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더스트럭>은 <캐롤> 이후 2여년 만에 돌아온 토드 헤인즈의 신작이다. 이번엔 50년의 차이를 두고 두 소년과 소녀에 대한 이야기를 다룬다. 소년 벤은 1977년을 살고 있다. 사고로 엄마를 잃고 이모 댁에서 살아가는 와중 엄마의 서랍장 속에서 한 번도 만나지 못한 아빠에 대한 단서가 담긴 책 ‘원더스트럭’을 발견하고 그 책 안에 남겨진 서점의 주소를 따라 혼자 뉴욕으로 떠난다. 1927년을 살고 있는 로즈는 아버지의 심한 통제 속에 살다가 어느 여배우의 공연 기사를 보고 벤처럼 뉴욕으로 향한다. 영화의 스토리는 어찌 보면 일반 성장 영화처럼 흘러간다. 벤의 경우, 어떠한 충격으로 들을 수는 있지만 말할 수 없게 되고, 아빠를 찾아 낯선 곳에서 우연히 자신을 도와주는 친구를 만나지만 약간의 갈등이 생기고 그것을 극복한다. 로즈의 경우, 선천적으로 말을 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동경의 대상을 찾아간다. 1927년의 뉴욕은 흑백 무성영화로 표현된다. 보통 무성영화에서는 배우들의 대사를 컷을 나누어 문자로 보여주는 이 작품에선 이것을 최소화하고 영상으로 대부분의 상황을 잘 표현해주었다. 게다가 주인공이 말을 못하는 상황이니 더욱 더 잘 표현하려는 노력이 보였다. 1977년의 뉴욕은 히피문화와 디스코세대를 대변하는 시대를 표현한다. 엑스트라들의 헤어스타일이나 의상에서 그 분위기를 만들어냈다. 성장 영화로서의 흥미도 있는 작품이지만 결국엔 벤이 만나보고 싶어 하는 아빠를 찾는 과정에서 로즈와의 접점이 생기는 부분이 핵심이다. 사전 지식을 갖게 보는 관객들은 어떻게 이 둘이 만날지를 가장 기대할 것이다. 개인적으론 전혀 기대하지 않은 방향으로 진행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영화 내내 만났던 캐릭터들에게 매료되어서 그런지 예상치 않은 결말에도 미소를 짓게 하는 엔딩이었다. 어른들의 잘못된 판단과 욕심으로 후대들에게 상처를 남겨선 안 된다는 것을 다시 한 번 느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