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검색
검색
사랑도 통역이 되나요?
그 귓속말, 아름답다 | 2004년 2월 17일 화요일 | 임지은 기자 이메일


진부한 표현으로 "일상에서 탈출하고 싶을 때" 가장 자주 동원되는 선택은 여행이다. 돌아와 보면 결국 변해있는 건 없고, 결국은 모든 게 도취고 착각이라고 해도 유럽의 어느 거리를 걸으며 사람들은 잠시 해방감과 기묘한 희망을 맛본다. 어디에서도 인간은 결국 혼자라면, 적극적으로 이방인이 되는 편이 낫다.

여행의 효용 또 한 가지는 자신을 다잡을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평소 입지 않던 스타일의 의상을 걸치고, 모험 삼아 밤 외출도 시도해본다. 그러다 술기운에, 혹은 이질적인 분위기에 취한 어느 밤 문득 거울에 비춰본 자신의 모습은 피곤하고 지쳐있다. 여행은 희망 뿐 아니라 절망도 좀더 생생히 체험하게 해준다. <사랑도 통역이 되나요?>는 몸과 마음이 너덜너덜 지쳐있을 때 혼자 떠나는 여행 같은 영화다. 이질적이고 신비로운 것들에 흥미롭게 눈을 빛내다가는 이내 괴로운 권태감에 빠지고, 한 마디씩 던지는 조크도 우습지만 메말라 있다. 그리고 무엇보다 외롭다.

거대한 메트로폴리스 도쿄에서 두 남녀가 조우한다. 서로 배경이 판이할 뿐 아니라 나이 차 역시 족히 삼십 년은 넘어 보이는 두 사람. 우선 헐리우드 스타 밥 해리스(빌 머레이)는 위스키 광고에 출연하기 위해 먼 일본으로 날아왔다. 코미디 배우로서의 빌 머레이 자신의 정체성을 암시하듯 남자의 몸 구석구석에는 누구라도 웃음보를 터뜨리게 할 재능이 잠재되어 있는 것 같지만, 이 이질적인 도시에서 누군가를 웃겨볼 마음은 그다지 없는 것 같다.

그의 눈에 비친 도쿄는 이국이라기보다는 이계에 가깝다. 지극히 일본식의 미소를 흘리는 통역은 CF 감독의 장광설을 한 마디로 요약해버리고, 밥보다 머리 하나씩은 작은 사람들은 지나치게 예의바르다. 돌연 밥의 호텔방으로 보내진 콜걸 여성은 "스타킹을 짖으세요"(reap(찢다)를 leap(뛰다)로 잘못 발음한 것으로, r과 l을 잘 구별하지 못하는 전형적인 '서툰 영어'를 비꼰 셈이다)라는 알 수 없는 절규를 내뱉으며 호텔 방을 뒹군다. 밥은 그 모든 것들을 바라보며 얼굴에 떠오르는 짜증을 숨기지 않는다. 미국에 있는 부인은 카펫 샘플 따위를 쉴새없이 팩스로 보내지만, 정작 그가 뭘 하는지에는 관심이 없다.

샬롯(스칼렛 요한슨)은 결혼한지 2년쯤 된 새내기 주부로 포토그래퍼인 남편(지오바니 리비시)을 따라 일본에 왔다. 대학에서 철학을 전공한 그녀는 20대 초중반을 사는 대다수의 젊은이들이 그렇듯, 뭘 해야하는지 알 수가 없다. 하고 싶은 것들은 있지만 재능이 없는 것 같고, 점점 뭘 하고 싶은지조차 모르게 되어버리는 것이다. 옆자리에 누운 남편은 밥의 아내가 그렇듯 샬롯에게 관심이 없다. 자기 일, 자기가 만나는 사람들로 머리 속이 꽉 찬 남편을 바라보며 샬롯은 "내가 누구랑 결혼했는지 혼란스럽다"고 토로한다.

전혀 안면이 없던 두 사람은 호텔의 바에서 조우하고, 시차부적응과 고독감이 합쳐져 만들어낸 공통의 괴로움, 즉 지독한 불면증을 토로한다. 서로에게서 '같은 것'을 읽어낸 두 사람은 어느 틈엔가 말없는 동반자가 되어 도쿄의 거리를 쏘다닌다. 우주전쟁의 한 복판을 방불케 하는 게임 아케이드와 스트립 클럽, 가라오케를 말없이 유람하는 동안 샬롯과 밥은 우정이나 애정, 그중 어느 쪽으로 한정하기에도 모호한 인간적인 애착을 느낀다.

