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검색
검색
관람안내! 삶은 그렇게 떠밀려간다.
파라노이드 파크 | 2007년 11월 21일 수요일 | 민용준 기자 이메일

구스 반 산트 감독은 근원보다는 현상에 시선을 둔다. 사막을 헤매는 두 청년이 애초에 무엇을 향했는지(<게리>), 끔찍하게 총알을 난사한 소년들은 무엇을 겨눈 것인지(<엘리펀트>), 죽음에 대한 깊은 갈증을 느끼는 청년이 본래 지녔을 생의 의지는 어디로 증발한 것인지(<라스트 데이즈>), 그 모든 것은 중요하지 않다. 그는 현실 뒤편의 어떤 근원 지점에 대해서 무신경하게 고개를 한번 돌렸다가 다시 제자리를 바라볼 뿐이다. 잠시 일그러지거나 부서지고, 사멸했던 존재의 형상들이 그 예감을 털어놓기가 무색하게 다시 형체를 안온하게 회복하는 순간의 형형한 찰나를 재생시킨다. 그 과정 속을 걸어가는 젊은 육체들은 그 심약한 영혼에 죽음을 새겨 넣는다.

구스 반 산트는 그렇게 사(死)의 영역을 향해 끊임없이 전진한다. 그것은 카메라의 동선을 따라 걷는 현실적인 족적으로 그려지기도 하고, 대기 속에서 어지럽게 흔들리는 구체음악(具體音樂)의 초현실적인 혼돈으로 울려퍼지기도 한다. 그 과정에서 청춘은 죽음의 기억을 새겨 넣는 미완성 형태의 오브제(objet)로 영역화된다. <파라노이드 파크>는 구스 반 산트의 전진을 위한 탐미적 공간이자 재생의 연결고리다.

파라노이드 파크(paranois park)는 청년들의 육체적 기운이 넘실거림과 동시에 무질서한 폭력성이 잠재된 공간이다. 동시에 그곳은 젊은 시절의 규정될 수 없는 정체성의 혼란처럼 자리를 찾지 못하고 흔들리듯 활강과 하강을 거듭하는, 중력에 저항하지만 속박될 수 밖에 없는 대지다. 그곳은 저항할 수 없는 성장의 인과 관계를 거부하려는 역동적인 몸짓들로 가득하지만 동시에 스케이드 보드에 실린 움직임은 지정된 시간의 흐름 안에서 가속화된 편입의 상일 뿐이다. 즉 시간의 흐름 속에서 짊어져야 할 성장의 고민은 <파라노이드 파크>의 벗어날 수 없는 이면의 진실이다. 마치 피할 수 없는 성장의 서사처럼 소년들의 움직임은 가속화될수록 시간의 중력 앞에 무력할 뿐이다.

파라노이드 파크에 가자는 자레드(제이크 밀러)의 말에 아직 준비가 되지 않았다고 말하는 알렉스(게이브 네빈스)에게 파라노이드 파크는 감히 발을 들일 수 없는 이상 낙원이었을지도 모른다. 그에 누구도 그곳에 갈 준비가 된 사람은 없다는 자레드의 대답은 표면적으로 파라노이드 파크는 어떤 자격을 요구하지 않은 평등한 땅이란 의미를 뜻하는 것 같지만 이는 거부할 수 없는 통과의례적 관례임을 암시하기도 한다. 결국 파라노이드 파크는 알렉스의 삶을 장악하게 될 끔찍한 기억에 도달하기 위해 피할 수 없이 밟고 지나야 하는 운명의 문턱인 셈이다.

곡선 위를 미끄러지듯 구르는 스케이드 보드의 뒤를 쫓는 카메라의 움직임은 슈퍼8mm카메라의 열악한 화면을 통해 이질적인 현실감을 부여 받는다. 현실에 불결한 잔상을 새기듯 마치 얼룩진 화질을 선사하는 8mm카메라는 곡선의 역동적 동선을 쫓아갈 수 있는 유일한 카메라라는 점에서 되려 사실적이다. 이는 동시에 그 비현실적인 사실감이 그 영역의 허구적인 생동감을 표현하고자 하는 기교적 순수함으로서 활용된다. 공간적 정서를 끌어내기 위해 활용된 기술력이 완벽하지 않다는 점은 역시나 완전히 성숙되지 못한 자의식의 흐름이 역동적 기운으로 표출되는 공간적 활기를 담아내기에 적절한 그릇이 된다. 또한 소년기의 충동적 본능과 욕구가 육체적인 움직임으로 소비되는 공간적 기운을 거칠게 담아낸 비쥬얼은 몽환적인 일렉트로니카 음악에 덧씌워져 비현실적 자의식으로 확장된다. 또한 소년의 사소한 움직임과 시선을 구현하는 슬로 모션에 마치 음향 효과처럼 덧입혀지는 다양한 장르의 음악들은 소년의 잊을 수 없는 기억에서 비롯된 심리적 혼란을 외부적으로 투영한 내면적 현상으로 관객 앞에 묘사된다. 관객이 바라보는 그 영화적 현상들은 결국 소년의 심리적 공황이 만들어내는 무의식적인 기질이자 자의식을 속박하는 고민을 통해 형성된 외부적 무관심이기도 하다. 소년의 세계는 자신을 사로잡고 있는 어떤 기억에 의해 외부적인 현상에 결계를 쳐놓듯 무신경할 수 밖에 없다. 그렇게 돌아가는 세상의 풍경은 소년의 자의식 속에서 몽환적으로 흘러가기도 하고 자질구레한 소음에 노출되기도 한다.

