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에는 가볍게 시작됐다. 2003년 가을,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초청으로 37년만에 재독 철학자 송두율 교수가 한국에 들어오게 되자 홍형숙 감독은 3주의 일정 동안 그의 모국방문기를 다루는 다큐멘터리 ‘경계도시2’를 찍기로 했다. 송교수의 입국이 계속 좌절되는 상황을 다룬 ‘경계도시’를 찍었던 감독으로서, 그의 시선에 담긴 한국사회의 변모라는 테마를 통해 일종의 후일담을 담아내려 했던 것이다.
그러나 송교수의 입국 후 한국 사회의 온갖 갈등과 모순이 그를 향해 소용돌이치면서 사태는 예기치 못했던 상황으로 급격히 악화되어갔다. 그리고 그 모든 상황을 카메라 렌즈 너머에서 관찰하던 감독도 크게 흔들리기 시작한다.
‘두밀리, 새로운 학교가 열린다’ ‘변방에서 중심으로’ ‘본명선언’ 같은 다큐멘터리들을 통해 인상깊게 활동해온 홍형숙 감독의 신작 ‘경계도시 2’(3월18일 개봉)’는 이 영화를 본 많은 이들의 고백대로, 흡사 공포영화처럼 느껴진다. 송교수가 북한 노동당 정치국 후보위원인 김철수와 동일인이냐의 여부를 놓고 논란이 시작되고, 이어 그의 노동당 입당 사실이 드러나게 되면서, 애초 우호적이었던 분위기가 삽시간에 냉각된 후 이데올로기의 광풍이 휘몰아치는 과정은 실로 무시무시하다.
양심적인 학자에서 ‘해방 이후 최대의 거물 간첩’으로까지 지탄받기 시작한 송교수는 당혹과 피로를 짙게 드러낸다. 압력에 밀려 노동당 입당 사실에 대해 공식적으로 사과하고 독일국적을 포기하겠다는 선언도 한다. 하지만 그럴수록 완전한 굴복을 얻어내려는 강압이 점점 더 거세지는 상황 속에서 그는 끝없이 벼랑으로 몰려간다. 그리고 남과 북을 넘나드는 ‘경계인’으로 스스로의 역할을 규정했던 그는 한국 사회에 대한 총체적 긍정과 총체적 부정 사이에서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는 강요 앞에서 철저히 능욕당한 끝에 구속된다. (이 영화는 “2008년 대법원은 대부분의 혐의에 대해 무죄로 판결한 항소심 결과를 확정하고, 독일 국적 취득 후의 북한 방문에 대해서도 무죄를 선고했다”는 자막으로 끝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