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이샤를 마치 여왕처럼 묘사한 듯 보이지만 초반의 몇몇 장면들은 그 반대의 뜻을 비친 것 같다..     영화는 하츠모모를 잔혹한 악역으로 그렸지만 보는 내내 느낀 것은 그 반대였다. 하츠모모는 美를 팔아 많은 돈을 벌었지만 그의 소유가 될 수 없었고, 그저 꼭두각시 노릇을 할 뿐이다. 또한 사랑을 할 수도 없다. 겉모습과는 대비되는(어린 펌킨의 대사에서 특히) 불쌍하고 억울한 인생을 살았다. 그 세계에 익숙해진 하츠모모는 자신의 위치를 빼앗은 사유리를 질투한다.     어린 치요에게 하츠모모가 한 대사 한마디가 선명하다.... "왜 다시 돌아왔어? 도망갈 기회를 줬는데..."     자기 자신의 인생을 빼앗긴 진짜 게이샤 하츠모모의 눈물어린 대사다.     사유리는 사랑 때문에 게이샤가 되었지만, 하츠모모는 게이샤이기 때문에 사랑할 수 없었다.     대비되는 두 사람 중에 나는 오히려 하츠모모에게 더 정이 간다. 마지막 모습에서 복잡한 감정이 셀 수 없이 겹쳐진 양 음울한 눈빛을 한 공리의 모습이 압권이다.     패왕별희에서 장국영의 열연에 별 관심을 못 가졌는데 그때도 연기력이 참 대단했던것 같다..  그때도 문화혁명 당시 "자기반성"인가 뭔가를 잡혀 와서 하고 있는데 남편이 "난 저 여자를 사랑한 적 없다."고 말할 때  공리의 눈빛이............ 
       여하튼 이 영화  공리가 주인공 같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