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로 간 첫사랑이 속삭이네. “여기서 기다릴게. 나의 지구를 지켜줘.”
곤노 마코토는 쾌활한 열일곱 살 소녀다. 등굣길 산들바람은 단발머리를 희롱하고 턱걸이로 지각을 면해도 마음은 노래 부른다. 수업이 끝나면 두 친구 고스케와 치아키와의 즐거운 야구연습이 기다린다. 그러나 소녀는 지금 비탈을 달리는 중이다. 여름은 바야흐로 반환점을 돌고 있다. 아무것도 결정하지 않아도 좋았던 그녀의 시간은, 이제 끝나려 한다. 선생님은 문과냐 이과냐 진로를 묻고 치아키와 고스케는 그들을 사모하는 여학생들의 고백을 받을 참이다. 7월13일. 일본어 발음으로 ‘나이스 데이’라 불리는 날 마코토는 늦잠부터 시작해 시시콜콜한 재앙을 연달아 겪는다. 그리고 방과 뒤 과학실 구석에서 호두처럼 생긴 괴상한 물체 위로 넘어져 신비한 비전을 본다. 자전거를 달려 귀가하던 철도 건널목에서 마코토는 기차와 부딪힌다. “설마 죽겠냐 했는데 죽는구나.” 다음 순간 마코토는 자기가 시간을 뛰어넘어(time leap) 살아 있음을 발견한다. 곧장 마코토는 복권을 산다, 고 생각하면 그녀를 잘 못 본 거다. 신바람이 난 소녀는 13일의 실수들을 바로잡고 노래방 시간을 늘리고 저녁식사 시간에는 철판구이를 먹은 날짜로 돌아간다. 처음 마코토의 상의를 받고 “네 또래 여자아이들에게는 가끔 있는 일이야.”라고 일러줬던 독신녀 이모는, 이즈음 준엄한 교훈을 깨우쳐준다. “그런데 네가 이득 본 것만큼 손해 본 사람이 있지 않겠니?” 소녀는 하나의 행위는 반드시 결과의 연쇄를 낳는다는 무거운 사실에 눈뜬다. 고스케가 하급생의 고백을 받은 오후, 치아키는 돌연 묻는다. “우리 사귈래?” 당황한 마코토는 몇 번이고 시간을 되돌려 없었던 일로 만들지만, 막상 치아키가 다른 소녀의 접근에 들뜨자 희미한 통증을 느낀다. 외면당한 감정은 사라지는 게 아니라 다른 출구를 찾아가는 것이다.
1965년 작가 쓰쓰이 야스타카가 탄생시킨 이래 오바야시 노부히코 감독의 동명 실사영화 등 다양한 각색을 거친 이 매혹적인 성장담은, 호소다 마모루 감독의 현대적 인물 해석과 유려한 애니메이션을 만나 탐스럽게 회춘했다. 비밀스러워 보이는 마코토의 이모는 바로 원작의 주인공(<프랙티컬 매직> 같은 마녀 가계(家系)인 셈이다). 한때 시간을 달렸던 그녀는 21세기의 조카에게 미소 짓는다. “넌 나 같은 성격이 아니잖니? 누가 늦으면 먼저 만나러 달려가는 게 너잖니?” <시간을 달리는 소녀>의 ‘연기’는 실사 저리가라다. 10대들의 행동 패턴을 관찰하고 반영한 애니메이션은 소년, 소녀의 성격을 말없이도 전한다. 치아키는 늘 삐딱하게 몸을 기대고 마코토는 제자리에서도 겅중겅중 뛴다. 그들은 유혹에 약하고 미숙하지만, 단호하고 용감해져야 할 때를 정확히 안다. 소실점을 중앙에 둔 대칭구도를 자주 구사한 화면은 시간여행이라는 주제와 깊고 아늑하게 어우러진다. 운동장과 강가에서 미풍에 순응하는 소년, 소녀의 머리칼은 어린 잔디처럼 싱그럽다. 음악도 적절하다. 예컨대 정적인 장면에서 역동적 신으로 넘어갈 때 음악을 바꾸는 대신, 바흐의 <골드베르크 변주곡>에서 각기 다른 템포의 소절을 쓰는데, 이러한 선곡은 환상적이지만 허황되지 않은 영화의 톤에 제격이다. <시간을 달리는 소녀>는 웃음을 주다가 감동을 주기 위해 인물의 성격을 구부리거나 급커브를 하지 않는다. 처음부터 맑고 명랑한 톤을 유지하며 해야 할 모든 말을 마친다.
마코토가 사고를 당하고 살아남았던 건널목은 기실 유년의 상징적 죽음이다. <시간을 달리는 소녀>는 더할 나위 없이 아름답게 그려진 더할 나위 없이 잔인한 이야기다. 그러나 이 보편적 ‘비극’은 뜻밖의 위로도 선사한다. 인생은 미래의 어딘가에서 반드시 나를 기다릴 안온한 품을 향해 무릎이 깨져도 달려가는 것이다. 또는 나를 향해 달려오고 있을 누군가를 건강한 모습으로 기다리는 일이다. <시간을 달리는 소녀>는 그렇게, 건널목에 아직 다다르지 않은 젊은이와, 그곳을 지나온 더 이상 젊지 않은 이들을 격려한다. 분명 시간은 아무도 기다려주지 않는다. 그러나 <시간을 달리는 소녀>와 같은 영화를 보는 일은 삶을 연장하는 편법이다.
--------------------------------------------------------------------------------
이 영화를 보면서 나도 모르게 깔깔깔 웃기도 하다가 눈물 짓기도 하다가 나도 모르게 가슴이 먹먹해 졌다.
아마도 그건 우선은 다음과 같은 장면 때문에 느껴졌을 것이다. 마코토가 치아키에 대한 자신의 감정에 대해 자신하지 못하다가 정말로 치아키가 자신의 곁에서 떠날 것이라는 사실을 깨닫고 나서 어린아이처럼 엉엉 우는 모습. 많은 사람들이 사춘기 시절 느껴봤을 그 상실감(어른이 되어서도 마찬가지겠지만)을 어찌 그리 실감나게 잘 표현했는지.... 화면에서 엉엉 우는 마코토의 머리라도 쓰다듬으며 위로해주고픈 (사실은 나를 위로하고 싶었겠지만) 마음이 들 정도였다...
그리고 이 사랑스럽고 아름다운 애니메이션에 담겨진 많은 주제들이 무거웠기 때문이기도 했다. 미래의 사랑은 말한다. "돌아가야 했는데, 벌써 여름이 됐네. 너희랑 노는 게 너무 재미있어서".... 얼마나 가슴 아프고 쓸쓸한 대사인지... 너무 상투적인 말이긴 하지만, 현재의 지구는 미래의 후손들에게 빌려 쓰는 것이라는 말이 이 영화를 통해 너무 절절하게 현실화되는 느낌이다.
마지막으로, 솔직히 이 영화의 언어가 다른 나라의 언어라는게 부러웠다. 영화를 보고 나서 '너무 부럽다'고 했더니 누군가는 내게 말했다. "이 지구 상의 어떤 곳에서든 이런 걸 만들어서 볼 수 있다는게 좋은 거 아닌가".. 내가 민족주의자는 아니지만 그래도 그 영화가 내가 사용하는 언어로 제작될 수 있다면 더 공감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질시섞인 부러움.... 괜히 나를 화나게 했다. "왜 우리는 이런 영화 못 만드는거야???" 그것도 기술과 자본의 문제가 아니라는 사실이 나를 더 힘들게 했을지 모른다...
|