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소리를 듣지 못하는 사람들을 위해....
이 영화는 네 아이의 아버지인 톰 행크스와 그의 단짝 로버트 저메키스가 아이들의 꿈과 희망을 지켜주고 싶다는 합의에서 시작됐다고 한다. 산타를 의심하는 그래서 종소리를 듣지 못하는 사람들을 위해 두 어른은 북극 산타마을로 가는 특급열차를 마련했다.
전체적인 줄거리를 살펴보자면, 산타는 가짜라고 믿는 <폴라 익스프레스>의 주인공 소년은 크리스마스 전날 저녁 잠자리에 들었다가 집 앞에 난데없이 도착한 ‘폴라 익스프레스’에 올라탄다. 기차에 올라탄 소년은 친구들을 사귀고, 또 열차 위에서 사는 떠돌이도 만난다. 드디어 도착한 산타마을. 그곳에서 소년은 없다고 믿었던 산타클로스의 존재를 확인하며 기쁨에 젖는다. 다시 집으로 돌아와 잠든 뒤 맞은 크리스마스 아침. 여느 때처럼 소년은 눈을 뜬다. 변한 것이 없다. 꿈이었나? 그러나 산타클로스가 쥐어줬던 방울이 선물상자에 들어 있음을 확인하고는 ‘믿는다’. 그리고 부모님은 듣지 못하는 산타의 종소리를 자신은 듣는다.
톰 행크스는 이 영화를 위해 특수 센서가 달린 의복을 입고 '퍼포먼스 캡처'를 통해 주인공 소년, 소년의 아버지, 차장, 떠돌이, 산타클로스 등 1인 5역을 해낸다. 로머트 저메키스는 이 영화에 사용된 '퍼포먼스 캡처'를 더욱 발전시켜, 최근 <베오울프>를 제작, 찬사를 받고 있다. 당시에도 큰 기술적 성과를 담고 있다고 평가 받은 '퍼포먼스 캡처' 시스템 때문에 다른 애니메이션과 달리 이 영화의 인물들은 마치 실사 배우들처럼 느껴지기도 한다. 영화는 이 지점에서 소위 'Uncanny Valley Effect'(혐오의 계곡 효과)로 인해 많은 어린이들이 영화를 보다가 울음을 터트렸다고 하며 미국에서 흥행에 실패한 가장 큰 이유로 꼽힌다. 혐오의 계곡 효과라 함은 애니메이션 또는 로봇 등의 생김새가 인간과 닮아가는 과정에서 어떤 한계를 넘어서면 그 전에 느끼던 귀여움이나 놀라움보다는 혐오를 느끼게 된다는 것인데, 대표적으로 한국에서 제작된 아인슈타인의 얼굴을 한 로봇 등이 꼽힌다. 아직 보지는 못했지만, 좀 더 진보된 시스템으로 만든 <베오울프>에서는 이런 얘기가 나오지 않는 걸로 봐서 어느 정도 극복된 게 아닌가 싶다.
이 영화를 개봉 당시 극장에서 보고, 올해 크리스마스 때 케이블에서 다시 보기는 했지만, 이 영화를 가장 재밌게 보는 방법은 아이맥스 극장에서 보는 것이라고 한다. 아이맥스 극장에서 보는 것은 더 이상 가능할 것 같지는 않지만, 두 어른이 '믿음'을 주제로 만들어간 <폴라 익스프레스>는 어떻게 보면 아이들보다는 종소리를 더 이상 듣지 못하는 어른들을 위한 동화같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