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장이 개인적 영역에서의 완성이라면 성숙은 그 개인과 연관된 모든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완성에 가깝다. 개개인의 성숙은 사회를, 그리고 세계를 성숙시킨다. 성숙은 개인의 자질만으로 이룰 수 있는 것이 아닌, 주변의 도움을 통해 얻어질 수 있는 관계적 변화다. 성장이 성숙을 동반할 때 진짜 어른이 된다. 성숙한 어른들의 틈바구니에서 아이들은 보다 성숙해진다. 그리고 성숙한 교육이 이뤄진다. 자신이 이루지 못한 꿈을 유산처럼 물려주는 어른들의 아집이나 자신이 타협한 현실을 당연한 것이라 충고하는 어른들의 편견은 때로 교육적이란 말로 남용된다. 성숙한 교육은 성숙한 개인과 사회와 세계를 이룬다.
17세 소녀 제니(캐리 멀리건)는 명민하다. 아버지로부터 ‘옥스포드’ 진학을 강요당하지만 실제로 그녀는 학교에서도 옥스포드 진학을 기대할 만큼 성적이 우수한 학생이다. 하지만 제니는 우등생이기 이전에 호기심 많은 소녀다. 옥스포드 진학의 유일한 걸림돌인 라틴어 공부보다도 첼로 연주와 샹송에 관심이 많으며 후에 프랑스 파리에 꼭 가보리라 다짐한다. 그러던 어느 날, 그녀에게 시시하다 느껴질 만큼 평범한 일상을 흔드는 계기가 생긴다. 굵은 빗줄기가 쏟아지던 날, 첼로를 든 채 비를 맞고 서 있던 제니에게 낯선 중년 남자가 호의를 베푼다. 데이빗(피터 사스가드)의 차를 얻어 타고 집으로 온 제니는 그에게 미묘한 호감을 느끼고 그와 재회한 뒤, 자신이 꿈꿔왔던 혹은 예감하지 못했던 짜릿한 경험을 거듭해 나간다. 학교와 집을 오가는 삶 가운데서 느끼지 못했던 희열을 만끽하고, 점차 지난 일상들이 시시하다고 느끼기 시작한다.
영국의 저널리스트 린 바버가 자신의 경험담을 바탕으로 썼다는 12페이지 분량의 회고록을 각색한 닉 혼비의 스토리텔링을 바탕으로 한 <언 애듀케이션>은 재기발랄하면서도 의미심장한 작품이다. <언 애듀케이션>은 17세 소녀가 우연히 찾아온 중년 남자와의 로맨스를 거치며 보다 성숙해지는 성장담을 그린다. 제 삶에 만족할 수 없었던 소녀는, 우연히 찾아온 인연을 통해 자신의 테두리 내에서 결코 경험할 수 없었던 낭만과 자유의 일탈을 겪어 나가고, 그 특별한 경험과 짜릿한 감정에 도취되어 그것이 자신의 이상이라 믿게 된다. 하지만 뒤늦게 그것이 가혹한 착각이자 환상이었음을 깨닫는 소녀는 이를 통해 자신에게 주어졌던 기회의 가치가 얼마나 큰 가능성을 이뤄줄 수 있는 것이었는지 깨닫게 된다. <언 애듀케이션>은 ‘교육’이라는 본질을 관통하면서도 전형적인 교육관에서 벗어난 영화다. 경험을 통해 얻어진 성찰을 중시하면서도 본질적인 교육적 제도의 가치를 보다 돋보이게 설득한다. 일탈은 소녀에게 잊을 수 없는 감정적 생채기를 안겨주지만 이는 보다 단단하게 아물어 소녀의 성장을 수식하고 성숙으로 인도한다.
그 성장담은 <언 애듀케이션 An Education>이라는 제목이 직시하는 것처럼, ‘교육’이라는 명제에 대한 철학을 이끌어내는 은유적 구실을 하고 있다. 제니에게 주변인의 기대가 짐이 되는 건 옥스포드 진학의 가치를 설득해줘야 할 어른들이 제 역할을 하지 못하는 탓이다. 기대는 버겁고 강요는 거세다. 제니에게 옥스포드 진학이란 드넓은 호기심을 충족시켜주지 못할 현실로부터 달아날 기회를 마련해주는 기회일 뿐이다. 제니에게 얹혀진 어른들의 기대감은 제니가 품은 가능성에서 기인한다. 부모의 기대도, 선생님의 충고도, 그녀의 기대할만한 가능성을 존중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태도나 다름없다. 문제는 그 가능성을 제대로 설득시켜 줄 어른의 충고가 부재하다는 것. 그 역할을 대신하는 건 경험이다. 경험은 좋은 교훈이 된다. 제니는 자신에게 찾아온 달콤한 경험을 만끽하고 안주하고, 이를 통해 자신이 스스로 이뤄내야 한다고 믿었던 많은 것들을 손쉽게 포기한다. 하지만 이면의 진실을 마주한 뒤, 자신의 선택이 이룬 비참한 현실에 직면하게 된다.
모든 것을 잃어버렸음을 깨닫는 제니에게 다시 기회를 부여하는 건 교육이다. 학교를 떠나 옥스포드에 진학하지 않고도 자신이 이루고자 했던 모든 것을 얻을 수 있다고, 혹은 그보다 더 나은 삶을 살 수 있을 것이라 믿었던 제니는 그것이 얼마나 허망한 것인가를 뒤늦게 깨닫는다. 미성숙한 제자의 얕은 확신을 걱정하던 스승은 제자의 절망을 책망하지 않고 그 경험이 남긴 교훈을 쓰다듬는다. <언 애듀케이션>은 교육이란 제 가치를 스스로 깨닫게 만들고, 그 대열에서 이탈한 이들의 시행착오마저 돌볼 수 있는 아량이 있어야 한다고 설득한다. “인생에 지름길은 없다는 걸 알았다”는 제니는 자신이 멸시하던 스승에게 뒤늦게 도움을 청하고, 스승은 “그 말을 기다렸다”며 제자를 맞이한다. 달콤했던 일탈의 경험은 끝내 절망적인 파국으로 갈무리되지만, 어린 소녀의 인생은 파국으로 멈추지 않는다. 제니의 말처럼 인생에 지름길은 없다. 막다른 길도 없다. 다만 자신의 인생이 지름길을 내달리고 있다고, 혹은 막다른 길로 내몰렸다는 믿음이 있을 뿐이다. 필요한 건 설득의 힘이다. 성공을 위해 매달려야 할 가치가 아니라, 보다 폭넓은 인생의 가능성을 꽃피우는 것, 그리고 그 모든 과정의 시행착오마저도 헛되지 않았다는 것. 교육이란 바로 그런 것이다.
2010년 3월 17일 수요일 | 글_민용준 beyond 기자 (무비스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