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따’는 장소와 국경을 안 가리나 보다. 한국이나 일본뿐만 아니라 미국에서도 왕따가 있고 그래서 학생들 중 학교생활이 힘든 경우도 있나 보다. 영화 ‘드림업’은 그런 왕따들의 활약을 다룬 영화다. 그렇다고 한국의 어느 공포물처럼 왕따 때문에 고생한 학생이 복수전을 하는 것을 소재로 다루진 않는다. 영화 ‘드림업’은 학교 학생들의 이야기를 담은 하이틴 영화이자 음악이 흐르는 영화다. 그래서인지 영화가 사회문제를 진지하게 다루는 그런 류의 영화는 아니다. 다행히 영화를 보는 내내 고민도 없었고 신데렐라 스토리 같은 즐거운 영화로만 즐겼다. 그런데 왕따를 극복하는 장면은 좀 더 생각해 볼만한 것이었다. 누군가를 돕는다는 것이 어떤 특정 목적이 있다면 그것도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그 목적이 사라질 경우, 어떤 변화가 발생하게 되며 그것이 긍정적이지 못할 경우 지금까지의 노력은 모두 무의미하게 되며 더욱 중요한 것은 그나마 쌓은 인간적인 매력은 한 순간에 무너진다. 그러나 더 가슴 아픈 것은 바로 도와준 것에 대해 감사한 상대가 그 감사를 취소한다는 점이다. 그간의 노력이 거짓이라는 것을 알았을 때, 인간적인 불신이 발생한 것은 애초 시작하지 않은 것보다 못한 결과일 뿐이다. 왕따와 선의라는 두 가지의 대비되는 모습이 한 영화에 존재할 경우, 상식선에서 우리가 생각할 수 있는 서사가 벌어지기 마련이다. 다만 영화는 둘 간의 사랑이야기를 담은 것이 아닌 소통부족으로 인해 세상과 단절해 버린 왕따 아닌 격리된 여자 아이가 하나 또 존재한다. 그리고 그들 간의 복잡한 애증관계가 될 삼각관계는 벌어지지 않는다. 무척 만족스런 스토리다. 무엇보다 힘든 자들의 연대를 통해 새로운 무엇인가를 만들고 결과는 좋지 못하지만 그래도 뭔가 해냈다는 자신감을 얻을 수 있는 뻔하지만 보고 싶은 모습을 보았다. 그리고 우린 힘들지만 극복은 언제나 자신의 몫이란 것도 확인했다. 영화에서 다루고 있는 사랑을 이루고 아니고는 너무 흔한 소재이고 왕따가 뭔가 이루는 것 역시 뻔한 소재다. 하지만 뻔한 소재들의 그럴 듯한 재생산이란 측면을 보면 그래도 음악과 깨끗한 사랑과정과 용서 과정, 그리고 어떻든 진실한 관계 회복 등이 함께 버무려지고 있는 이 영화를 보면 무척 즐겁다. 음악 발표회에서 들을 수 있었던 다양한 음악 역시 음악광고용이란 생각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무척 즐거웠다. 그들 모두가 큰 성공을 거두었으면 한다. 그리고 이 영화를 통해 내 하이틴 시절에서 갈망했지만 할 수 없었던 그 모습들과 도전들을 다시 떠올리는 것 역시 즐거운 시간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어서 즐거운 시간을 가졌다. 어떻든 청소년은 좋은 시기인 것 같다. 요새 청소년들이 들으면 동의하진 않겠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