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12 군사반란 모티브의 최초 영화화 철저하게 감춰졌던 그날의 이야기! 반란군 VS 진압군진압군, 탐욕 VS 사명감사명감. 영화적 상상력으로 탄생하다! 대한민국의 운명이 바뀐 12.12, 그 생생한 현장 속으로 속으로! <서울의 봄>
TV 드라마는 있었다. 하지만 12.12 군사반란을 모티브로 한 영화는 처음이다. 한국 현대사의 운명을 바꾼 사건들 중 수차례 영화화되었던 10.26이나 5.18 광주민주항쟁과 달리 한 번도 스크린에서 본 적 없었던 사건이기에 영화 <서울의 봄>이 더욱 흥미롭다.
김성수 감독이 1979년 12월 12일 고 3때 한남동에서 총소리를 직접 들은 이후 꾸준히 품었던 의문을 영화적으로 재구성한 <서울의 봄>이기에 실제 사건 및 인물들과 영화는 어떻게 다를 것인가 또한 초미의 관심사다.
<남산의 부장들>로 10.26의 이면을 영화화했던 제작사 ㈜ 하이브미디어코프가 기획한 시나리오 제안을 받은 김성수 감독은, 연출을 수락하기까지 이 사건을 어떻게 그려야만 할 것인가의 고민을 거쳤다. 그리고 그가 내린 답은 사건을 잘 모르는 관객들 까지 12.12 그날의 현장 속으로 데려가야 한다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사건의 큰 틀은 사실에 맞게 구축하되 그 안의 인물들의 성격과 구체적인 행적은 영화적으로 창작하는 방향을 택했다. 특히 반란군과 진압군의 대립을 큰 축으로 놓고 신군부의 핵심인 전두광과 진압군의 핵심인 이태신을 중심으로 그 대결과 공방을 영화적으로 더 두드러지게 묘사해 관객이 영화 속으로 흥미진진하게 들어올 수 있는 방법을 택했다. 전두광은 탐욕의 아이콘이자 권력을 위해서는 못할 것이 없는 권모술수의 대가로 진압군 측 이태신은 군인으로서의 사명감과 신념 을 대표하는 인물로 연출했다. 특히 이태신을 비롯한 진압군 쪽의 인물과 그들의 항전을 영화적으로 대폭 강화 창작을 가미해 반란군과의 대립을 보다 긴박하게 그렸다 또한 책임과 사명을 다하는 든든한 그 시대의 아버지 같은 인물로 그려진 이태신에게 관객이 정서적으로 공감할 수 있는 여지를 열었다.
회고록과 평전 기사 등 자료는 많이 남아있으나 정작 군사반란이 본격 전개된 9시간 동안 반란군 내부에서 구체적으로 어떤 이야기와 모의가 오갔는지는 남아있지 않다. 진압군의 구체적인 움직임 또한 제대로 남아있지 않다. 김성수 감독은 그 시간의 빈틈을 영화적으로 재구성해 대한민국 현대사의 운명이 바뀌던 그날의 생생한 현장으로 관객을 초대한다.
황정민, 정우성, 이성민, 박해준, 김성균, 정동환, 김의성, 정만식, 유성주 안내상, 최병모, 박훈, 김성오, 안세호 그리고 정해인까지! 파노라마처럼 등장하는 연기파 배우들! 나라의 운명이 바뀌는 숨 가쁜 9시간의 퍼즐을 완성하다! 2023년의 한국 배우 박람회 <서울의 봄>
<서울의 봄>은 예고편이 공개되자마자 베테랑 배우들의 면면으로 화제를 모았다. 필모그래피 사상 가장 강렬한 변신이 인상적인 황정민을 필두로 정우성, 이성민, 박해준, 김성균 등의 탄탄한 주연진과 굵직한 연기파 배우들까지 빈틈없는 진용을 갖췄다. 마치 파노라마처럼 등장하는 충무로의 대표 배우들은 대한민국의 운명이 바뀌고 있었던 숨 가쁜 9시간의 퍼즐을 촘촘히 완성한다. 현재 한국영화를 대표하는 배우들의 박람회라고 불러도 손색없는 작품이 탄생했다.
대사가 있는 배역만 60여 명, 반란군과 진압군의 소속은 어디이며 반란 당일 그들의 선택과 구체적인 역할은 무엇이었는지 또렷하게 부각되어야 했기에 김성수 감독은 그 어떤 영화보다도 캐스팅에 공을 들였다. 김성수 감독은 "짧은 등장에도 관객이 구분해서 각자를 기억할 수 있게 하려면 배우 인지도는 물론 얼굴에 굴곡과 개성이 있는 배우분들을 모셔야 했다"고 캐스팅 비화를 밝혔다.
