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검색
검색
[이영순 칼럼 from USA] 왜 미국에는 한국식 멜로 영화가 나오지 않을까?
2005년 10월 17일 월요일 | 이영순 이메일

.
영화는 현실을 반영하는 거울이다. 한국의 극장가에는 주로 30대 여성의 욕망을 담은 멜로 영화가 봇물이다. <사랑니>, <너는 내 운명>, <사랑을 놓치다> 등이다. 이전의 20대 영화에서 30대로 캐릭터가 달라졌을 뿐 한국 멜로 영화만의 특징인 유별난 감상주의와 신파성을 전달하는 영화들이다. 반면에 미국 극장가는 <마흔살 숫총각(The 40-Year-Old Virgin)>, < The Baxter >,<천국처럼Just like heaven> 등 고전 멜로 영화들이 나왔다.

미국은 한국멜로 영화처럼 ‘특이한 사랑 혹은 불륜’을 소재로 다룬 영화가 잘 나오지 않는다. 이들의 현실은 불륜을 하면 바로 이혼을 하거나 동거를 해도 통계적으로 60%이상은 결혼으로 이어지는 문화이기 때문이다. 더불어 계절적으로 가을은 로맨스보다는 축제와 명절 시즌이다. 할로윈용으로 <찰리와 초콜릿공장>, <세레니 Serenity>등과 추수감사절 용으로 로만 폴란스키감독의 <올리버 트위스트> 등 휴머니즘 영화들이 나온다. 관객은 영화만을 보지만 영화를 만들고 배급하는 입장에선 철저히 장사 속을 따진다. 그렇기에 영화는 상업적인 예술이며 동시에 현실세계의 사실을 반영하므로 예술보다 우선하는 삶의 리얼리즘을 갖는다.

그런데 우리는 왜 이런 멜로 영화들이 여전이 나오는 걸까. 캐릭터가 20대여성에서 30대로 바뀐 것은 새롭기보다는 진부한 충무로의 소재찾기이다. 시대변화에 따라 과거 비경제 활동인구인 30대 여성들이 경제활동인구에 포함됐다. 이제 그녀들은 당당히 영화의 소비자로 등극된 것이다. 그런데 연령층과 성별을 떠나 신파성 멜로영화가 여전이 나오는 것은 우리들에게 닫힌 욕망에 대한 최면제가 필요했던 것이라 본다. 멜로영화의 근본 태생이 그렇다. 전쟁터에서 나온 위로이자 최면이 멜로 영화장르였다.

30대 여성과 10대 고교생의 로맨스인 <사랑니>는 미국판 사랑니 버젼인 < Book of Love,2004 >와 등장인물과 줄거리에서 비슷하다. 미국판 버전은 영화는 16세 동네 수영선수인 청소년과 30대 유부녀가 어긋난 만남을 가지면서 가족이 해체되는 줄거리이다.

이처럼 제도 밖을 벗어난 영화 속의 주인공들에게 욕망은 법과 도덕보다 우선이 되는 절대적인 가치가 된다.

이렇게 비관습적인 30대 여성들의 로맨스는 여성들의 존재욕구나 욕망을 표현하는 것은 아니다. 소재로 이용되는 것이지 주제를 전달하는 메시지는 아닌 것이다. 거꾸로 이 영화들은 여성보다 남성의 성적 판타지를 풍부하게 만드는데 기여한다. 또한 어떤 어려움에도 사랑은 절대적이며 영원하다는 기존의 전통적인 가치관과 법을 더욱 확고히 해준다.

미국은 멜로영화 외에 로맨스를 어떻게 다루는가. 한국에 수입되는 로맨틱 코메디나 섹스코메디외 소설을 읽어보면 좀더 구체적이다. 뉴욕 베스트셀러에 최근 로맨스 소설 , , 등은 공통점을 갖는다. 먼저 욕망을 절대적인 가치로 두지않는다. 사랑도 내가 살아가는 인생의 한 부분으로 받아들인다. 로맨스로 인해 장기간 생활에 문제가 되면 폐인이 되기보다 사랑과 섹스중독에 관한 상담심리치료를 받거나 정신과 상담의를 찾아간다. 사랑을 믿지않는 것이 아니라 사랑을 절대적인 삶의 중심에 놓지 않는 것이다.

남녀간의 사랑은 ‘성’을 중심에 놓는 경향이다. 그러나 섹스가 사랑의 전부이다거나 사랑으로 둔갑시키거나 영화나 드라마,소설에서 의도적으로 설정하거나 주장하지 않는다. 의도하는 목적으로는 익스플로이테이션 영화나 할리퀸 문고등으로 배출한다.

<해리가 셀리를 만났을 때>, 롭 레이너 감독의 최근작은 <알렉스와 엠마>는 흥행해 실패했다. 할리우드 멜로영화는 로맨틱 코미디보다 섹스를 파는 섹스 코미디로 턴한 지 오래이다. 우리는 섹스 코미디를 한국멜로 영화장르에 받아 들였다가 한물 간 후 주로 외화수입에 의존한다. 20,30대를 위한 <프렌즈>, <섹스앤시티>와 섹스소재가 일부 들어간 <위기의 주부들> 등이다.

