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검색
검색
미국이라는 비즈니스 브랜드 (오락성 5 작품성 8)
킬링 소프틀리 | 2013년 4월 5일 금요일 | 민용준 이메일

<킬링 소프틀리>는 오바마의 연설로부터 시작된다. 미국 대통령 버락 오바마가 아니라 2008년 부시 정권 말기에 공화당의 대선 후보 존 맥케인과 경합을 벌이던 민주당 대선 후보 오바마 말이다. 그리고 영화가 이어지는 내내 조지 부시 미국 전 대통령이나 오바마, 미국 전 재무부 장관 헨리 폴슨과 같은 정치인들의 연설이나 발언이 심심찮게 귀를 파고든다. 만약 브래드 피트가 출연하는 하드보일드한 킬러물 정도를 예상하고 상영관을 찾은 관객이라면 이미 예사롭지 않은 오프닝 시퀀스만으로도 기대가 빗나갔다는 예감이 들지도 모를 일이다.

브래드 피트의 베니스 남우주연상 수상작인 <비겁한 로버트 포드의 제시 제임스 암살>을 연출한 감독 앤드류 도미닉은 조지 히긴스의 1974년작 범죄소설 ‘코건의 거래 Cogan’s Trade’을 모티프로 <킬링 소프틀리>를 구상했다고 한다. ‘코건의 거래’와 <킬링 소프틀리>의 이야기 줄기는 유사하다. 보스턴의 도박장에 들이닥친 강도로 인해서 얻은 손실의 책임자를 가리기 위해서 갱단은 전문적인 해결사 즉 킬러를 고용한다. 문제는 이미 한차례 그 강도질을 벌였다가 용서받았던 이가 갱단 내부에 존재한다는 사실이다. 그리고 이 사건의 해결사로 고용된 킬러 잭키 코건(브래드 피트)의 논리는 이렇다. 도박장을 턴 강도에게 책임을 묻는 것과 마찬가지로 동일한 사태가 반복된 것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하는 이가 있다는 것.

<킬링 소프틀리>의 서사는 2008년 서브 프라임 모기지 사태로 경제가 붕괴된 부시 정권 말기의 미국 사회다. ‘코건의 거래’가 발표된 시기는 미국 경제 공황의 여파가 한창이던 1974년이다. ‘코건의 거래’가 <킬링 소프틀리>만큼이나 경제적인 위기 상황을 직설적으로 가리키는 작품처럼 보이진 않는다. 하지만 원작과 영화는 킬러물이란 장르적 속성을 공정한 거래와 자본주의적 계급 사회를 은유하는 그릇으로 삼고 있다. 무엇보다도 <킬링 소프틀리>는 확실히 그렇다. 코건은 도박장을 턴 범인만큼이나 그 범죄 행위를 따라하게 만든 주범에게도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한다. 경제 위기 발발에 막대한 영향을 끼친 경제범들이 제대로 된 책임을 지지 않았다고 평가됐던 지난 서브 프라임 사태가 연상되지 않나?

오바마와 부시를 비롯한 정치인들의 연설이나 발언들은 영화의 극적인 상황을 입체적으로 환기시키는 역할을 한다. 어두운 터널을 지나 처음으로 인물이 등장하는 오프닝 시퀀스에서 미국인의 비전을 웅변하는 오바마의 대선 출마 캠페인 연설이 오버랩되는 것부터 영화 곳곳에서 벌어지는 사건의 형태나 인물의 행위와 맞물릴만한 음성이 마치 주석처럼 따라붙는다. 이는 은유인 동시에 장치적인 위트다. 킬러들의 행위가 자본주의 국가의 행태와 유사하게 어울려 보이도록 설계된 은유인 동시에 인물의 행위를 반어적으로 설명하는 위트의 장착에 가깝다. 이를 테면 카페에서 코건이 남겨놓은 팁을 가로채려는 뚱뚱한 하수인에게 “팁을 내려놔. 이 멍청하고 무능력한 돼지야”라고 말하는 장면에서 TV 속의 부시는 말한다. “미국의 노동자들은 세계에서 가장 똑똑하고 유능합니다.”