그 결과 정동환이 대통령을 연기하고, 당일 밤 한남동 육군참모총장 공관에서 총소리가 들린 직후 사라졌다. 새벽녘에야 등장하는 국방장관은 김의성이 맡았다. 그 외에도 특전사령관 역의 정만식, 총장 납치 후 육본 벙커의 사령탑이 되는 참모차장 역 유성주, 전두광의 선배 라인인 반란군 장성 역 안내상, 상관인 특전사령관의 명을 거부하고 2공수를 서울로 데리고 오는 2공수 여단장 최병모, 전두광 비서실장 역 박훈과 4공수 여단장 김성오, 수경사 30경비단장 안세호 등 한번 보면 잊을 수 없는 인상과 연기력을 가진 이들이 각축하며 <서울의 봄>의 긴박했던 순간을 완성했다. 특전사령관의 부관으로 끝까지 사령관과 함께 하는 오진호 소령 역으로 특별 출연한 정해인과 짧은 분량에도 영화에 함께 하고 싶어 총장 경호원으로 특별 출연한 이준혁까지 <서울의 봄>은 배우들의 실감나는 명연기 만으로도 비교할 수 없는 재미를 약속한다.
<비트>, <태양은 없다>, <감기>, <아수라> 김성수 감독 <헌트>, <아수라>, <악마를 보았다>, <놈놈놈> 이모개 촬영 감독 <헌트>, <천문: 하늘에 묻는다>, <아수라>, <대호> 이성환 조명 감독 <승리호>, <탐정 홍길동: 사라진 마을>, <지구를 지켜라!> 장근영 프로덕션 디자이너 한국 영화계의 지독한 리얼리스트들 1979년 12월 12일, 그날의 세계를 창조하다!
<서울의 봄> 프로덕션의 첫 번째 관건은 생생한 현장감이었다. 시대의 리얼리티가 구현되지 않을 경우 실제 사건을 모티브로 한 영화의 설득력이 약해진다. 전시가 아님에도 전방 부대 병력과 탱크, 공수부대가 수도 서울로 진입했던 12월 12일 군사반란의 생생한 현장감은 그날을 기억하는 이들에게도 12.12를 어렴풋이 알고 있는 젊은 관객에게도 영화로 들어오게 하는 첫 관문이다. 고증과 상상력이라는 모든 시대극이 가지는 화두 외에도 전쟁 직전까지 치닫는 그날의 긴박감은 또 다른 과제였다.
김성수 감독부터 이모개 촬영 감독 이성환 조명감독, 장근영 프로덕션 디자이너까지 <서울의 봄>의 프로덕션을 책임진 이들은 한국 영화계에서 지독하기로 유명한 리얼리스트들이다. 김성수 감독은 <비트>와 <태양은 없다>에서 90년대 후반 가진 것 없는 청춘의 세계를 스타일리시하게 그리면서도 리얼리티를 놓지 않았다. <감기>는 당시 관객이 겪은 적 없는 바이러스로 인한 생생한 재난의 참사와 사투를 그렸고, <아수라>에서는 물고 물리는 악인들의 세계를 독한 리얼리티로 완성한 바 있다. 첫 영화 <장화, 홍련>으로 데뷔와 함께 청룡영화상 촬영상을 받은 이래 <좋은 놈, 나쁜 놈, 이상한 놈>, <악마를 보았다>, <감기>, <아수라>에 이어 <헌트>까지 인물의 감정을 극한까지 보여준 것을 기본으로, 시대의 디테일을 스케일 속에 담았던 이모개 촬영감독은 <서울의 봄>에서도 김성수 감독과 함께 집요하면서도 역동적인 카메라 워킹을 선보인다. 또한 <승리호>, <아수라>와 <지구를 지켜라>로 인물이 몸담은 세계를 진득한 리얼리티와 독보적인 세계로 완성하는 프로덕션 디자인을 보여준 장근영 미술감독이 <서울의 봄>이 담아 낼 1979년 12월 12일, 그날의 공기와 공간을 창조했다.
이외에도 <서울의 봄>에는 <헤어질 결심>, <승리호>, <남산의 부장들> 등의 의상을 디자인했던 곽정애 의상 감독, <헤어질 결심>, <헌트>, <수리남>, <킹메이커>, <택시운전사>, <공작>과 <변호인> 등 한국 현대사의 명장면을 담은 영화를 비롯해 명실 상부, 한국 영화 편집계의 역사라 할 수 있는 김상범 편집 감독이 함께 해 12.12 군사반란의 긴박했던 순간을 생생하게 직조했다.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