결론적으로 미국에서는 문화와 문화를 배출하는 방식의 차이로 한국식 멜로영화가 나올 수가 없다.

여전이 각종 영화제, 케이블방송, 인터넷 등 다양한 문화수단이 있더라도 드라마와 영화는 30년 전이나 지금이나 똑같은 메시지를 전달한다. 인생의 중심부에 절대적인 사랑을 놓는다. 이유는 이땅에서 사는 것이 순간 최면제가 필요할 만큼 사는 게 고달프기 때문이다. 멜로영화의 흥행은 순수성의 회복이 아니라 지금이 딱 전쟁통의 격변기라 여기면 된다. 신파와 유별난 감상주의는 이제는 버려야 할 요소들이다. 앞으로 최면제가 아닌 각성제로서의 멜로영화 장르의 부활을 꿈꾼다.

왜 그렇게 눈물이 펑펑 쏟아지던지. 내가 안아본 그 어떤 여자보다도 뜨겁고 보드라운 공례의 속살 때문이였을까? 아니면 가난으로 헐벗은 우리 자신의 못남 때문이었을까? 그것도 아니면서 이게 진짜 사랑이라는 걸까.
-영화 우묵배미의 사랑중에서-

11 )
gracehpk
리얼리티가 살아있고 사랑이 인생의 전부가 아니라 한 부분이라는 것에 중점을 두는 미국 영화에 비해 아직도 비현실적인 감성주의를 놓지못하고 위로받으려고 하는 우리의 헐벗은, 버려야 할 것을 버리지 못하는 우리 영화계가 안타까우신가요? 다소 감성적이라도 주제의식이나 현실감을 잘 반영한 우리 영화도 없진 않다고 생각하는데요.. 음.. 전도연의 너는 내 운명이나 사랑니나 사랑을 놓치다.. 저도 한국내 살지 않기 때문에 보지는 못 했지만.. 이런 우리 극장가의 대세를 이루는 영화들의 감성적인 부분이 문제가 있거나 우리 영화 발전에 하자가 된다고 생각하십니까? 그리고 사랑이 남녀간의 사랑만 있는게 아닌데 (물론 그게 대세지만..;;)... 연인과의 교제와 성을 인생의 중심에 두진 않지만 아주 가볍게 섹스를 팔아서 돈을 버는 그런 미국식의 지독한 상업주의는.. 세계적인 트렌드이기 때문에 저항할 수도, 아무런 문제도 없다고 하실련지.   
2005-10-17 16:58
gracehpk
할러퀸 로맨스라는 장르.. 솔직히 작품성 보다는 일회용 오락, 킬링타임 내지는 지루하거나 고단한 일상해서의 탈출같은 용으로 널리 읽히는게 사실인 걸 압니다.. 미국이나 한국이나 어느나라나..(그렇다고 그런 거 읽는 사람은 형편없이 수준낮다고 생각하시는지.. 언제나 평론가들이 추천하는 순수 문학작품만 보시나보죠?) 대게는 가벼운 흥미주위이지만 개중에 나름대로 진지한 것도 있고요.. 그리고 글쓰신 분 말대로 그런 신파적인 요소, 감성적이고 이쁘기만 해서 진부한 요소들을 이야기의 중심에 두고 오로지 그것밖에 볼게 없다싶은 밍숭맹숭한 볼거리가 아니라 다른 것들.. 다른 말하고 싶은거나 이런저런 (진부하다는 이유로 욕먹는 것들을 제외한 모든 먹히는 것들) 과 균형있게 버무려져 있으면, 그것은 로맨스던 무협이던, 그 어떤 장르의 라벨을 달고 있어도 읽는이의 마음을 의미있게 터치하는 이상 가치있는 것이 아닐런지..   
2005-10-17 16:50
gracehpk
좋은 분석이고 다 좋은데.. 신파적인 요소나, 남녀간의 사랑이 한 인간의 제일의 우선순위가 되는 그런 설정.. 글쓰신 분과 공감이 가기도 하지만 그런 걸 또 완전히 다 버릴 필요까지 있을까요? 나라마다 정서나 스타일이 다를수도 있는데.. 그걸 꼭 우리가 가난하고 힘들어서 달래줄만한 현실성 없는 '사랑'이란 환타지로 위로받는다 라고 할 수 있을런지.. 그렇게 따지자면 환타지나 SF도 비현실적이라는 이유로 진짜 문학/예술이 아니라는 둥 별의별 소리를 다 듣습니다.. 신파 코드건 감성주의건 다 만들기 나름 아닐까요? 작가의 역량이 있으면 진부할 거 같은 설정을 어느정도 차용해도 다른 요소들과 버무려 훌륭히 새롭고 신선하거나, 익숙하더라도 사람을 감동시키는 것들 나올 수 있다고 봅니다.   
2005-10-17 16:34
1 | 2

 

1 | 2 | 3 | 4

 

1일동안 이 창을 열지 않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