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식상한 것을 좋아하지 않는다
그리고 자기색깔이 없는 감독을 싫어한다.
이영화를 보기전 주변에서의 상당한 호평과 한국 영화에서 지금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박찬욱감독이 이경미 감독의 능력에 대해 엄청난 호평과 제작을 자처할 정도라고 해서 사뭇 기대되었다.
그리고 난 우리나라에 또 색깔이 강한 감독이 하나 나왔겠거니 짐작했다.
그리고 여지껏 바쁜 일정에 보지 못한 영화를 오늘에서야 접하게 되었는데
이건 완전히 기대이하의 실망감 그자체라고 할 수있는 영화였다.
영화적으로 구성이 부족하다던지 연기가 어쩌니 이런 얘기가 아니다.
이 영화는 여러면으로 감각있고 독특하고 배우 하나하나의 역할 충실도 까지
그 완성도 측면에서 상당히 좋았다
하지만 이 영화는 박찬욱 감독의 사이보그지만 괜찮아의 카피정도 밖에 안된다는 느낌은 떨칠수 없다..
그것도 새로운 창조를 위한 카피가 아닌 100%박찬욱감독을 위한 헌정영화같았다
영화를 보면서 그들의 대화방식 그리고 그로테스크한 그들의 감정변화는 이미
박찬욱 감독이 이미 그의 영화에서 선보였던 것이었다. 화면 처리, 대사후 여백, 그 후
내뱉듯어지는 대사처리 , 카메라의 인물 포커싱처리 이모든게 다 모방되었고 짜집기되었다.
박찬욱감독을 개인적으로 상당히 좋아한다.
그래서 언제나 그의 영화엔 기대이상의 기대를 한다. 비록 그의 영화가 아닐 지라도 그가 사랑한
영화가 어떤 건지 너무 궁금했고 그가 자랑하는 이경미 감독의 능력이 무엇인지 확인해보기 위해
열어본 그의 영화엔 능력있는 새로운 감독의 무한한 가능성이 있는게 아니라 여자라는 상징적인
감독의 타이틀을 지닌 꼭두각시를 앞에두고 사이보그지만 괜찮아 2를 만들어낸 것이 었다.
이는 대중적 기만이라고 밖에 난 생각할 수 없다.
아닐 수도 있고 나의 무지함으로 그냥 든 생각일 수도 있으나 새로운 것에 대한 기대감이
실망으로 바뀌었다는 것은 부정할 수 없을 것 같다.
이글을 적는 이유는 답답한 내생각을 정리하기 위함이고
영화자체의 비방과 선동을 위한 글이아닌 나의 주견일 뿐이니
니가 영활 아니모르니따위의 비난은 지양해주길 바란다
이것이 하나의 영화적 트렌드가 아니냐고 반문하는 사람에게는 감독의 색깔과 트렌드는 별개의 것이라는 대답을
돌려주고 싶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