도가 고향인 분들과는 다르게 스트레이트한 방식으로 5.18을 담을 수 있다는 자신감이 들었다. 아픈 과거사로 전체를 조망하긴 보다 개인의 역사에서 시대를 끄집어내고 싶다.”며 상처를 직시하는 것에 주저함이 없다. 세트이긴 하지만 폭풍 같이 지나간 피의 역사가 고스란히 간직된 그곳에서 한 무더기의 너털웃음이 흘러넘친다. 작은 성취감은 가식 없는 웃음으로 창백한 겨울하늘에 온기를 더하고 다부진 결의는 거짓 하나 없는 진실 된 사진 한 장으로 남는다.


<화려한 휴가>에서 광주 소시민이 시민군으로 변해가는 과정을 사실적인 웃음 속에 리얼한 감동으로 전해줄 인봉(박철민)과 용대(박원상)는 도청을 점거한 기념으로 사진기 앞에서 한껏 포즈를 취하고 있다. 나팔바지에 단발머리를 한 박원상과 일명 장정구 헤어스타일로 변신한 박철민은 얼핏 봐서는 멋 부리기 좋아하고 놀기 좋아하는 80년대 날라리 청년으로만 보인다. 그들이 왜 화염병을 던지고 군부정치에 총으로 맞섰는지가 궁금해 김지훈 감독이 직접 쓴, 개인의 역사가 빼곡히 적힌, 영화 시나리오가 너무나 보고파졌다.

다음 장면을 찍기 위해 스텝들이 바삐 움직이는 동안, 아주 천천히 금남로를 거닐어 본다. 은행, 여행사, 양장점 등이 늘어선 거리는 폭도로 매도당한 시민군의 삶터였다. 1980년 5월, 광주 금남로에서 대체 무슨 일이 일어난 걸까? 매일 오가던 거리를 스스로의 피로 물들이고 모든 걸 집어 던질 수밖에 없었던 그들의 불행한 숙명을 누군가는 분명 목격했을 텐데 그 당시 어떤 언론도 전두환 정권의 폭압 앞에서 사실을 뱉어낼 수 없었다고 한다. 지금까지 살면서 한 번도 찾아보지 않은 근 과거사는 무관심만큼이나 비밀스럽다. 영화에서 시민군을 통합하는 박흥수로 분한 안성기는 1980년을 이렇게 회고한다.

“그 당시 <바람불어 좋은 날>을 찍었다. 광주에 참극이 일어난 사실은 알고 있었지만 언론통제와 진실 왜곡으로 인해 자세히 알 수는 없었다. 배우로서, 그 당시를 살던 젊음이로서 이 사실이 매우 부끄럽다. 5.18을 소재로 영화가 만들어지는 것 자체가 이제야 그 때를 정면으로 직시하고 반성할 수 있는 분위기가 형성됐다는 뜻으로 받아들여진다. 그래도 지금에서야 만들어진다는 것은 분명 늦은 감이 있다”

어느 누구도 냉정하게 5.18을 정면으로 바라보긴 힘들 것이다. 그러나 냉정할 수 없다는 말은 동시에 변명임을 우리는 너무나 잘 알고 있다. 30년 가까이 흘렀지만 여전히 감정적으로는 냉정해질 수 없는 비극. 그 당시 어쩔 수 없이 방관자로 살아야만 했던 한 대배우의 개인의 역사는 그래서 자조적인 울림을 동반한다.

서늘한 광주 벌판에서 5.18광주민주항쟁은 스텝과 배우 그리고 감독의 끈기와 열정으로 한 컷 한 컷 되살아나고 있다. 혹여 그들에게 누가 될까봐 노심초사하는 감독과 배우의 고뇌는 영화의 완성도로 만회되리라 예상해 본다. 스텝들과 공놀이를 하다가도 어느 순간 감독 옆으로 쪼르륵 달려가 매 장면을 체크하는 김상경은 그 영역을 넓혀 영화 포스터에까지도 자신의 생각을 깊이 있게 놓는다. 동생 강진우(이준기)를 항쟁으로 잃고 비극의 역사에 뛰어든 강민우는 금남로 세트장을 집처럼 여긴다는 김상경의 몸을 빌려 스크린에 어떤 모습으로 비쳐질지 다음 촬영 씬을 가까이 지켜보았다.

