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기덕 영화에 대해 이야기하면 그의 영화를 몇개만 보거나 안본이들은 엽기적이고 비주류적인 감독이라 칭하는 경우가 대다수이다. 그리고 <나쁜 남자>는 그런 관점에서 영화를 바라본다면 '역시나 그렇고 그런 영화'라는 핀잔 듣기에 적당한 영화다. 종종 그의 영화를 놓고 터져 나오는 논란거리인 '여성가학적'인 관점에 대한 비난도 <나쁜 남자>는 고스란히 뒤집어쓴다.
강압적인 키스씬이 왠만한 블럭버스터의 액션에 비교될만한 충격을 주는 오프닝을 제하고라도 사창가두목이 자신을 모욕한 여대생을 창녀로 만들지만 그녀를 점차 사랑하게 되는 <나쁜 남자>의 스토리는 쉽게 받아들이기 힘들지만 그 어두운 사랑을 이해하게 된다면 감각적인 모습으로만 치장된 흔한 멜로영화보다 더 큰 울림을 전한다. 그렇기에 <나쁜 남자>는 충분히 김기덕의 모습을 과시하면서도 대중에게 충분히 어필한만한 영화다.
그러나 <나쁜 남자>의 대중적 매력은 감독의 스타일보다는 배우의 연기에 더욱 기댄다. 사창가 두목 한기역을 맡은 조재현은 최근 드라마 [피아노]로 최고의 남자배우에 오른 인기를 영화로 가지고 온다.([피아노]에서 조재현이 비극적인 결말을 떠맡은 다음날 <나쁜 남자>가 개봉하는것은 어쩌면 흥행에 큰 도움이 될 수도 있다.) 그것이 아니라도 조재현의 연기는 최근 몇년간 단연 돈보이는 연기이다. 대사없이 슬픔과 분노, 사랑의 감정을 행동과 눈빛에 담아낸 그의 연기는 그가 사랑하던 여대생 선화(서원)를 떠나보낸후 "깡패새끼가 무슨 사랑이야" 라는 쇳소리 대사 단 한마디에 응축되어 폭발한다. 이때 관객은 '나쁜남자'였던 한기를 향해 "과연 한기가 정말 나쁜 남자일까?" 라는 질문을 던지게 만들며 제목의 의미를 짐작할수 없게하며 눈물샘을 자극한다.
<나쁜 남자>는 김기덕 영화이지만 현실적인 맛은 약하다. 사실 <나쁜 남자>는 김기덕 영화이기때문에 현실적이라는 모습으로 가장한 판타지일 수 있다. '새장 여인숙'앞 바닷가에서 선화가 사진을 발견할때 감독은 '이미 예정되어 있던 운명'을 이야기하지만 현실적은 틀안에서 영화를 보던 관객에게는 그 장면의 의미가 큰 혼란으로 다가온다. 그리고 "중간에 세번정도의 끝낼 기회가 있었지만 마지막까지 끌고갔다" 는 엔딩에 이르면 저 결말을 선뜻 받아들여야 할지 어떨지에 대해서 망설이게된다. 그러나 <나쁜 남자>를 보고난다면 이 결말을 이해하면서 어딘지 모를 슬픔이 마음 한 구석에 깊이 남을것이다.
허무하지만 극도의 슬픔을 이끌어내는 영화 <나쁜 남자>. 이 영화에 대한 관객의 반응을 궁금해하는 사람은 아마 나뿐은 아닐것이다.
보태기: 영화의 포스터가 심의를 통과못해 두번이나 바꾸어 심의를 통과한 해프닝을 보면 좀 어이가 없다. 그리고 내가 추천하고 싶었던 카피도 지금의 "세상에서 제일 나쁜 남자를 만났다" 가 아닌 첫번째 카피였던 "그의 시선이 머무는 곳에 그녀가 있다" 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