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실주의에 기반한 장르 영화를 작업하던 감독에게 <소와 함께 여행하는 법>과 같이 관념적인 문학 소설이 끌린 것은, 어쩌면 새로움에 대한 예술적 갈망인지 모르겠다. 비단 <우리 생애 최고의 순간> 만을 두고 말하는 건 아니다. 임순례 감독은 <소와 함께 여행하는 법>에 이르러 자신의 관심 세계가 리얼리즘에서 보다 확장된 형이상학적인 세계에 발을 디뎠음을 보여준다. 물론 이 영화에도 임순례 감독 특유의 온화한 시선은 관통한다. 하지만 전에 없던 새로운 형식이 들어서, 이질적인 분위기를 낸다. 그 변화에 대한 평가는 받아들이는 사람에 따라 다르겠지만 개인적으로는 임순례의 혁신,이라 말하고 싶다.
귀향한 노총각 시인 선호(김영필)는 “내 신세가 처량”하다. 나이는 마흔이 다 돼 가는데, 변변한 직장도 없고, 여자 친구도 없고, 모아 둔 돈도 없다. 고집불통 아버지는 그런 아들의 마음을 아는지 모르는지 허구한 날 잔소리만 해 대고, 친척들은 베트남 여자라도 얻어야 하지 않으냐며 쓸데없는(?) 걱정들을 한다. 아이구야, 내 신세. 부모님이 신주단지처럼 모시는 소(먹보) 보다 못하다. 에라이 모르겠다. 소를 몰래 팔아 목돈이나 마련하자 싶다. 졸지에 소도둑이 된 선호는, 그러나 턱없이 싼 값을 부르는 상인들의 제안에 소를 대뜸 팔지 못한다. 그 때 마침 걸려온 옛 연인 현수(공효진)의 전화. 그녀의 남편이자 대학시절 친한 친구였던 민규의 부고 소식을 듣게 된 선호는 현수를 찾아가고, 이때부터 소와 옛 여인과의 의도치 않은 여행이 시작된다.
<소와 함께 여행하는 법>의 외피를 두르고 있는 건, 지나간 옛 사랑의 추억이다. 하지만 영화가 품고 있는 핵심은, 나를 찾는 구도여행이다. 그런데 그 여정에 판타지가 끼어들면서 영화는 여타의 로드무비들과 또 한 번 선을 긋는다. 선호의 착잡한 현실을 사실적으로 그려내던 영화는 중반에 들어서면서부터 환상의 세계로 진입한다. 소가 느닷없이 말을 하는가 하면, “소 한번 타게 해 달라”는 이상한 부자가 나타나고, 고승인지 땡중인지 모를 ‘맙소사’ 절의 스님도 등장한다. 후반부에 이르러서는 현실과 꿈의 경계가 완전히 무너져 내린다. 이에 맞춰 선호는 자신을 옭아매던 과거의 망상에서 벗어나지만, 반대로 관객은 더 큰 혼란을 맞아야한다. 영화가 주인공과 가까워지는 순간, 정작 대중과는 멀어진다는 얘기다.
이러한 위험에도 불구하고 영화는 대중과의 소통을 ‘(감독이)알려주기’보다 ‘(관객 스스로)해석하기’로 접근하다. 소의 의미, 불타는 ‘맙소사’ 절간 등 메타포들에 대해 끝까지 열린 자세를 견지하는 게 일례다. 그나마 영화가 취하는 건, 시위하는 농민, 농촌 노총각 결혼과 같은 현실적인 문제를 곳곳에 포진시켜 영화가 판타지에 지나치게 기울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곳곳에서 발현되는 코믹적인 요소 역시, 선문답으로 가득한 영화의 난해함에 균형을 잡는 구실을 한다. 그러니까 냉정히 말해, <소와 함께 여행하는 법>은 다수의 대중이 환영할 만한 영화는 아니다. 하지만 새로움을 찾는 관객들이 매력적이다 여길 요소들도 다분히 지닌 작품임에 틀림이 없다.
과거에 저당 잡힌 선호를 연기한 연극배우 출신 김영필과, 옛 여인 현수를 능청스럽게 소화한 공효진의 연기 호흡이 (의외로)잘 어울린다. 하지만 이 영화를 빛내는 진정한 주인공은 소를 연기한 ‘먹보’다. 도살 위기에 처하자 눈물을 그렁그렁 맺는 연기에서부터 꼬리를 흔들며 대화에 동참하는 연기까지, 잘 키운 동물 하나 열 사람 안 부럽다 싶어진다.
2010년 11월 1일 월요일 | 글_정시우 기자(무비스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