시민군이 도청으로 입성하는 장면은 땅거미가 지기 시작한 무렵에 찍어서 그런지 보는 이마저도 묘한 감성에 젖게 만든다. 육공을 타고 환호하는 시민군 사이에서 강민우는 왠지 슬퍼보였다. 이 작은 승리가 그리 오래가지 않을 것임을 마치 예상하는 듯한 표정이다. 몇 번의 리허설과 촬영이 반복되는 가운데 무비스트 사진기자는 조금 더 현장감 있는 사진을 찍고픈 욕심에 그들 가까이 다가간다. 만약 이게 촬영이 아닌 실제 1980년 5월 금남로라면 지금 찍은 이 한 장의 사진이 진실을 대변할 수 있을까? 시대의 아이러니가 상실감으로 다가오는 순간의 경험.


촬영이 마무리 되고 근처 카페에서 조촐한 기자 간담회가 진행됐다. 극 중 강민우와 수줍은 사랑을 나누면서도 비극적 시대를 버텨내는 강인한 여성 박신애로 분한 이요원은 자신의 역할에 대해 이렇게 정의한다. “5.18 당시 여성의 역할이 무척이나 컸던 것으로 알고 있다. 평범한 여성으로 살던 그들이 왜 거리에 나와 항쟁할 수밖에 없었는지 촬영하면서 이성이 아닌 감정으로 먼저 이해했다. 나도 모르게 울컥해 비극 앞에서 더 강해져가는 여성 신애로 자연스럽게 몰입해 들어갈 수 있었다” 영화란 시대를 불러들이는 마법임이 분명하다. 1980년생인 이요원이 전혀 경험하지 못한 그때를 누구보다 생생히 기억해 내니 말이다.

늦은 시간 딱 벌어진 어깨의 소유자 권모씨와 오늘도 지각생 최모양은 무거운 몸을 버스에 의탁했다. 캄캄한 어둠 속으로 광주가 멀어져 간다. 이 날의 짧은 취재기는 돌아오는 길에 1980년 대구 태생인 권모씨와 나눈 대화로 마무리 해본다. “오늘 난생 처음 광주에 와봤다. 처음 방문해서 그런지 낯설기도 했지만 일단 광주라는 도시의 정서가 다른 대도시와는 다른 것 같다. 화려하지만 쓸쓸하다. 아니 공허하더라. 소중한 무언가를 잃어버린 사람이 곧잘 짓는 허탈한 웃음이랄까? 광주의 첫인상은 나에게 이랬다”

취재_2006년 11월 23일 목요일 | 최경희 기자
사진_2006년 11월 23일 목요일 | 권영탕 기자

23 )
screen5
이 영화를 처음 들어본 영화이네요.. 좋은 영화 기대하겟습니다   
2006-11-27 12:27
biyaki
오~ 기사때문에 알게됬네요 ㅋ

개봉하면 한번 보고싶어요 ㅋㅋ   
2006-11-26 20:49
hrqueen1
아팠던 지난 과거. 상처가 아물 수 있도록, 상처를 보듬을 수 있기를 바라네요.   
2006-11-26 17:33
ej19850905
오, 몰랐던 영화..
관심이 생겨요!!   
2006-11-24 19:16
jazzmani
진짜 80년 5.18을 경험한 사람에게 잔재미같은건 없죠
그 아비규환의 상황에 외부사람들은 너무 잔인한 걸 기대하다니..   
2006-11-24 15:06
dcin78
너무 무겁게 말고 약간의 잔재미도 있었으면 하네요..   
2006-11-24 12:07
ddreag
재밌네요..ㅎㅎ 근데 이준기는 촬영이 끝난 모양이군요..없는 걸 보니   
2006-11-23 17:28
1 | 2 | 3

 

1 | 2

 

1일동안 이 창을 열지 않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