삐딱한 프리마돈나의 왕비병이 발작하여 얼떨결에 오페라 여주인공 역을 따낸 크리스틴(에미 로섬). 화려한 데뷔, 가슴 뛰는 러브콜들을 뒤로하고 그녀가 기쁨을 나누기 위해 찾아간 곳은 어둡고 음산한 지하실이다. 영롱한 크리스틴의 노래에 화답하듯 들리는 남자의 노랫소리. 그는 “있다 없다”로 말 많고 소문 많던 오페라하우스의 터줏대감, 일명 ‘오페라의 유령’ 팬텀(제라드 버틀러)이다. 사연 있어 보이는 하얀 가면으로 얼굴 반쪽을 가리고 사람들 앞에 나서지 않는 그가 크리스틴의 스승이다. 천상의 목소리를 타고난 제자와, 그녀에게 음악의 천사로 불리는 천재 스승. 잘난 이 둘이 주거니 받거니 하는 노래 속에서 제3자가 결코 끼어둘 수 없는 유대감이 전해진다.
뮤지컬계의 거장 앤드류 로이드 웨버와 조엘 슈마허 감독이 만든 <오페라의 유령>은 원작 소설에서조차 창조하지 못한 무대의 화려한 이미지들을 스펙터클로 무장시킨다. 또한, 뮤지컬 “오페라의 유령”의 오리지널 음악과 무대예술의 노하우를 접목시켜 영화적으로 재구성해, 영화의 스펙트럼을 한층 넓히기까지 했다. 먼지 쌓인 샹들리에가 오페라하우스의 천장에 다시 매달리면서 과거의 시간으로 넘어가는 오프닝 장면은 이미지의 충격을 곧바로 보는 이의 호흡마저 조절하는 효과로 거둔다. 이렇듯 <오페라의 유령>은 화려하다 못해 선정적이기까지 한 이미지들로 돈 냄새 풀풀~ 풍기는 ‘럭셔리’한 작품이다.
어디까지나 <오페라의 유령>은 장르에 충실한 영화여야 하는데, 마치 실황공연을 보는 듯한 뮤지컬의 리얼리티는 애초의 의도를 흩트려 놓기까지 한다. 스펙터클한 이미지 속에서 고유의 예술성과 대중성은 사라지고 다른 차원 즉, 할리우드 블록버스터만이 주는 재미가 그 자리를 대신 채운다.
<물랑루즈>, <시카고> 등, 근래에 나온 뮤지컬 영화가 눈과 귀를 모두 만족시켜 영화의 다른 재미를 맛보게 해준 작품이었다. <오페라의 유령>도 분명 어느 정도는 이들 영화와 같은 운명과 노선을 걸어 나갈 것이다.
그러나 집착과 광기로 인해 슬프게 끝난 팬텀의 사랑을 거대 이미지들 속에서 ‘찾기’란, 과중한 업무와 책임을 관객에게 떠맡기는 꼴이다. 보고 듣는 것도 쉼 없는데 내면의 심리를 언제 느끼겠는가?
p.s
뮤지컬 “오페라의 유령”을 본 관객이 있다면 분명 이 영화는 다른 재미를 주는 작품이다. 필자가 말하고자 한 것은 ‘비교’를 통해 영화 <오페라의 유령>의 재미를 찾은 것이 아니라 영화 그 자체로 <오페라의 유령>을 봤을 때의 느낌을 중시한 글이다. 영화 안에서 3편의 오페라가 공연되는데 내용을 잘 살펴보면 팬텀과 크리스틴, 라울의 삼각관계 애정 노선이 극 안에 극(오페라)으로 빗대어 재현되는데, 유심히 본다면 쏠쏠하게 잔재미를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