물론 <킬링 소프틀리>는 하드보일드한 영화다. 도박장 강도를 주도했다는 혐의로 레이 피오타가 연기한 마키가 갱단에게 떡이 되도록 맞는 신에서 1인칭과 3인칭을 오가는 시점숏을 통해 사실감 있는 구타 장면을 감상하게 만드는 등 생생한 폭력성을 체감할 수 있는 신이 더러 존재한다. 반면 고속촬영을 통해서 그 폭력성에 극단적으로 반할 정도로 우아하게 완성된 코건의 총격 암살신은 아이러니할 정도로 우아하다. 흥미로운 건 이 폭력적인 장면의 대립적인 체감이 코건의 의사와 깊은 연관이 있다는 사실이다. 애초에 암살을 생각했을 뿐, 린치를 가하며 책임을 규명하길 원하지 않았던 마키의 구타신이나 직접 암살을 시도할 의사가 없었던 최후반부의 살인신의 사실적인 폭력성과 반대로 그가 스스로 계획하고 주도한 중반부의 총격 살인신은 그야말로 ‘소프틀리’하게 묘사된다. 그가 킬러로서 추구하는 타이틀처럼 말이다. 영화 곳곳에서 들려지는 반어적인 BGM도 흥미롭다. 조니 캐쉬, 케니 레스터 등 평온한 감성이 깃든 고전 팝들이 극의 분위기와 대비될 때 발생하는 아이러니는 지독한 농담 같기도 하다.

브래드 피트의 레더 재킷과 대비될만한 슈트 착장으로 일관된 리처드 젠킨스를 비롯해서 제임스 갠돌피니와 레이 피오타 등 기라성 같은 배우들은 물론 극 초반을 이끄는 스쿳 맥네어리와 벤 멘델슨 콤비 등 배우들의 열연을 보는 재미가 쏠쏠하다. 특히 그 끝에 다다라 첨예한 대립각을 세우는 브래드 피트와 리처드 젠킨스의 관계는 미국이라는 자본주의 사회를 채운 화이트칼라와 블루칼라의 대비적 상징으로 읽히는데 결말부에 명확하게 정리되는 브래드 피트의 대사를 통해서 이 영화에 첨언된 정치적 코멘트들의 역할이 명징하게 와 닿는다. 오바마의 대통령 취임사가 울려 퍼지는 바에서 펼쳐지는 엔딩신은 인상적이다. “저 자식은 우리가 한 공동체 안에서 살고 있다고 말하지. 하지만 난 미국에서 살고 있어. 미국에선 저마다 자기 앞가림을 해야 한다고. 미국은 국가가 아니라 그냥 비즈니스지. 그러니까 내 돈을 뱉어내!” 그러니까 이 영화는 미국영화다. 미국을 까는 것도, 지지하는 것도 아닌, 미국이란 비즈니스 브랜드 그 자체에 관한.

2013년 4월 5일 금요일 | 글_민용준 ELLE KOREA 기자(무비스트)    




-어느덧 관록이 풍기는 브래드 피트를 비롯한 배우들의 연기 열전.
-스마트한 호주 출신 감독의 신랄한 미국 탐방기. 앤드류 도미닉의 재능을 주목할 것.
-이처럼 경제적인 이해가 확실한 지적인 갱스터 범죄물을 만날 수 있다는 것 자체가 놀라운 일.
-대사 하나까지 음미하고, 영화에 깊게 몰입하는 것을 즐기는 당신이라면 기꺼이.
-적잖은 음담패설이 쏟아지는데 지금 내 옆엔 엄마가 있을 뿐이고! 그 옆에 아빠도 있을 뿐이고!
-레이 피오타가 떡실신 당하는 장면에선 내 턱이 흔들리는 기분.
-그저 브래드 피트가 나오는 하드보일드 액션영화인 줄 알았지. 내 머리가 하드해질 줄이야.
-꽃미남도 세월 앞에 장사 없다고, 브래드 피트도 주름이 자글자글하구먼.
-킬링 무비를 기대한 당신에게 어쩌면 ‘킬링 유 소프틀리.’ 어떤 식으로든, 아주 그냥 죽여줘요~
2 )
minjazz87
요즘에는 참 자극적인 소재들의 영화와 평범하지 않은 내용의 영화들이 많이 상영되는거 같은데, 킬링 소프틀리도 그 중 하나라고 생각해요. 좋고 싫고가 너무 분명하게 갈라질 것 같은 영화라서 선뜻 보기가 망설여집니다.   
2013-04-09 16:01
spitzbz
으.... 빨리 보고싶은데.. 상영관이 많지않네요.. ㅡㅜ
멀리 원정가서라도 꼭 볼테얏!   
2013-04-05 14:07
1

 

1

 

1일동안 이 창을 열지 않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