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뎌 지난 주말, 마더를 봤다.
솔직히 언론에서 떠들고, 칸 영화제에서도 기립박수를 받았다는 정보 외에
그다지 영화 내용에 대한 정보는 제외한 채로 영화관엘 들렸다.
기대가 크면 클수록, 영화 내용에 대한 정보가 많으면 많을 수록, 외려 영화감상하는데 방해가 될 것 같아서.
이런 내 생각은 절반은 맞았고, 절반은 빗나갔다고 할 수 있다.
솔직히, 이토록 섬뜩하고 기분이 찝찝한 느낌이 몰려오는 영화일 줄은 몰랐다.
영화 홍보에서부터 등장한 '모성본능' 에 초점이 맞춰서 다소 슬픈, 혹은 아들을 변론하기 위한
엄마의 고군분투하는 내용일 줄 알았다면, 그건 내 착각이었을까?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았는데, 영화를 보는 내내 숨죽이게 만들고, 내내 가슴을 졸이며 긴장을 늦출 수가 없었던
그런 숨막힘.
영화의 결말부에 이르러서야, 아 이사람 봉준호였지. 라는 새삼 깨닫게 된 건 왜일까.
그리고, 2003년 이었던가? 숨죽이며 놀라며 봤던 그의 전작 <살인의 추억>이 겹쳐 연상이 됐던 건 우연이 아니었을 것라는 확신을 갖게 했다.
솔직히, 그는 완벽한 시나리오를 썼다.
그리고 그의 연출력, 역시 정말 영화학도들이 추종할 만큼 영화적인 매력을 최대한 살렸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나는 왜... 보는 내내... 그것이 불편하게 느껴졌을까.
여성에 대한 왜곡된 시각... 성적인 왜곡이 빠지지 않는... 그 코드와 감성이
박찬욱 감독과 연관되어 떠오르면서
우리나라 유명한 감독들은 왜 하나같이 이렇듯 병들고, 파괴된 여성을 그리고 있나... 란
회의까지 밀려왔다.
모든 걸 말하지 않고, 적당히 숨기면서도 그 장면 장면 각자의 분위기를 통해
또한 모든 걸 말하고 있는 듯한..
아주 묘한... 그런 느낌.
참, 이 사람 대단하는 생각은 떨칠 수가 없다.
어차피 유명한 작가며, 영화 감독들은 이렇듯 보통 사람들이 미처 목격하지 못한,
시대의 부조리하고 병든 인간상을 그대로 들춰 내보이는 데 그들의 능력을 과시할 수 밖에 없는가란
생각마저 들지만.. 그렇다 해도.. 그는 훌륭한 감독인 것 같다.
누군가가 그것을 목격해야 하고, 또한 기술해내야 한다면, 인간의 부조리와 병든 모습을
가장 타당성 있게 완성해내는 것은 그들의 의무일테니까.
아무튼... 원래 엄마와 함께 보려고 했으나, 영화를 다 보고 나니,
심장이 약한 엄마와는 절대 볼 수 없을 거라는 결론이 났던,
봉준호의 야심작, 마더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