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년 동안 저에게 걸어 나온 사역의 길을 한마디로 요약하면 죽을 각오를 한 사역이었어요. 나는 솔직히 내 자신을 아끼지를 않았어요.” – 옥한흠
“너무나 기가 막혀요. 오늘날 교역자들 제정신이 아니에요. 뭐 그렇다고 제가 모든 교역자를 이야기 하는 게 아니고 그래도 목회가 좀 잘되고 있다...성공했다...교회가 크다...하는 교회 목회자들을 이야기하는 거예요. 기가 막힌 사람들이 너무나 많아요.” – 옥한흠
“왜 그렇게 됐느냐. 평신도가 그 교역자를 위해 존재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이에요. 자기가 평신도를 위해서 교회 주체인 평신도를 위해서 존재하는 종이라고 생각을 안하고 평신도가 자기를 위해 존재한다고 생각해요. 평신도가 자기의 성공과 만족을 위한 도구가 돼 버렸어요. 저는 이런 목회를 하는 목회자들 주님 앞에 가서 받을 심판이 절대 심상치 않다고 생각합니다.” – 옥한흠
옥한흠. 많은 사람들은 그를 광인(狂人)이라 불렀다. 예수님께 미치고 제자훈련에 미치고 평신도를 빛내고 싶어했던 광인(狂人)옥한흠 이제 그를 만날 수 있습니다.
한국 교회는 2007년 7월 8일 평양 대 부흥100주년 기념대회에서 선포된 옥한흠 목사의 설교를 잊지 못한다. 세속화되어 세상으로부터 비난과 조롱의 대상이 된 한국 교회에 준엄한 경고의 메시지를 전했기 때문이다. 영화는 이를 시작으로 어그러진 한국 교회의 회복을 위한 방법을 제시하는데 목회자에게 그 초점을 맞춘다. 교회의 양적인 성장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질적인 성숙을 이루어 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를 위하여 목회자의 교회론과 목회 철학의 중요성을 강조했는데 옥한흠은 제자훈련을 통해 증명했다. 그리고 가르쳐 지키게 하라, 곧 지킬 때까지 가르치라는 주님의 명령에 근거한 제자훈련은 목회자 자신이 죽지 않으면 결코 성공할 수 없다 했다.
어떤 일을 하기 위해서는 왜 그 일을 해야 하는지 알아야 하는데 그것이 분명하면 열정을 갖게 되고, 열정을 품고 달려가다 보면 비전이 보인다는 그의 광인 공식은 오늘 날 많은 목회자들에게 영향을 주고 있다. 또한 옥한흠은 항상 평신도를 앞세우고 자신은 뒤로 서는 전형적인 목자의 모습을 지향했는데, 오늘날 목회자가 자신의 야망을 위하여 평신도를 수단으로 이용하는 것에 대해서는 매우 분노했다.
한국에서 가장 존경받는 목회자로 자리매김을 한 옥한흠 목사는 스스로 광인이라고 표현했다. 그는 총 3번에 걸쳐 스스로 미쳤다고 했는데 그것은 제자훈련을 두고 한 말이었다.
첫째는 성도교회에서 부 교역자로 사역을 할 때 인데 당시 우리나라의 대학부중 가장 많이 모이는 교회로 이끌었다. 그러나 그 보다 더 중요한 것이 있었는데 사람들이 변했다는 점이다. 그 중심에 제자훈련이 있었는데 옥한흠은 이때 제자훈련에 미쳤다고 표현했다.
두 번째는 유학시절이었다. 제자훈련의 신학적인 근거를 찾기 위해 떠난 유학생활 중 한스 킹의 교회론을 만났을 때 미쳤다고 했다. 왜냐하면 자신이 하고자 하는 제자훈련의 신학적 토대가 구축되었기 때문이었다.
마지막 세번째 미친 것은 사랑의교회 개척이었다. 하지만 옥한흠 목사는 제자훈련외에 설교와 한 영혼에 미쳤고, 한국교회의 개혁과 갱신에 미쳤다. 옥한흠 목사는 미치지 않고서는 도저히 자신에게 주어진 사역을 감당할 수 없었다고 말하면서 생명을 다해 주어진 일을 해야 한다고 목회자들에게 강조했다. 그리고 마지막 옥한흠의 유언 과도 같은 이야기가 공개된다. <광인옥한흠>은 평생 예수의 제자로 살기 원했던 옥한흠의 교회론, 목회 철학, 제자훈련 이야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