<파라노이드 파크>는 그렇게 현실과 비현실에서 방황하는 자아의 상을 오간다. 알렉스는 그곳에서 소년기의 현실적 기운을 탐미하고 관찰하지만 그 현실에 동참하지 않는다. 그는 파라노이드 파크에 넘치는 젊음의 기운에 쉽게 동참하지 못한 채 끊임없이 관망하고 현실의 상을 잠시 뒤로 밀어낼 뿐이다. 그 까닭은 소년의 작문, 즉 소년이 글로서 고백하는 어떤 사적인 기억을 거슬러 쫓아야만 알 수 있는 것이기도 하다. 물론 그 기억은 영화적으로 관객에게 공개된다는 점에서 이미 열려있으나 영화 내부적으로 엄밀히 말하자면 소년 스스로가 기억 속에 소진시켜버리는 닫힌 공간이기도 하다. 이는 결국 소년의 밀폐된 기억담이자 관객을 어떤 기억으로 유인하는 소환의 공간이기도 하다. 동시에 그 기억은 죽음과 관련된 일종의 죄책감이자 다시 되돌릴 수 없는 일탈의 경계선을 딛고 선 상흔의 반환점이다. 그 위에서 자가 분열되는 자기 위안의 변명처럼 소년의 혼란은 시간의 흐름 속에서 서서히 안정을 되찾기도 하지만 그와 함께 순수했던 기질적 혼돈과 이별을 고한다. <파라노이드 파크>는 그 순수했던 시절과 이별을 고하는 소년들의 끊임없는 저항적 몸부림이자 다시 돌이킬 수 없는 어제가 될 오늘의 운명 위로 기억을 채워 넣는 분주한 발자취다. 그래서 파라노이드 파크를 비롯한 소년의 동선은 두 번에 걸쳐 각각 재현되고 재생되며 현실적 행동과 기록적 묘사로서 행위에 깃든 동선의 기억을 되짚어간다.

붕괴되는 가정의 기반 안에서 잠재된 슬픔을 떠안고, 성적 충만감을 갈구하는 이성과의 교제 속에서 덧없는 관계 지속의 의미를 되새기는 알렉스의 삶은 소년의 여린 감수성에 도피의 출구를 꿈꾸게 한다. 평등한 삶 밖에는 뭔가 있지 않을까? 내 사소한 고민과 다른 차원의 세계가 있지 않을까? 파라노이드 파크에 다다른 소년은 비로소 자신의 현실로부터 도피한다. 동시에 그 출구로 발을 디딘 소년은 현실에서 부딪히던 일상적 고민과 차원이 다른 끔찍한 죽음에 직면한다. <파라노이드 파크>는 돌이킬 수 없는 현실이자 동시에 더 이상 피할 수 없는 특별한 계기의 굴곡이다. 일상의 사소한 고민에서 탈출하고자 했던 소년의 출구는 동시에 만만하지 않은 또 다른 차원의 삶의 무게를 떠안아야 한다. 그래서 기억을 떠안은 공간의 반복적 재생은 같은 상황에 다른 중압감을 껴안고 되풀이된다.

물론 소년은 그 후에도 스케이드 보드를 타고 다녔을 것이다. 하지만 거듭되는 기억으로부터 달아나듯 현실을 전전해야 할 것이다. 고뇌의 무게감은 줄어들지라도 소년은 그렇게 기억의 공명 안에서 삶을 지속해야 한다. 그것은 후회라는 단어로는 충족될 수 없는 삶의 무게감. 결국 소년이 꿈꾸던 파라노이드 파크의 이상은 현실의 무게감을 덧씌운 채 소년의 세계를 상실시킨다. 기억을 태워버리고 현실의 무게감에서 달아났지만 그 순간, 더 이상 소년은 자신의 현실이 예전의 것이 아님을 깨닫는다. 파라노이드 파크에서 더 이상 머물 수 없음을 깨닫는다. 그렇게 소년은 자라나고 삶의 기억은 오늘에서 어제로 서서히 흘러간다. 누구도 모르는 사이에 그렇게 우리는 어떤 시절로부터 서서히 떠밀려 여기까지 왔다. 파라노이드 파크로부터 우리 삶은 그렇게 멀어져 간 것이다.


2007년 11월 21일 수요일 | 글: 민용준 기자(무비스트)




-구스 반 산트는 항상 담담한 표정을 유지하면서 잊을 수 없는 끝맛을 남긴다.
-연기가 아닌 실생활을 카메라에 포착한 듯한 비전문배우들의 자연스러운 동선과 표정
-사운드와 이미지의 미학, 인물의 심리가 투영된 정서적 기교, 흥미로운 실험이자 탁월한 장치
-어지럽구나. 구스 반 산트, 소통하기엔 버거운 난해한 문체의 소유자여.
17 )
ldk209
누구와도 소통할 수 없는 암울한 청춘....   
2008-11-30 13:42
callyoungsin
비전문배우들의 자연스러운 연기와 표정 좋았어요   
2008-05-09 16:15
kyikyiyi
작품성 좋아도 흥행을 못하면...ㅎㄷㄷ   
2008-05-08 11:04
rudesunny
기대됩니다.   
2008-01-14 13:34
bjmaximus
역시나 흥행성과 작품성이 극과 극이네.   
2008-01-09 16:32
gt0110
역시 소통하기엔....   
2008-01-06 02:25
lee su in
구스 반 산트는 걸작과 범작을 왔다갔다하고, 대중영화와 독립영화의 경계를 넘나드는 하지만 미국 감독으로서 유럽 영화제에서 환영 받는 몇 안되는 감독인 것 같습니다.   
2007-12-09 01:00
sdwsds
작품성이 좋네요   
2007-12-07 09:26
1 | 2 | 3

 

1

 

1일동안 이 창을 열지 않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