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검색
검색
목포는 항구다
부분적으로 아름다운 퀼트 그러나 전체적으로는 알 수 없는 그림 | 2004년 2월 17일 화요일 | 김작가 이메일

그리 무섭게 노려보지 마소 웃기려고 왔잖소
그리 무섭게 노려보지 마소 웃기려고 왔잖소
또 조폭 영화냐는 얘기는 이제 그만두자. 차인표가 시사회 때 무대에서 했던 말처럼 어떻게 보면 형사 영화고 또 어떻게 보면 멜로 영화라 빠져나갈 구멍이 너무나 많다. 받아들이는 사람이 어디에 관점을 두고 바라보느냐에 따라서 그 방향이 달라질 수밖에 없다.

목포는 항구다라는 오래된 유행가 가사를 대담하게 차용한 이 영화는 단지 제목뿐만이 아니라 영화의 알맹이까지 다른 영화를 많이 차용하고 있다. [성난 황소]의 권투장면을 비롯해서 [엽기적인 그녀], [넘버 3] 등 의도적으로 다양한 영화를 패러디한 흔적이 역력하다. 전문적인 패러디 영화를 표방했던 [재밌는 영화] 못지 않은 수준이다. 하지만 이런 다양한 밑그림들은 지방분권 시대를 맞이해서 그런지 중앙의 이야기에 집중되지 못함으로써 그 의미를 상실하고 만다.

형사와 조폭 두목의 만남이란 낡은 주제를 선택했지만 두 캐릭터의 면면은 신선하다. 몸으로는 아무것도 되지 않지만 두뇌회전은 빠른 형사와 멜로 영화에 빠진 감수성 예민한 조폭 두목. 어찌보면 이미 만날 것을 서로 예견한 캐릭터 설정처럼 보이기도 한다. 어쨌든 목포를 지키고 있는 성기파의 마약밀매 현장을 포착해 두목 백성기(차인표)를 체포하기 위해 어리버리한 형사 이수철(조재현)이 성기파에 잠입하면서 이야기는 시작된다. 그리고 이야기는 삼분할로 진행된다. 첫째 수철이 조직의 일원으로 받아들여지는 과정 둘째 조직에서 신임을 얻는 과정 셋째 마약밀매 현장을 포착하는 순이다. 하지만 영화는 순간적인 재미와 장난에 빠져 수철이 조직의 일원으로 받아들여지기까지의 에피소드에 너무 많은 비중을 두고 있다. 때문에 얘기는 조직을 일망타진하려는 형사의 모습보다는 어떻게든 조직에 가담하려는 똘마니의 모습으로 보여질 뿐이다. 한마디로 기둥 없는 이야기로 전락해 버린 꼴이다.

이 아름다운 녀석의 어휘력은 어디까지일까
이 아름다운 녀석의 어휘력은 어디까지일까
영화가 발휘하는 순간 순간의 기지와 유머 그리고 재치는 박장대소를 이끌어 내기에 충분하다. 조직에 편입하기 위해 합숙 훈련하는 [넘버 3]를 흉내낸 동네 양아치들의 “이 소리는 입에서 나는 소리가 아녀”라는 멘트는 송강호의 “ 배 배 배반이야 배반형”이라는 멘트 못지 않게 입에 착 달라붙는다. 또한 수철이 처음으로 공로를 인정받아 다방 운짱으로 승격해 바로 위 고참에게 신고식 하는 장면, 특히 수철의 위 고참이 내 뱉는 아름다운 한마디 한마디는 어록으로 깊이 간직해 두고 싶을 정도로 촌철살인적인 언어의 유희를 선사한다. “이런 아름다운 녀석을 봤나. 누가 그렇게 정직한 노래 부르래, 너의 정직한 노래 때문에 내가 그동안 살아온 삶을 반성해야 쓰겄냐 이 아름다운 녀석아” 등 두고두고 간직해 뒀다가 꼭 한번 써먹어 보고싶은 문장들이 즐비하다. 송선미의 몸매 소개 멘트 역시 이미 필자의 주위에서는 간간이 써먹고 있는 중이다. 그게 뭘까요?

그러고 보면 이 영화는 부분적으로 꽤 괜찮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뇌리에 오래 남는 대사와 인상깊은 장면 그리고 배우들의 고른 연기력. 특히 연극배우들이 대거 참여한 조연들의 활약이 눈부시다. 거래를 성사시키기 위해 자기 한 몸 바쳐 살신성인 후 흐느끼는 조재현의 미세한 연기 또한 “역시 조재현이다”라는 말이 저절로 나올 정도로 인상적이다

인표형 이제그만 영화의 뒤안길에 안착했으면....
인표형 이제그만 영화의 뒤안길에 안착했으면....
잠깐 출연해 배꼽을 뒤집어 놓고 사라지는 김애경도 그렇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영화가 전체적으로 살아있다는 느낌을 주지 못하는 건 역시 끌어가는 이야기가 없기 때문이다. 조직에 잠입해서도 형님을 형님이라 부를 수 있는 형과 아우라는 투톱이 형성되기까지의 우여곡절이 부족하기 때문에 형님을 보호하려는 수철의 의협심이 이해되지 않고, 정작 이 영화를 끌고 가야할 가장 큰 맥락이었던 마약밀매 이야기는 오히려 뒷북이다 싶을 정도로 불쑥 튀어나온다. 진정한 성기파의 일원으로 인정하는 낙지 수여식처럼 낙지를 통째로 꺼내놓지 못하고 토막 난 낙지의 부분 부분을 내 놓은 듯한 느낌이다. 물론 대부분의 낙지는 토막내서 먹지만 그것이 온전한 한 마리가 아니었다는 걸 알았을 때의 씁쓸함은 맛있게 먹었던 기억까지 지워버리지 않던가.

어쩌면 이것이 요즘 젊은 세대를 겨냥했다고 자신 있게 얘기하는 우리 영화들의 현주소가 아닌가 싶다. 순간순간 순발력은 있는데 이것들이 하나로 이어지지 못하고 도막난 느낌이 드는, 한마디로 전체적인 밑그림이 없는 군데군데만 예쁜 퀼트. 그렇다고 그 예쁜 부분만 따로 떼어놓을 순 없지 않은가. 그러나 저러나 착한 남자 차인표를 걱정하는 사람들이 많다. 김민종 못지 않게 영화의 운이 없다고들 한다. 그래도 끊임없이 변신을 시도하며 자신에게 꼭 맞는 캐릭터를 쫓고있는 차인표에게 박수를 보내고 싶다. 처음 영화를 너무 쉽게 봐 이제야 그걸 후회하고 있다는 그의 반성도 이것으로 그치고 차기 작은 그의 진가를 발휘할 수 있는 작품을 만났으면 좋겠다.

2 )
ejin4rang
사투리가 정감있었다   
2008-10-15 17:15
callyoungsin
주분적으로는 좋은데 전체적으로 짜면 뭔가 허전한 영화   
2008-05-19 13:25
1

 

1

 

1일동안 이 창을 열지 않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