감독 겸 각본을 맡은 것이 프란시스 드 코폴라의 딸이자 <대부 3>에서 보여준 연기로 비난의 화살을 한 몸에 받았던 소피아 코폴라이고 보면, <사랑도 통역이 되나요?>에 쏟아진 관심과 비평적 찬사들은 새옹지마라는 고사를 떠올리게 한다. 영화 속 샬롯처럼 코폴라는 실제로 일본에 체류한 적이 있으며, 배우 뿐 아니라 작가, 포토그래퍼를 오가며 자신의 능력을 탐색하는 그로서는 고통스러웠을지도 모르는 기간을 거쳤다. 어차피 믿거나 말거나지만 덧붙여본다면, 지오바니 리비시가 연기한 이기적인 남편과 금발여배우 켈리가 각기 소피아 코폴라의 전남편 스파이크 존즈와 카메론 디아즈를 모델로 한다는 꽤 설득력 있는 소문이 영화를 휩싸고 돌기도 했다.

소피아 코폴라의 재능을 세상에 알린 신호탄은 그 해 최고의 데뷔작으로 회자되기도 한 <처녀자살소동(Virgin Suicide, 1999)>. 럭스(커스틴 던스트)를 위시한 리스본가의 아리따운 자매들은 차례로 죽음을 택하고, 동네 소년들은 아름다운 꽃이 시들어가는 정경을 바라보듯 자매에게 매혹된다. 소년들의 동경을 고스란히 담아낸 영화는 몽환적인 신비감으로 가득 차 있다. 꿈결 같은 분위기와 적재적소에 녹여낸 음악들은 차기작 <사랑도 통역이 되나요?>에서도 그대로 살아있는 요소. 두 번째 영화에 와서 소피아 코폴라의 솜씨는 좀 더 단단해졌고, 영화에는 어른들이 즐기는 다크 초콜릿이 그렇듯 달콤하고 씁쓸한 향취가 그대로 살아있다. [뉴욕타임즈]의 엘비스 미첼은 <사랑도 통역이 되나요?>를 리차드 링클레이터의 <비포 선라이즈>와 데이비드 린의 <밀회>, 그리고 왕가위의 <화양연화>의 결합으로 묘사하기도. 기실 세 작품 모두와 공통점이 있으면서도 그 어떤 것과도 닮지 않은 이 영화는 관계의 정수를 뽑아냈다는 점에서 상기한 작품들과 어깨를 나란히 할 만한 또 하나의 걸작이다.

"이런 재미없는 나라, 다시는 오지 말자"고 나란히 다짐하던 두 사람은 헤어짐이 목전에 다가왔을 때 돌연 말을 바꾼다. "떠나기 싫어"라는 밥의 말에 샬롯은 응수한다. "그럼 같이 여기서 살아요." 이건 일본에 대한 서양인의 애증을 반영했다기보다는, 여행이 결국 장소의 문제가 아닌 기억의 문제임을 암시하는 부분이다. 이국에서 만난 두 사람은 서로에게 소중한 추억이 되고, 그 시점에서 초밥집 카운터에 앉아 "멍든 발가락 초밥은 없냐"고 심통을 부리던 밥의 무례함은 자취를 감춘다. 라스트 씬에서 밥이 샬롯의 귓가에 속삭이는 말을 관객은 들을 수 없다. 평론가 로저 이버트가 요모조모 상상해본 것처럼 그건 밥의 전화번호일 수도 있고, 또 고맙다는 인사일 수도 있다. 사랑한다는 고백이거나 그 외 어떤 다른 못다한 이야기였을 지도 모른다. 그리고 그들의 언어를 알 수 없는 관객은 질투심과 안도감을 동시에 느낀다.

<사랑도 통역이 되나요?>는 섬세한 내면묘사 이전에 감각적인 비주얼과 배우를 보는 즐거움만으로도 우선 맛있는 영화다. 그건 찬사 받아 마땅한 연기를 보여준 빌 머레이와 스칼렛 요한슨의 공일 수도 있고, 젊은 감독의 재능이 쌓아올린 성과일 수도 있다. SF 속 미래도시 같은 도쿄를 배경으로 한, 어떤 장면에선 흡사 뮤직비디오 같기만 한 영화가 관객을 울고 웃게 할 수 있다는 건 기묘하고도 즐거운 체험이다. 매체들이 <사랑도 통역이 되나요?>를 '미래형 작가 영화'로 명명하고 요란스런 환호를 앞다투어 바친 것은 이런 이유에서일 것이다.

3 )
ejin4rang
사랑도 통역이 된다   
2008-10-15 17:14
callyoungsin
정말 잘만든 섬세함과 비주얼한 영화다   
2008-05-19 13:23
ldk209
영화 제목만 빼놓으면 다 좋았던 영화..... 대체 제목 누가 지은거야???   
2007-01-16 21:12
1

 

1

 

1일동안 이 창을 열지 않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