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형제도 존폐의 논란을 다시금 야기시킨 영화 '집행자', 무거울대로 무거운 영화일 것 같은 생
각이 들면서도 꼭 한 번은 봐야겠다고 생각한 영화가 본인에게 어떤 인상을 품어 줄지 궁금하던
차에 영화관으로 만나러 갔다.
어느 교도관의 첫 사형집행기
나는 법무부 교도관 고시원 생활 3년, 백수 재경(윤계상)은 잠시 용돈이나 벌고자 교도관으로 취직한다. 하지만 첫날
부터 짓궂은 재소자들 때문에 곤욕을 치루게 되는 재경. 어리버리한 그에게 10년차 교사 종호(조
재현)는 "짐승은 강한 놈에게 덤비지 않는 법"이라며 재소자를 다루는 법을 하나씩 가르쳐간다.
재소자들에 군림하는 종호나 사형수와 정겹게 장기를 두는 김교위(박인환)의 모습 모두 재경의
눈에는 낯설기만 하다.
오늘 출근하면 3명을 살인해야 한다 어느 날, 서울교도소는 일대 파란이 인다. 지난 12년간 중지됐던 사형집행이 연쇄살인범 장용두
사건을 계기로 되살아 난 것. 법무부의 사형집행명령서가 전달되고 교도관들은 패닉상태로 빠져
든다. 사형은 법의 집행일 뿐이라 주장하는 종호는 자발적으로 나서지만 모든 교도관들이 갖은
핑계를 대며 집행조에 뽑히지 않으려는 사이... 사형수 장용두는 자살을 기도하고, 유일하게 사
형집행 경험을 가진 김교위는 어디론가 사라져버리고 만다.
금방 끝날거야 2009년 어느날, 가로 2미터, 세로 4미터의 직사각형방. 그 곳으로 사형집행을 위해 되살려진 장
용두와 죽음을 받아들이는 칠순의 사형수 성환. 그리고 교도관 재경, 종호, 김교위가 한자리에
모였다. 마침내 사형집행의 순간, 사형수들의 얼굴 위로 하얀 천이 씌여지자 묶인 두 발은 떨리
기 시작했다. 그리고 교도관들의 마음도 죽어가기 시작한다...
'죄는 미워하데 인간은 미워하지 마라'라는 말이 있다. 이같은 말은 죄질이 극악 무도하고 자기
죄에 대해서 뉘우침이 없는 살인죄를 저지른 늑대의 탈을 쓴 인간에게도 형용될 수 있을까?
답은 간단하다. 그 늑대의 탈을 쓴 피해자의 가족의 입장이 되어 보면 자연스레 말 안해도 알 것
이다. 우리나라의 경우는 사형제도가 있지만 지난 10년간 단 한차례도 집행을 하지 않아 사실
상 사형제도 폐지국가라고 할 수 있죠. 원래 형벌이라는 것은 '응보주의' 였다. '내가 당한만
큼 너도 당해봐라' 라에서 출발을 했다. 즉, 간단히 말해서 '복수' 였었다. 그러나 계몽시대에 들
어서면서 형법 및 형벌의 목적 내지는 본질, 그리고 그 내용과 대상 등에 관한 합리적 논리 끝에
법적 판단을 내리게 되었다. 인권단체에서의 사형폐지 주장을 살펴보면 주된 내용이 인간의 존
엄성이고 '교화'란 단어에 있다. 과연 극악무도하고 자기 뉘우침을 모르는 늑대의 탈을 쓴 자가
교화 될 수 있을까? 그건 아무래도 현실불가능한 일일 것이다. 왜냐하면 그런 자들의 정신세계는
일반 사람과 완연히 다른 다른 세계의 정신을 가진 자이기 때문이고 그런 자들을 교화시키려면
그 방면에 전문지식을 갖춘 고단위의 전문가가 필요한데 영화를 보니 사형집행을 한 교도관의
일일 수당이 우리나라 돈 7만원이라는 걸 보면 그런 자에 그런 전문가를 쓸 만큼 법무부에 여유
와 아량이 관철 될리는 어렵다. 또 그런 자들을 국민이 낸 세금으로 세끼 세때 밥 먹여 가면서
관리하는 것도 사형폐지에 대한 의구심이 든다. 영화는 이런 사형제도 존폐에 관한 내용을 연기
자들의 사형 집행이라는 의무와 책무를 지고 있는 교도관의 심적인 내면 갈등등의 우수한 연기
에 어울려 영상을 통해서 보여준다. 영화를 보고 본인에겐 많은 생각을 하고 사형제도 존폐의 혼
란이라는 테두리안에 갖히게 하였다. 아무래도 한동안 아니 평생 그 테두리안에서 못 헤어 나올
거 같은 기분이 뇌리에 담겨져 오는 영화 '집행자'를 꼭 한 번 보시고 사형제도 존폐에 대해서 새
각해 보시라고 여러분께 추천 드리는 바이다.
여러분 좋은 영화 많이 감상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