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부한 로맨틱 코미디의 고정관념을 보내고 '하드보일드' 개념을 도입해
극 사실주의와 자연주의적이면서도 감출것을 모두 드러낼 듯 선보인
하드보일드 로맨스 영화로 돌아온 한지승 감독의 영화는 깊이있는 연기
파 배우인 설경구와 연기력 논란에 계속 휩싸이는 김태희의 만남으로
주목받은 영화가 되었다. 파격적으로 보여지는 포스터와 이색적인 '하드
보일드' 라는 단어와 '로맨스' 의 결합이 자아낸 호기심은 시사회가 나
오기까지 호전적인 반응을 이어갈듯 했으나 PPL [Product Placement]
마케팅 기법이 간접광고로 도배한듯한 분위기로 논란에 휩싸이면서
김태희의 연기력과 함께 묶여 흥행실패로 잠잠해져 버린 영화가 되어
버렸다. 간접광고의 노골적인 노출은 눈쌀을 찌프리고 영화를 보는데
장애가 되긴 하지만 순수한 영화의 감상을 표현하기에 극과 극의 평가를
내리는 기준이 될수는 없다는 것이 본인의 의견이다. 따라서 영화 그
자체를 보자면 영화속 유리공예가인 윤진아(김태희)와 곤충학 대학교수
설경구의 사랑과 애증, 그리고 결혼과 헤어짐이 남긴 상처와 의미를
이어가는 과정을 그리고 있다. 그것이 직설적이고 거친입담과 육체적인
충돌로 이어지면서 머리로 생각하기 보다는 가슴으로 직접 부딪혀
영화를 느껴보라는 의도가 보여진다. 하지만 '하드보일드' 라는 수식어
를 달기에 세속적 사실주의와 비정하고 현실적인 모습보다는 미화적이
고 폭력이 코믹에 포장되어 하드보일드라는 의미를 무색하게 만든다.
코믹의 적절하지 못한 삽입을 위해 난입된 부분들과 주연배우들 외에
조연배우들의 역활등이 의심스러운 영화가 되어버린다. 물론 자신의
역활에 충실했던 설경구와 김태희의 연기는 굉장히 자연스럽게 보였다.
김태희도 역활에 충실한 연기를 했다는데에 고개가 끄덕여지긴 하지만
두 캐릭터의 상성이 맞지 않고 '시계추' 로 두사람의 만남이 일으키는
불씨가 겉잡을수 없이 커지는 것은 사실적이기 보다는 과장되고 포장된
모습에 눈쌀을 찌프리게 한다. 개개인의 역활에 충실했지만 영화의
전체적인 흐름과 캐릭터들의 상성은 결코 맞지 않았다. 퍼즐 한 조각
한 조각은 훌륭한 작품이지만 배경에 맞춰보니 전혀 어울리지 않는
느낌이랄까? 그런 느낌때문에 당혹스러우면서도 개연성과 융통성있는
모습을 보여주지 못하는 영화가 안타깝게 느껴지기만 하다. 영화에서
중요시 되는 창작의 자유와 관찰과 경험, 또는 상상에 의해 구현되는
기본적인 개념에 관객들의 시선과 상업적인 코드의 조합등으로 인한
어지러운 구도가 결국 영화를 흐지부지하게 망쳐버린 듯하다. 영화를
영화로만 볼수있게 관객들의 수준에 대해서 이야기하거나 판단하기
전에 조금은 관객들을 배려하고 납득할수 있는 자세를 보인다면 이런
영화들도 깔끔하게 재평가 받을수 있지 않을까 하는 아쉬움이 감도는
그런 영화였다. 개인적인 연기외에는 스토리에 대한 감독의 이야기는
전달은 되지만 감성적으로도 육체적인 충돌에서 오는 강렬한 로맨스의
임팩트와 심리상태도 알수 없게 된 혼란스러운 영화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