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는 홍콩 영화계에서 신화가 된 이름 서극. 하지만 할리우드 진출과 더불어 그의 재능은 조금씩 퇴색해가는 모습을 보였다. 오우삼이 여전히 건재한 것에 비한다면 서극은 퇴행 일로를 걷고 있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얼마나 억울했으랴. <황비홍> <동방불패> <천녀유혼> <영웅본색>등 그의 손이 닿지 않은 홍콩영화가 있었던가. 홍콩영화계를 이만큼이나 끌어 올린 것에 대한 공을 전부는 아니지만 어느 정도는 그의 공로를 인정해 주어야 하지 않았을까.
미라맥스로부터 1억 홍콩달러라는 엄청난 지원금을 받아 만든 <촉산전>은 때문에 서극에게는 남다른 영화라 할 수 있다. 1983년 서극이 만들어 당시의 정서와는 어울리지 않는다는 이유로 그 화려한 특수효과와 복잡한 스토리 구조가 관객들에게 철저히 외면 당했던 <촉산>은 평단으로부터는 새로운 시도로 받아들여 졌으며, 훗날 쏟아져 나온 환타지, 무협 영화의 초석 역할을 담당했다. 보다 화려하게 보다 풍성하게 욕심에 욕심을 더해 서극은 약 20년만에 <촉산전>을 세상에 내어 놓았던 것이다.
![]() |
![]() |
![]() |
![]() |
하지만 SF와 음악을 적절히 섞어 심심하지 않게 하는 기법이라든가 뢰초옹의 컬러풀한 미술 디자인, 원화평의 화려한 액션은 홍콩영화 각계의 최고의 인재들이 만나서 만들어진 자존심이 담긴 작품임에 분명하다. 지난해 <진주만>의 홍콩 공습을 막아내며 홍콩 영화계의 자존심을 지키는데 일조를 했던 <촉산전>은 홍콩 영화계가 어떤 방향으로 흐를 것인가를 점치게 하며, 넓은 의미로 우리나라 영화계가 나가야 할 방안을 제시해 주는 작품일 수도 있다.
이제 영화를 보기 위해 극장을 찾는 관객들은 볼거리만 풍성한 영화보다는 어떤 설득력을 가지고 탄탄한 스토리 구조를 가진 영화들을 더 좋아한다는 사실을 하루 빨리 깨닫기를… 서극과 한국 영화인들에게 잠시나마 바람을 가져본다.
![](/dimg/news_copyright.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