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검색
검색
더 레터(2004, The Letter / Jod Mai Rak)
배급사 : CNS
수입사 : CNS /

더 레터 예고편

[뉴스종합] 10년 만에 태국에서 다시 쓰여진 ‘편지’ 06.07.12
더 레터 sunjjangill 10.08.18
이 영화.. zzarii 06.08.24
한국의 편지를 외국화한 영화 ★★★★  kimjun 06.09.01
별로잼없었음 ★★★  hopang3w 06.09.01
역시 조금 뭔가가 아쉽단 말이지... ★★★★  whrrrkd00 06.09.01



태국 영화계 흥행 고수 최고의 드림팀이 선택한 감성 멜로

종려시 주연의 <잔다라> 아시아 3개국의 ‘호러 프로젝트’ <쓰리>등을 제작, 태국 뉴웨이브 영화를 이끌며 아시아 영화계의 영향력 있는 여류 제작자로 활발한 활동을 했던 듀앙카몰 림차로엔이 병환으로 타계하기 직전까지 작업했던 <더 레터>. 최진실, 박신양 주연의 1997년작 우리 영화 <편지>를 리메이크 한 이 작품은 자국 영화계를 이끌어 나가는 최고의 제작팀이 의기투합, 태국에서 2004년 9월 개봉 이후 당당히 자국 박스 오피스 1위를 달성하며 큰 성공을 거두게 되는데, 이러한 성공엔 감독인 파온 찬드라시리의 기획력과 여류 감독 특유의 섬세한 연출이 큰 몫을 담당하게 된다. TV 드라마 연출에선 각종 시상식을 휩쓰는 등 독보적인 존재였지만 영화엔 전혀 경험이 없던 그녀를 동물적일 만큼 정확한 흥행 감각을 지닌 듀앙카몰 림차로엔은 주위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과감히 작품의 연출을 맡기며 가장 중요한 캐스팅까지 모두 감독에게 일임하며 모두의 예상을 뒤엎는 쾌거를 이루게 된 것이다.
이렇게 두 명의 우먼 파워가 힘을 합쳐 완성한 태국 멜로 드라마의 쾌거 <더 레터>는 자국에서의 큰 성공에 힘입어 같은 해 제 9회 부산 국제 영화제에서 이미 원작 <편지>를 경험한 국내 영화 팬에게도 찬사를 받으며 상영되는 영광까지 얻게 된다.

원작 감성을 이국의 정취로 한층 고조시킨 러브 레터

영원한 사랑이라는 말이 죽음이 찾아올 날짜를 알지 못하는 인간의 오만 혹은 호기로운 약속이라 해도, 죽음을 맞이하기 전에 남겨질 사람을 위해 준비하는 배려가 주는 감동은 우리 영화 <편지>와 <더 레터> 모두 관객의 보편적 감성을 자극시킨다.
하지만 두 나라가 가지고 있는 문화적 차이에서 파생된 차용과 변화를 이 영화에선 만날 수 있다. 원작과 흡사한 스토리 라인이지만 태국 사람의 사상과 관습, 사회 현상 등이 뚜렷하게 에피소드에 스며들어 원작과 차별화 된 ‘백 퍼센트’ 그들의 사랑과 삶의 이야기로 완성 된 것이다.
상대를 먼저 생각하고 배려하는 마음을 최고의 미덕이라 여기는 ‘크렝차이 사상’ 내세의 행복을 위해 베푸는 삶을 생활화 하는 윤회를 기본으로 하는 ‘캄 사상’ 그리고, 차분히 생각하고 천천히 행동하라는 뜻이 담긴, 우리의 ‘빨리빨리’ 문화와 대조적인 ‘차이 옌옌사상’ 등은 태국인 들의 정신세계와 실생활을 한마디로 표현할 수 있는 대표 키워드 들이다.
실제로 <더 레터>안에는 위의 사상들이 영화 속 장면이나 등장 인물의 캐릭터에도 자연스럽게 스며들어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원작과는 차이를 보이는 사랑하는 사람과의 얼마 남지 않은 소중한 시간을 위해 수술을 포기하는 남자와 결국은 그 뜻을 받아들이는 여자의 모습은 우리의 관점으로 보면 선뜻 이해되지 않고 낯선 부분이지만 그들의 민족성을 이해한 후 영화를 감상하면 어느덧 그들에 동화되는 자신을 발견할 수 있는 것이다.

수준 높은 연기와 연출의 환상 하모니,
우리가 모르는 새로운 감성의 신천지 태국의 멜로 영화


그 동안 태국 영화 하면 <디 아이>, <셔터>등의 공포물이나 <옹박>같은 액션 영화 두 가지 자극적인 장르만을 기억하던 국내 관객에게 그들의 삶 속에 녹아있는 생각과 그것이 바탕이 된 ‘진짜 사람들의 사랑이야기’를 만나는 소중한 기회를 제공하는 영화가 등장했다. <더 레터>는 2006년 ‘새로운 영화 읽기’를 갈망하는 관객에게 할리우드 영화가 아닌, 그리고 영어권 영화가 아닌 전혀 다른 낯선 언어이지만 신선하게 다가오는 새롭고 소중한 경험을 선사할 것이다.
또한, 비영어권 영화 하면 으레 어려운 예술영화를 떠올리던 국내 영화 관객들에게 아시아권 대중영화의 감성을 공유할 수 있는 기회이기도 하다. 아시아권 영화들은 유럽이나 영어권 영화들과 비교해 볼 때 더욱 우리에게 친근하고 공감할 수 있는 감성들로 가득하다. 할리우드 로맨틱 코미디와 유럽 멜로에 식상한 관객들이라면 익숙한 줄거리지만 전혀 새로운 감동을 만날 수 있는 <더 레터>는 블록버스터들이 난무하는 여름 극장가에서 절대 놓칠 수 없는 영화일 것이다.



(총 6명 참여)
kisemo
보고싶네요     
2010-01-31 13:06
egg2
<편지> 타이식으로 리메이크.     
2006-08-26 02:20
lastdiary3
헐 태국 -_-
역시 원본이 최고다 ㅎ     
2006-08-19 14:35
bumcx
왜,,이렇게 만들었담     
2006-08-18 10:53
bushman1
케이트     
2006-08-13 13:55
dkrk132
내사랑 싸가지     
2006-08-04 11:10
1
1일동안 이 창을 열지 않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